비상발전기 운전 시 과전압*

제공

,
발전설비 (GG)

P 발전기 설비계획시 고려사항
S 발전기 분류
T 발전기 기동방식 비교
C 발전기 냉각방식
D 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 발전기 비교 설명
E 비상발전기 설계시 고려사항
G 가스터빈발전기
Z 발전기 용량 산정방식
F 개정된 소방법 기준 용량산정 방법
O 비상발전기 운전시 과전압
H 고압 비상발전기
J 열병합발전
K 열전비
KEC350 발전소

목차(비상발전기 운전 시 과전압)

1️⃣과전압의 발생원인

1)AVR 노후로 인한소손

  • AVR 내부 부품의 경년열화와 제어정비도가 저하
  • 전력전자소자가 소손되어 여자전류 제어 불능

2)AVR오결선 및 진동

  • AVR의 오결선
  • 진동에 의한 AVR전압 검출라인 단선, 탈락, 조정불량, 접촉불량

3)고조파나 비선형 부하에 의한 전압 왜곡

  • 고조파에 의해 파형이 왜곡되면 조정전압과 감시전압 사이에 차이가 발생
  • 발전기 : 파형의 정류된 평균값을 감지하여 응답
  • 계기 : 실횻값(RMS)에 응답

4)사이리스터 위상 제어 불능

  • AVR의 사이리스터가 위상각을 제어
  • 사이리스터가 제어 불늘이 되면 1차 측 최대전압이 여자기에 공급되므로 발전기 전압상승

5)진상부하 시 전기자 반작용

  • 회전자의 계자자속 방향과 전기자 전류자속 방향이 축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합성

6)ATS 절체 시 전기적 위상차 발생

  • 발전기 단자전압과 부하의 잔류전압의 위상차가 180도일 경우
  • 순간 최대전압 760[V]의 전압이 부하에 가압되고, 상전압도 440[V]가 발생하게 된다

7)ATS N상이 선입지절 불능

  • 상용전원에서 비상용 전원으로 절체 시
  • ATS가 4극인 경우 중성선은 전압극보다 먼저 투입되고 개방 시는 늦게 개방되어야 함

2️⃣발전기 과전압 사고 예방대책

1)고조파나 비선형 부하에 의하 과전압 발생대책

  • AVR을 최신 모델로 교체
  • AVR전원 측에 절연변압기 설치
  • EMI필터의 설치
  • 보조권선(특수권선)형 발전기 사용
  • 영구자석 발전기 (PMG)로 사용
  • 발전기 기동 전에 비선형 부하의 차단

2)자동전압조정기(AVR)의 점검

3)발전기 무부하운전 시 정상 출력 확인 후 부하운전 실기

4)진상부하(콘덴서)에 의한 과전압 방지대책

  • 콘덴서 부하 설치 유무 확인
  • 역률보상용 콘덴서는 ATS(한전 측)으로 설치 변경 또는 부하회로에서 분리
  • 발전기 기동 전에 콘덴서 회호 차단기 개방

5)ATS 절체 시 과전압 사고 예방대책

  • ATS의 3상동기 절체기기로 개선
  • ATS의 위상 동기 절체기기로 개선

6)과전압 보호계전기

  • 계전기가 반한시형인 경우 정지형 과전압보호계전기(초소 동작시간0.2초)로 교체
  • 정한시형인 디지털 계전기(최소 동작시간 0.04초)로 교체
  • 과전압검출장치가 내장된 자동전압조정기(AVR)의 사용
발전설비 (GG)

P 발전기 설비계획시 고려사항
S 발전기 분류
T 발전기 기동방식 비교
C 발전기 냉각방식
D 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 발전기 비교 설명
E 비상발전기 설계시 고려사항
G 가스터빈발전기
Z 발전기 용량 산정방식
F 개정된 소방법 기준 용량산정 방법
O 비상발전기 운전시 과전압
H 고압 비상발전기
J 열병합발전
K 열전비
KEC350 발전소

목차(비상발전기 운전 시 과전압)

J12 건축물의 비상발전기 운전 시 과전압의 발생원이 및 대책

발전설비 (GG)

P 발전기 설비계획시 고려사항
S 발전기 분류
T 발전기 기동방식 비교
C 발전기 냉각방식
D 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 발전기 비교 설명
E 비상발전기 설계시 고려사항
G 가스터빈발전기
Z 발전기 용량 산정방식
F 개정된 소방법 기준 용량산정 방법
O 비상발전기 운전시 과전압
H 고압 비상발전기
J 열병합발전
K 열전비
KEC350 발전소

목차(비상발전기 운전 시 과전압)

🌐1003Z24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