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절약을 위한 각종제도

제공

,
에너지국가정책 (MG)

A 에너지 절약을 위한 국가 및 공공기관의 각종제도
L 에너지 절약 설계에 관한 기준
G 녹색건축물 인증기준
C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E 에너지 이용 합리화법
F 대기전력 차단장치
H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K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도
B BEMS
Z 제로 에너지 빌딩
T 시공기준에서 태양광 모듈의 제품 설치용량 설치상태

목차(에너지 절약을 위한 각종제도 MGA)

1)건축물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

  •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 에너지 절약계획서 작성기준 및 완화기준
  • 건축물 용도별 바닥면적에 따라 적용
  • 건축, 기계, 전기, 신재생 부분의 의무사항 및 권장사항
  • 에너지 성능지표 검토서(EPI) : 일반 60점, 공공기관 74점 이상

2)녹색건축인증제도(G)

  • 인증등급 : 공동주택, 공동주택외
    최우수(그린1등급), 우수(그린2등급), 우량(그린3등급), 일반(그린4등급)
  • 공동주택 인증항목 : 토지이용, 교통, 에너지, 재료 및 자원
    수자원, 환경오염방지, 유지관리, 생태환경, 실내환경 등 9항목
  • 공공기관 건축 10,000[㎡] 이상 건축물은 친환경 건축물 취득 의무화

3)지능형 건축물 인증제도

  • 인증대상 : 공동주택, 숙박시설과 문화집회 시설 외로 구분
  • 배점기준
    • 공동주택, 숙박시설 : 필수+평가(300)+가산(30)=330점
      건축 및 기계, 전기 및 정보통신, SI및 시설경영 각100점
    • 문화 및 집회시설 외 : 필수+평가(600)+가산(60)=660점
      건축계획 및 환경, 기계설비, 전기설비, 정보통신, 시스템통합, 시설경영관리 각 100점
  • 인증등급 점수 및 완화기준
인증등급1등급2등급3등급4등급5등급
점수9085807570
건축완화비율[%]1512960

4)건축물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도

  • 적용대상 : 신축 업무용 건축물, 신축20세대 이상 공동주택
  • 인증등급 및 배점
    • 업무용 건물, 연간 단위 면적당 1차 에너지 소모량[kWh/㎡]
    • 공동주택 : 총에너지 저감률[%]
등급12345
업무용건물
[kWh/㎡*년]
300300
~
350
350
~
400
400
~
450
450
~
500
공동주택[%]40이상40
~
30
30
~
20
20
~
10
10
미만

5)친환경 주택건설기준 및 성능

  • 적용대상 : 20세대 이상 신축공동주택
  • 주택성능 등급 : 소음, 구조, 환경, 생활환경, 화재가 소방 등 5개 항목

6)신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 규정

  • 신재생에너지 발전 의무 할당제도(RPS)
  • 신재생에너지 발전 차액 지원제도(FIT)

7)에너지이용합리화법

  • 에너지 사용 기자재 관련
    • 효율 관리 기자재 :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 표시
    • 대기전력 저감 대상 제품 : PC, TV등 22개 품목 의무사항
    •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보급 촉진 규정
  • 산업 및 건물관련
    • 에너지 전략 전문기업(ESCO)
    • 자발적 협약(VA)
    • 에너지진단 : 연간 2,000[toe]이상 5년마다 진단 의무화
    • 집단에너지 산업 : CES
    •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 관리제

8)공공기관 에너지이용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 업무시설 신, 증축 : 건축물 에너지 효율 등급 1등급 취득 의무화
  • 공동주택 신 증축 : 건축물 에너지 효율 등급 2등급 취득 의무화
  • 연면적 10,000[㎡]이상 공공기관 5년마다 에너지 진단 의무화
  • 공공건물 냉방28[℃]이상, 난방18[℃]이하

9)고효율기기 보급제

1.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표시제

  • 개요: 모든 가전제품에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1등급~5등급)을 표시하여 소비자들이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목적: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하고, 제조업체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유도하여 국가 에너지 절약에 기여합니다.
  • 효과: 소비자들은 에너지 효율 등급을 비교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큰 제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조업체는 높은 등급을 받기 위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2. 고효율 기기 인증제

  • 개요: 일정 기준 이상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한 제품에 대해 고효율 기기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 목적: 고효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여 고효율 제품 시장을 확대합니다.
  • 효과: 고효율 기기 인증을 받은 제품은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얻어 판매가 증가하고, 제조업체는 기술 개발을 통해 고효율 제품을 생산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게 됩니다.

3. 고효율 기기 보조금 지원

  • 개요: 정부가 고효율 기기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일정 금액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목적: 고효율 기기의 초기 구매 비용 부담을 완화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고, 고효율 제품 시장을 활성화합니다.
  • 효과: 소비자들은 보조금 지원을 통해 경제적인 부담 없이 고효율 기기를 구매할 수 있으며, 정부는 에너지 절약 목표 달성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습니다.

에너지국가정책 (MG)

A 에너지 절약을 위한 국가 및 공공기관의 각종제도
L 에너지 절약 설계에 관한 기준
G 녹색건축물 인증기준
C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E 에너지 이용 합리화법
F 대기전력 차단장치
H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K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도
B BEMS
Z 제로 에너지 빌딩
T 시공기준에서 태양광 모듈의 제품 설치용량 설치상태

목차(에너지 절약을 위한 각종제도)

💯기출문제

●G01 전기기기의 고효율화는 현 시점에 반드시 시행하여야 하는데 현재 시행하고 있는 보급제도 중 3가지를 선택하여 기술하시오

모범답안(전기기기의 고효율화 MGG01 9)

1.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표시제

  • 개요: 모든 가전제품에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1등급~5등급)을 표시하여 소비자들이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목적: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유도하고, 제조업체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유도하여 국가 에너지 절약에 기여합니다.
  • 효과: 소비자들은 에너지 효율 등급을 비교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큰 제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조업체는 높은 등급을 받기 위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2. 고효율 기기 인증제

  • 개요: 일정 기준 이상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한 제품에 대해 고효율 기기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 목적: 고효율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여 고효율 제품 시장을 확대합니다.
  • 효과: 고효율 기기 인증을 받은 제품은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얻어 판매가 증가하고, 제조업체는 기술 개발을 통해 고효율 제품을 생산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게 됩니다.

3. 고효율 기기 보조금 지원

  • 효과: 소비자들은 보조금 지원을 통해 경제적인 부담 없이 고효율 기기를 구매할 수 있으며, 정부는 에너지 절약 목표 달성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습니다.
  • 개요: 정부가 고효율 기기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일정 금액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목적: 고효율 기기의 초기 구매 비용 부담을 완화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하고, 고효율 제품 시장을 활성화합니다.

에너지국가정책 (MG)

A 에너지 절약을 위한 국가 및 공공기관의 각종제도
L 에너지 절약 설계에 관한 기준
G 녹색건축물 인증기준
C 공공기관 에너지 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
E 에너지 이용 합리화법
F 대기전력 차단장치
H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K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도
B BEMS
Z 제로 에너지 빌딩
T 시공기준에서 태양광 모듈의 제품 설치용량 설치상태

목차(에너지 절약을 위한 각종제도)

🌐V1031C24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