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변전설비 계획 (WP)
P 수변전설비 계획시 고려사항
D
수변전설비 최신기술 동향
R
정전대책및 전원설비 신뢰성향상대책
S 전기 설비 종류
C 수변전설비 대책
T 변전실 고려사항
G 발전기실 고려사항
B 축전실 고려사항
E ES(전기샤프트)실 고려사항
목차(변전실고려사항 WPT)
변전실 고려사항
☑️(통인면화 높소배환)3.3
❓변전실은
- 전력사업자로부터 특고압 또는 고압으로 수전한 전력을 부하에 종류에 알맞은 전압으로 변성하기 위하여 변압기 배전반, 각종 안전 개폐장치 등을 수용하는 장소
- 전기 및 건축물의 냉난방, 급수 소방시설 등을 가동 공급하는데 필수설비

1️⃣고려사항
1)건축적 고려사항
- 장비 반입 및 반출 통로가 확보
- 관련 설비실(발전기실, 축전기실, 무정전장치실)과 인접한곳
- 장비의 배치에 충분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면적
- 완전한 방화구획으로 하고 수변전실은 불연재료의 구조로 구획하고, 출입구는 방화문
- 충분한 유효높이 확보
- 고압은 보 하단에서 3[m]이상, 특고압은 보 하단에서 4.5[m] 이상
- 바닥하중은 변압기, 콘덴서 등의 중량물에 견딜 수 있는 500~1,000[kg/㎡]가 필요
2)환경적 고려사항
- 내부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함
- 가연성 가스, 물, 연료 등의 배관이 시설되지 않아야 함
- 환기가 잘되어야 하고 고온 다습한 장소는 피해야 하며
- 화재, 폭발의 우려가 있는 위험물 제조소나 저장소 등의 부근은 피함
- 염해의 우려가 있거나 부식성가스 또는 유독성 가스 체류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는 피한다
- 부득이한 경우는 환기설비, 냉방또는 제습장치를 설치
- 홍수 또는 물배관 사고시 침수나 물방울이 떨어질 우려가 없는 위치에 설치하고
- 특히 상부층의 누수로 인한 사고의 우려가 없도록 해야 함
3)전기적 고려사항
- 수전 전원의 인입이 편리한 위치
- 사용부하의 중심에 가깝고, 간선의 배선이 용이한 곳
- 용량의 증설에 대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소
- 수전 및 배전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곳
2️⃣변전실 면적
- 면적은 계획 시 이를 추정하고 실시 설계 시 확정
- 동일 용량이라도 형식, 기기 시방에 따라 큰 면적차(30~40[%])가 있음
1)면적설계 시 고려사항
- 수전전압
- 수전용량(변압기용량, 수량 및 형식)
- 수전방식
- 수전전압 강하방식
- 콘덴서 용량 및 수량
- 큐비클과 분전반의 종류 및 수량
- 기기 배치 및 유지보수를 위한 면적
- 건축물의 구조적 여건등
2)면적의 산정방법
- 계획 단계 시에 현장에 설치되는 기기의 크기를 예상할수 있는 경우 : 배치에 의함
- 장비 반입, 유지보수, 증설 공간을 감안하여 면적을 산정
- 계산에 의한 면적 추정
\[S_1=3.3\sqrt P\times \alpha [㎡]\]
α : 건물면적 6,000[㎡] 미만 2.7,
10,000[㎡] 미만 3.6, 10,000[㎡] 이상 5.5
P : 변압기용량[kVA]
\[ S_2=KP^{0.7}[㎡] \]
K : 특고압=>고압 1.7, 특고압=>저압 1.4, 고압=>고압 0.98,
P : 변압기용량[kVA]
\[ S_3=2.15P^{0.52}[㎡] \]
P : 변압기용량[kVA]
- 면적 결정
변전실 면적 결정은 어느 방식이든 대부분 큼 방식으로 기존 건물의 변전실 면적을 참고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3️⃣변전실의 높이
- 기기의 최고높이, 바닥 트렌치, 무근 콘크리트 설치 여부, 천장 배선방법, 여유율 고려
- 폐쇄형 큐비클식 수변전설비가 설치된 변전실인 경우
- 특고압 수전 : 4,500[㎜]이상
- 고압 수전 : 3,000[㎜]이상
4️⃣변전실의 형식
- 큐비클, MCSG, GIS
1)변전실이 갖추어야 할 설비
2)변전실 배치
- 고층 건물 : 집중식, 중간식, 분산식
- 큰 공장 : 1차 루프, 2차 단독, 수지식
3)기기 배치 시 최소이격거리(1.5,0.6,1.2)
구분 | 앞면 조작,계측면 | 뒷면점검면 | 열상호간점검면 | 기타의 면 |
---|---|---|---|---|
특고압반 | 1,700[㎜] | 800[㎜] | 1,400[㎜] | |
고압배전반 | 1,500[㎜] | 600[㎜] | 1,200[㎜] | |
저압배전반 | 1,500[㎜] | 600[㎜] | 1,200[㎜] | |
변압기등 | 1,500[㎜] | 600[㎜] | 1,200[㎜] | 300[㎜] |
수변전설비 계획 (WP)
P 수변전설비 계획시 고려사항
D
수변전설비 최신기술 동향
R
정전대책및 전원설비 신뢰성향상대책
S 전기 설비 종류
C 수변전설비 대책
T 변전실 고려사항
G 발전기실 고려사항
B 축전실 고려사항
E ES(전기샤프트)실 고려사항
목차(변전실고려사항 WPT)
변전실 고려사항
💯기출문제
●T02 옥내 전기실의 위치선정에 있어서 건축, 환경 및 전기적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전기실고려사항 WPT02)N
변전실 건축적 고려사항
- 기기에 대하여 충분한 높이를 가져야 한다.
- 완전한 방화구획으로 하고 수변전실은 불연재료의 구조로 구획하고, 출입구는 방화문
- 바닥에는 케이블 피트 등을 케이블의 크기 및 수량에 따라 폭과 넓이를 결정
- 바닥하중은 변압기, 콘덴서 등의 중량물에 견딜 수 있는 500~1,000[kg/㎡]가 필요
위치선정시고려사항
- 장비반출입 및 반출 통로가 확보
- 관련설비실과 인접한곳
- 장비의 배치에 충분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면적
환경적고려사항
- 내부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함
- 가연성가스 물 연료 등의 배관이 시설되지 않아야 함
- 환기가 잘되어야 하고 고온 다습한 장소는 피해야함
☑️통인면화 높소배환3.3
●T26.변전실의 전기적 고려사항 위치 구조 형식 배치 면적등(133회4교시)
- 전기적, 환경적, 건축적 고려사항
- 변전실 배치방식과 배전반 이격거리
- 변전실 면적 산출 방법
모범답안(전기실고려사항 WPT02)N
변전실 건축적 고려사항
- 기기에 대하여 충분한 높이를 가져야 한다.
- 완전한 방화구획으로 하고 수변전실은 불연재료의 구조로 구획하고, 출입구는 방화문
- 바닥에는 케이블 피트 등을 케이블의 크기 및 수량에 따라 폭과 넓이를 결정
- 바닥하중은 변압기, 콘덴서 등의 중량물에 견딜 수 있는 500~1,000[kg/㎡]가 필요
위치선정시고려사항
- 장비반출입 및 반출 통로가 확보
- 관련설비실과 인접한곳
- 장비의 배치에 충분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면적
환경적고려사항
- 내부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함
- 가연성가스 물 연료 등의 배관이 시설되지 않아야 함
- 환기가 잘되어야 하고 고온 다습한 장소는 피해야함
모범답안(전기실 면적산정 WPT03)
면적산출방법
\[S_1=3.3\sqrt P\times \alpha [㎡]\]
\[ S_2=KP^{0.7}[㎡] \]
\[ S_3=2.15P^{0.52}[㎡] \]
☑️통인면화 높소배환3.3
○T31수변전설비의 옥외형과 옥내형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설계조건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옥외형 수변전설비 WPT31)
옥외형 수변전설비
장점:
- 공사비 절감: 옥내 설치에 비해 공사 기간이 단축되고 건축물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 확장 용이: 설비 증설이나 변경 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 소음 및 진동 감소: 건물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민원 발생 가능성이 적습니다.
단점:
- 환경 노출: 자외선, 습기, 먼지 등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설비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 미관 저해: 건물 외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 보안 취약: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무단 침입이나 파손의 위험이 있습니다.
설계 시 고려 사항:
- 기후 조건: 강우량, 풍속, 습도 등 지역의 기후 조건을 고려하여 방수, 방진, 내열 등의 설계를 진행해야 합니다.
- 낙뢰 보호: 낙뢰 발생 시 설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접지 및 피뢰 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 소음 및 진동: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음 감소 장치를 설치하거나 방음벽을 설치해야 합니다.
- 안전 펜스: 무단 침입을 방지하고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 펜스를 설치해야 합니다.
- 미관: 건물 외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디자인해야 합니다.
옥내형 수변전설비
장점:
- 환경 영향 최소화: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어 설비의 수명이 길고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 보안 강화: 외부인의 접근이 제한되어 보안성이 높습니다.
- 소음 및 진동 감소: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민원 발생 가능성이 적습니다.
단점:
- 공사비 증가: 옥외 설치에 비해 공사 기간이 길고 건축물 내부 공간을 차지하여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확장 어려움: 설비 증설이나 변경 시 공사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화재 위험: 전기 설비 특성상 화재 발생 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설계 시 고려 사항:
- 내화 구조: 화재 발생 시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내화 구조로 설계해야 합니다.
- 환기: 밀폐된 공간 내 열 발생을 고려하여 충분한 환기 시설을 설치해야 합니다.
- 소방 설비: 스프링클러, 소화기 등 소방 설비를 설치하여 화재에 대비해야 합니다.
- 진동 방지: 건물의 진동에 의한 설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추가적인 요소
- 부지 조건: 부지의 규모, 지반 강도, 접근성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 건물의 용도: 주거, 상업, 산업 등 건물의 용도에 따라 설비의 규모와 성능이 달라집니다.
- 법규 및 규정: 관련 법규 및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 예산: 예산 범위 내에서 최적의 설계를 수행해야 합니다.
- 유지보수: 향후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수변전설비 계획 (WP)
P 수변전설비 계획시 고려사항
D
수변전설비 최신기술 동향
R
정전대책및 전원설비 신뢰성향상대책
S 전기 설비 종류
C 수변전설비 대책
T 변전실 고려사항
G 발전기실 고려사항
B 축전실 고려사항
E ES(전기샤프트)실 고려사항
목차(변전실고려사항 WPT)
변전실 고려사항
🌐1003Z24 / WPT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