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변전설비의 단락용량 경감대책
단락전류 억제대책

1) 계통분리
- 원리
- a점 사고 시 재빨리 C점 차단기를 트립하여
계통을 분리한 후 B점 차단기를 차단하여
기여 전류원을 감소시켜 단락전류를 경감하는 원리
- a점 사고 시 재빨리 C점 차단기를 트립하여
- 특징
- 차단기 차단용량을 크게 하지 않아도됨
- 설치비가 저렴
- 계전기에 의한 동작협조, 인터로크 등의 설치로 회로가 복잡
- 모선 연결 차단기 차단 후 재투입이 필요
- 문제점
- 계통 분리가 끝날 때까지 과대한 단락전류가
차단기 및 직렬기기에 흘러 열적, 기계적 파손 가능
- 계통 분리가 끝날 때까지 과대한 단락전류가
2) 변압기 임피던스 컨트롤
- 원리
- 변압기 주문 제작시 변압기의 임피던스를 증가시켜
단락전류를 억제하는 방식
- 변압기 주문 제작시 변압기의 임피던스를 증가시켜
- 특징
- 변압기 가격이 수변전설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므로 경제적인 검토가 필요
- 전압변동 증가
- 부하손 증가

3) 한류 리액터
- 원리
- 수전설비 용량 증가 시 차단기를 교체하지 않고
한류 리액터를 설치하여 단락전류를 억제하는 방식
- 수전설비 용량 증가 시 차단기를 교체하지 않고
- 특징
- 차단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큰 용량에 대응
- 설치면적이 증가
- 운전손실 증가 및 전압강하로
램프등의 수명, 전동기의 기동에 악영향
- 대책
- 특고압 및 고전압회로를 피하고 가급적 저압 분기회로에 설치

4) 캐스케이드 보호방식
- 원리
- 분기회로 차단기(B)의 설치점에서
회로의 단락용량이 분기회로의 차단기(B) 차단량을 초과할 때
주회로 차단기(A)에 의해 후비보호를 행하는 방식 - CB₁의 개극시간이 동등하거나 짧으면, 단락점의 단락전류는
차단기(B)의 접점에 발생하는 아크 뿐만아니라
A점의 접점에 발생하는 아크로 중첩분리되어
쌍방 협력하여 차단을 행한다 - 따라서 B에 가해지는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것이
캐스케이드 보호방식의 원리
- 분기회로 차단기(B)의 설치점에서
- B차단기가 캐스케이드 방식으로 보호되기 위한 조건
- 통과에너지(I²t)가 CB₂ 차단기의 허용값 이하일것 :
열적강도 검토 - 통과전류 파고치(Ip)가 CB₂차단기의 허용값 이하일 것 :
기게적 강도 검토 - CB₂의 전차단 특성곡선과 CB₁차단기의 개극시간 교차점이
CB₂의 차단용량 이내일것 - 부하 측 차단기에 발생하는 아크에너지는
부하측 차단기 허용치 이하일 것
- 통과에너지(I²t)가 CB₂ 차단기의 허용값 이하일것 :

5) 한류Fuse에 의한 Back Up차단방식
- 전력퓨즈
전력퓨즈는 차단시간이 빠르고 그 외에 한류를 차단할 수 있다. - 차단기
차단기-차단기의 백업차단방식에서는
직렬기기가 통과되는 단락전류에 견딜수 있느냐의 여부가
문제되는데 이것은 전력퓨즈의 고속 한류 측성을 이용하면,
이상적인 백업방식

6) 계통연계기
- 원리
- 계통연계기는 일종의 가변 임피던스 소자(L과 C소자)로 계통에 직렬로 삽입
- 평상시는 낮은 임피던스로 조류를 자유로이 통과시키고, 사고 시에는 높은 임피던스로 단락 시 대전류를 억제하는 방식
- 특징
- 대용량의 설비에 적용되며, 유럽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
- 설치비가 비쌈

7) 저항에 의한 한류방식
- 초전도소자 이용
상시Rs=0 이고 사고 시 소자에 자계를 주어 상전도로 이행하여 단락전류를 억제하는 방식 - 극저온 소자 이용
극저온 소자의 발열에 의한 저항 증가로 전류를 억제하는 방식

★제어및 보호방식결정(단락전류,지락전류)
단락전류 기본이론
단락전류 종류
단락전류 계산법 종류
수변전설비 단락용량 경감대책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IEC단락전류 계산방법
단락전류 계산 FLOW
→A점과 B점의 단락전류 계산
→3상단락전류 및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용량 계산(분산전원)
→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1선지락전류와 3상단락전류계산
→2선 단락고장과 3상 단락사고의 비 계산
→1선 지락전류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