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폐기 TD
수변전설비 개폐기 종류 #DS
부하개폐기(LBS). #DL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DA
전자접촉기(MC) #DM
파워퓨즈(PF) #DP
차단기 원리 #DQ
차단기(CB) #DO
차단기 투입방식과 트립방식 #DI
TRV #DT
GCV 특징과 SF6가스의 향후 대책 #DG
직류차단기 #DH
CTTS와 ATS #DC
최신 차단기의 기술 동향 #DD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목차(자동고장구분개폐기 TDA)
ASS
1️⃣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 공급 신뢰도 향상과 건전수용가의 불의의 정전사고를 방지를 위해서 수용가 구내에 사고를 즉시 자동분리하고 그 사고의 파급 확대 방지의 목적으로 사용
- 22.9【kV】, 1,000【kVA】이하 특별고압 간이 수변전설비 용량에 대하여 수전용량이 300【kVA】를 초과하는 경우의 인입개폐기로서 공급변전소의 CB및 선로의 Recloser와 조합하여 사고 발생 시 정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

1)정격
- 정격전압(25.8【kV】)
- 정격전류(200【A】/400【A】)
- 정격차단전류(900【A】)
- 과전류 Lock 전류: 800【A】±10%
2)성능
- 정격전류에서 200회 개폐가 가능하며 정격전류 이하의 부하전류에 대한 개폐성능은 다음과같다
- 무부하 개폐능력은 1,100회 정도이다
3)정정(설치 전 확인사항)
- 상 최소 동작전류의 정정
- 지락 최소 동작전류의 정정
- 통상 최소 동작전류의 50% 에서 정정
2️⃣특징
- 과부하 보호
- 900【A】의 차단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800【A】미만의 과부하 및 이상전류에 대해서는 자동차단되어 과부하 보호기능을 가지고 있다
- 고장구간의 자동분리
- 변전소 CB나 Recloser와 협조하여 1회 순간정전 후 고장구간을 자동분리
- 개방은 자동 및 수동개방이며 투입은 수동 투입 방식
- 개폐 조작은 스프링 출력에 의한 구조이므로 확실하고 신속성이 있다
- 안정성이 있다.


3️⃣ASS의 동작협조
1)배전계통에서 Recloser(R/C)와 협조
- 수용가에서 800【A】이상의 고장전류 발생하면 한전의 배전선로상에설치된 R/C가 이를 감지하여 고장구간 자동분리
- ASS의 개방시간은 1.4~1.7초(84~104Hz)에 자동트립되어 고장 수용가 자동분리
- R/C가 순시동작 이후에 재폐로 시간(무전압 시간)은 2초(120Hz)
- R/C 재투입시 건전구간 정상적인 송전이 가능
2)한전변전소 CB와 협조
- 800【A】이상의 고장전류 발생시 변전소 CB와 협조하여 고장구간 자동분리
- ASS의 개방시간은 0.05~0.067(3~4Hz)초에 자동트립되어 고장 수용가 자동분리
- CB는 순시동작 이후에 재폐로 시간(무전압 시간)은 0.3초 또는 0.5초(18~34Hz)
- CB 재투입시 건전구간 정상적인 송전이 가능
4️⃣ASS의 종류
1)25.8【kV】(200【A】)
- 배전계통 부하용량 4,000【kVA】(특수부하 2,000【kVA】) 이하 분기점
- 7,000【kVA】 이하 수전실 인입구에서 사용
2)25.8【kV】(400【A】)
- 배전계통 부하용량 8,000【kVA】(특수부하 4,000【kVA】) 이하 분기점
- 낙뢰가 빈번한 지역, 공단지역, 수용가 선로에서 사용
개폐기 TD
수변전설비 개폐기 종류 #DS
부하개폐기(LBS). #DL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DA
전자접촉기(MC) #DM
파워퓨즈(PF) #DP
차단기 원리 #DQ
차단기(CB) #DO
차단기 투입방식과 트립방식 #DI
TRV #DT
GCV 특징과 SF6가스의 향후 대책 #DG
직류차단기 #DH
CTTS와 ATS #DC
최신 차단기의 기술 동향 #DD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목차(자동고장구분개폐기 TDA)
ASS
💯기출문제
○B02 22.9[kV-Y]배전계통에 적용되는 고장구간자동개폐기(ASS)에 대한 표준정격별 적용 가능 장소 및 동작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고장구간자동개폐기 TDA02)
25.8[kV](200[A]), 25.8[kV](400[A])
22.9[kV], 1,000[kVA] 이하 특별고압 간이 수변전설비 용량에 대하여
수전용량이 300[kVA]를 초과하는 경우의 인입개폐기로서 공급변전소의 CB 및 선로의 Recloser와 조합하여 사고 발생 시 정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
●B03 다음 각 항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전력계통의 전압이 지속적으로 승압되고 있다.
전력실률 b와 단면적 A, 전압V, 역률cos, 전력P, 고유저항ρ, 긍장l 과의 관계에 대한 공식을 쓰고단위를 표현하시오
모범답안(전력손실율 관계 TDA03)
전력손실율
전력손실
전류공식
저항공식
전력손실율
- 한전 배전선로의 재폐로 시스템과 수용가의 수전용 개폐기와(ASS)의 동작 개요에 대하여 간단하게 기술하시오
모범답안(배전선로의 재폐로시스템 TDA03)
배전선로 재폐로 시스템
배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했을 때, 일시적으로 해당 선로를 차단하고 고장을 제거한 후 다시 전력을 공급하는 시스템
수전용개폐기(ASS)
수용가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장치로, 수용가의 전력 사용량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
개폐기 TD
수변전설비 개폐기 종류 #DS
부하개폐기(LBS). #DL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DA
전자접촉기(MC) #DM
파워퓨즈(PF) #DP
차단기 원리 #DQ
차단기(CB) #DO
차단기 투입방식과 트립방식 #DI
TRV #DT
GCV 특징과 SF6가스의 향후 대책 #DG
직류차단기 #DH
CTTS와 ATS #DC
최신 차단기의 기술 동향 #DD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목차(자동고장구분개폐기 TDA)
ASS
🌐V1002S24 / TDA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