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어및 보호방식결정(수변전회로보호방식)
수전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보호계전기
변압기 보호방식
DCR오동작 방지대책
비율차동계전기 비율탭 정정
복합계전기
GPT적용시 CLR의 목적
목차(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1️⃣저압 배선로 보호의 개념
2️⃣저압 배전선로 보호방식
1)과부하보호, 단락
- 선택차단방식
- 한시차 보호방식에 의한 고장회로 선택 차단
- 공급신뢰도가 높은 방식
- 캐스케이딩방식
- 주회로 차단기로 후비보호하는 방식
- 단락전류가 10[kA] 이상에 적용
- 전정격 차단방식
- 각 차단점에 단락용량에 응하는 차단기를 적용하여 후비보호하는 방식경제성이 떨어짐
2)지락
- 계통별 접지 방식 구성 차이로 일괄 보호방식 적용이 곤란
- 선택차단방식 적용
3️⃣저압배전선로의 단락보호(*)
1)차단기(ACB🌐)
- 과전류, 단락전류, 지락전류 보호 가능하나 순시보호 뒤짐
- 최근 순시요소부 제품 공급으로 후비보호 가능
2)배선용차단기(MCCB🌐)
- 과전류 단락보호 기능
- 순시요소부+한시요소부를 몰드 케이스에 내장
3)퓨즈(PF🌐)
- 한류 특성과 용단특성을 이용한 단락 보호
- 차단용량이 적은 보호기의 후비보호 가능
4)전자개폐기(MC🌐)
- 부하의 빈번한 개폐 및 과부하 보호용
- 전자접촉기와 열동계전기 또는 EOCR
5)기타
- 과전류차단기
제어및 보호방식결정(수변전회로보호방식)
수전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보호계전기
변압기 보호방식
DCR오동작 방지대책
비율차동계전기 비율탭 정정
복합계전기
GPT적용시 CLR의 목적
목차(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기출문제
●B22.3상3선식 비접지계통에서의 보호계전방식을 설명하시오
3상 3선식 비접지계통의 특징
- 지락 전류: 지락 사고 발생 시 지락점에서 대지로 흐르는 전류가 매우 작아 지락 사고 검출이 어렵습니다.
- 계통 전압 상승: 지락 사고 발생 시 건전상의 전압이 상승하여 절연 파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아크 지속: 지락점에서 아크가 지속되어 화재 위험이 높습니다.
보호계전 방식
1. 지락 과전압 계전기 (OVGR: Over Voltage Ground Relay)
- 원리: 지락 사고 발생 시 건전상의 전압이 상승하는 것을 이용하여 지락을 검출합니다.
- 장점: 간단한 구조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 단점: 지락점 위치를 특정하기 어렵고, 외부 낙뢰 등 다른 요인에 의해 오동작할 수 있습니다.
2. 영상 임피던스 계전기 (ZGR: Zero Sequence Impedance Relay)
- 원리: 지락 사고 발생 시 영상 성분의 전류가 흐르는 것을 이용하여 지락을 검출합니다. 영상 임피던스를 계산하여 지락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습니다.
- 장점: 지락점 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 선택적인 보호가 가능합니다.
- 단점: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며, 계통의 조건 변화에 민감합니다.
3. 차동 계전기
- 원리: 변압기의 1차와 2차 사이의 전류를 비교하여 내부 고장을 검출하는 방식입니다. 지락 사고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장점: 고감도로 고장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 단점: 비교적 고가이며, 정확한 설정이 필요합니다.
4. 모선 보호 계전기
- 원리: 모선의 전류와 전압을 감시하여 지락 사고를 검출합니다.
- 장점: 광범위한 영역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선택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보호계전 방식 선택 시 고려 사항
- 계통의 규모와 구성: 계통의 크기, 구성, 그리고 중요도에 따라 적절한 보호계전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 고장 종류: 지락 사고 외에도 단락 사고 등 다양한 고장에 대한 보호가 필요한 경우 복합적인 보호계전 방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 경제성: 초기 투자 비용, 유지보수 비용 등을 고려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최적의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B28.저압계통 과부하에 대한 보호장치의 시설 위치, 협조, 생략할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시오
1. 과부하 보호장치 설치 위치
저압계통에서 과부하 보호장치는 일반적으로 분기점에 설치됩니다. 분기점이란 전선의 단면적이 변하거나 특성이 변하는 지점을 의미하며, 이곳에서 과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 분기점: 변압기 2차측, 분전반, 개별 부하에 연결되는 지점 등
- 예외:
- 단락전류 보호: 단락전류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분기점 이외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 한국전기설비규정(KEC): KEC 212.4.3 조항에 따라 일부 경우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2. 과부하 보호장치 협조
과부하 보호장치는 시스템 전체의 안전을 위해 서로 협조하여 작동해야 합니다.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도한 보호 동작이나 미보호 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선택도: 상위 보호장치가 하위 보호장치보다 먼저 동작하여 하위 계통만을 선택적으로 보호해야 합니다.
- 시간 지연: 상위 보호장치는 하위 보호장치보다 시간 지연을 설정하여 오동작을 방지합니다.
- 정정치: 각 보호장치의 정정치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과부하 발생 시 정확하게 동작하도록 합니다.
3. 과부하 보호장치 생략 가능 경우
KEC 212.4.3 조항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경우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단상 3선식 IT 계통: 각 회로에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경우
- 과부하 보호가 불필요한 회로: 예비용 변압기 2차측 등
- 단락전류에 대한 보호가 충분히 이루어진 회로: 단락전류 차단기 등에 의해 과부하도 보호될 수 있는 경우
4. 과부하 보호장치 종류
- 퓨즈: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되어 회로를 차단하는 소모형 보호 장치
- 과전류계전기: 과전류를 감지하여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보호 장치
- 누전차단기: 과전류뿐만 아니라 누전도 감지하여 차단하는 복합형 보호 장치
5. 과부하 보호장치 설치 시 고려 사항
- 부하 특성: 부하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적절한 보호 장치를 선정해야 합니다.
- 배선 방식: 배선 방식에 따라 보호 장치의 설치 위치와 종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환경 조건: 온도, 습도 등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보호 장치를 선정해야 합니다.
- 규정 준수: KEC 등 관련 법규를 준수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제어및 보호방식결정(수변전회로보호방식)
수전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보호계전기
변압기 보호방식
DCR오동작 방지대책
비율차동계전기 비율탭 정정
복합계전기
GPT적용시 CLR의 목적
목차(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V1001C24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