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전 (LD)
P 배전설계 계획
L 저압옥내배선방식
H 직류송전방식과 교류송전방식의 비교
M 간선과 분기회로
S 저압옥내배선 종류 (KEC232)
C 케이블 부설방식(간선의 부설방식)
O OA배선방식
E 셀룰러덕트
B 버스덕트
T 케이블 트레이
R 케이블트랜치 공사
목차(케이블 부설방식 LDC)
케이블 부설방식
1️⃣케이블 부설 시 고려사항
- 증설 대비 경제성을 고려한 부설방식 선정
- 용도에 맞는 부설방식 적용(아파트,빌딩의 방폭지역)
- 수직 간선은 반드시 EPS실을 확보하여 부설
2️⃣케이블 부설방식의 종류
1)Free Access Floor 방식
- 바닥에 FAF를 400~500[H]높이로 이중바닥을 형성하여, 하부를 배선통로로 사용
- 배선용량이 크다
- 가변성이 우수하다
- 건물 층고에 영향
2)Floor Duct
- 슬라브 내에 금속제 덕트를 매설하는 방식
2Way : 전열 전화,
3Way : 전열, 전화, OA - 배선 변경 용이
- 배선 수용량 한계
3)셀룰러덕트
- 철골DeckPlate에 홈을 이용하여 배선을 수납하는 방식
- 배선 변경이 용이
- 건축과 협의하여 진행
4)트렌치덕트
- 슬라브 내에 대형의 배선덕트를 매설하여 배선하는 방식
- 배선 변경이 용이
- 배선 수용능력이 크다
5)전선관
- 건물 전체에 전선관을 매설하여 배선하는 방식
- 시공이 용이
- 경제적인 방식
- 배선 수용량 한계
6)케이블트레이
- 천장과 벽에 금속제 사다리를 설치하고 그 위에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식
- 화재 보안대책 필요
- 포설이 적으면 비경제적
7)금속덕트
- 슬라브 내에 금속덕트 매설
- 전선 증설 및 변경용이
- 습기, 부식장소 곤란
배전 (LD)
P 배전설계 계획
L 저압옥내배선방식
H 직류송전방식과 교류송전방식의 비교
M 간선과 분기회로
S 저압옥내배선 종류 (KEC232)
C 케이블 부설방식(간선의 부설방식)
O OA배선방식
E 셀룰러덕트
B 버스덕트
T 케이블 트레이
R 케이블트랜치 공사
목차(케이블 부설방식 LDC)
케이블 부설방식
💯기출문제
○C07 케이블 부설방식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케이블 부설방법 종류 LDC072️⃣)
1. 직접 매설 방식
- 설명: 케이블을 땅 속에 직접 매설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므로 내구성이 좋고, 미관을 해치지 않습니다.
- 단점: 시공이 어렵고, 고장 발생 시 찾기가 어려워 복구 작업이 까다롭습니다.
- 적용 분야: 지중 전력선, 통신 케이블 등 대규모 케이블 매설에 적합합니다.
2. 관 매설 방식
- 설명: 케이블을 PVC관, 강관 등의 관 속에 넣어 땅 속에 매설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케이블 보호 효과가 뛰어나고, 교체가 용이합니다.
- 단점: 직접 매설 방식에 비해 시공 비용이 높습니다.
- 적용 분야: 건물 내부 배선, 산업 시설 배선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3. 트레이 설치 방식
- 설명: 케이블을 트레이 위에 올려놓아 노출시키는 방식입니다.
- 장점: 시공이 간편하고, 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합니다.
- 단점: 외부 충격에 취약하며, 미관을 해칠 수 있습니다.
- 적용 분야: 공장,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설비의 배선에 주로 사용됩니다.
4. 에어덕트 설치 방식
- 설명: 케이블을 에어덕트 내부에 넣어 공중에 설치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공간 활용도가 높고, 시공이 용이합니다.
- 단점: 외부 충격에 취약하며, 미관을 해칠 수 있습니다.
- 적용 분야: 공장, 데이터센터 등 대규모 설비의 배선에 주로 사용됩니다.
5. 벽면 부착 방식
- 설명: 케이블을 벽면에 직접 부착하거나 클립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시공이 간편하고, 공간 활용도가 높습니다.
- 단점: 외부 충격에 취약하며, 미관을 해칠 수 있습니다.
- 적용 분야: 가정집, 사무실 등 소규모 배선에 주로 사용됩니다.
6. 천장 매립 방식
- 설명: 케이블을 천장 속에 매립하는 방식입니다.
- 장점: 미관을 해치지 않고, 깔끔하게 시공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시공이 복잡하고, 고장 발생 시 찾기가 어려워 복구 작업이 까다롭습니다.
- 적용 분야: 건물 내부 배선에 주로 사용됩니다.
○136-04 한국전기설비규정에 근거하여 배선설비 공사방법 중 케이블 트렁킹 시스템과 케이블 덕팅 시스템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케이블트렁킹,케이블덕팅 LDC)
1. 구조적 특성 비교
구분 | 케이블 트렁킹 시스템 | 케이블 덕팅 시스템 |
---|---|---|
구성 | 본체(건축물 고정) + 개폐 가능한 커버 | 본체와 커버의 분리가 불가능한 일체형 구조 |
재질 | 금속/합성수지(내식성 처리) | 금속(방식 처리) 또는 PVC |
IP 등급 | IP2X 이상(외부 고형물 차단) | IP 등급 적용 없음 |
2. 설치 기준 (KEC 232.24 참조)
① 케이블 트렁킹 시스템
- 지원 간격: 케이블 2m 이내 간격으로 받침대 설치
- 방수 처리: 바닥·측면 방수 및 물 고임 방지
- 화재 대응: 건축물 방화구획 관통 시 불연성 물질 충전
- 접지: 금속재 사용 시 211조(접지저항 10Ω 이하) 준용
② 케이블 덕팅 시스템
- 전선 제한: 절연전선 사용 가능(폐쇄형 구조)
- 설치 위치: 바닥 매입(플로어 덕트) 또는 구조체 내부
3. 기능적 차이
항목 | 케이블 트렁킹 | 케이블 덕팅 |
---|---|---|
보호 성능 | 고형물/습기 차단 우수 | 기본적인 물리적 보호 |
유지보수 | 커버 개폐로 점검 용이 | 개구부 해체 필요(접근성 낮음) |
적용 환경 | 옥내 수전설비·발전설비 | 바닥 매입·벽체 내부 |
4. 전선 허용 기준
- 트렁킹: 절연전선 사용 시 IP 등급 충족 필수(예: IP54)
- 덕팅: 절연전선 자유로운 사용 가능(폐쇄형 구조 특성)
5. 시공 사례

① 트렁킹 시스템
- 금속트렁킹: 공장·변전실 등 대용량 케이블 배선
- 합성수지트렁킹: 사무실·병원(소음·진동 최소화)

② 덕팅 시스템
- 플로어 덕트: 오피스 건물 바닥 콘센트 배선
- 셀룰러 덕트: 지하 주차장 조명 회로
배전 (LD)
P 배전설계 계획
L 저압옥내배선방식
H 직류송전방식과 교류송전방식의 비교
M 간선과 분기회로
S 저압옥내배선 종류 (KEC232)
C 케이블 부설방식(간선의 부설방식)
O OA배선방식
E 셀룰러덕트
B 버스덕트
T 케이블 트레이
R 케이블트랜치 공사
목차(케이블 부설방식 LDC)
케이블 부설방식
🌐V1014P24 / LDC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