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단락 지락) BB
단락전류(기본이론)
→기여전류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단락전류 계산(기본)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선단락 3상단락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단락전류 계산(한류리액터)
→단락전류 계산(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목차(1선 지락전류 BB1)
1선 지락전류

❗유효접지의 개념
전력계통에서 1선지락 고장시 건전상의 전위가 상규 대지전압의 1.3배 이하가 되도록 중성점을 접지하는 것
1️⃣단상으로 등가변환

2️⃣대칭전류
Va=V₀+V₁+V₂ 에 발전기식을 대입
3️⃣지락전류(a상전류)
a상전류는 대칭좌표 해석법에의하여 다음과 같다.
4️⃣건전상 전압
5️⃣1선지락시 건전상 전위상승
- 대칭분 임피던스의 크기는 변압기, 선로, 회전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대개 정상분과 역상분의 크기는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지므로 정상분과 역상분은 동일한 값으로 놓고 전력계통은 저항성분은 리액턴스 성분에 비해서 매우 작아서 무시하고 해석
- 정상분(역상분)임피던스
- 영상분 임피던스
(3)식을 a상 상규 대지전위에 대한 c상 고장시 대지전위의 비를 K라 하고, K값만을 관측하면 건전상 대지전위 상승을 알 수 있다.
분자와 분모를 X₁으로 나눈다
6️⃣유효접지 조건
1)유효접지 조건
1선 지락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을 1.3배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조건을 만족해야 함
2) 의미
정상분 임피던스(X₁)에 비해서 낮은 저항 값으로 중성점을 접지해야 됨
중성점 직접접지 방식에서는 영상분 임피던스(X₁)는 항상 양의 값을 갖으며, 영상분 임피던스(X₀)의 크기는 정상분의 3배 이하로 제한되어야 함
참고로, 비접지 방식에서는 정전용량이 매우 증가되는 경우에 영상분 임피던스(X₀)가 음의 값을 갖을 수 있는데, 그런 경우 매우 큰 이상전압이 발생됨
7️⃣대칭분 임피던스
변압기[영상분=정상분=역상분]
- 변압기는 누설리액턴스로 정상, 역상, 영상 임피던스가 모두 동일하게 작용
송전,배전선로 [영상분>정상분=역상분]
- 서로에서 영상분은 대지를 포함하고, 또한 영상분 전류에 의해 선로의 작용 인덕턴스가 크게 증가한다. 대략 영상분은 정상분과 역상분에 비해서 3~4배 큰 값을 갖는다.
회전기[정상분>역상분>영상분]
- 회전기에는 영상분이 가장 작게 나타남
고장(단락 지락) BB
단락전류(기본이론)
→기여전류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단락전류 계산(기본)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선단락 3상단락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단락전류 계산(한류리액터)
→단락전류 계산(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목차(1선 지락전류 BB1)
1선 지락전류
💯기출문제(단락전류)
●F113 대칭좌표법을 이용하여 3상 회로의 불평형 전압과 전류를 구하고, 1선 지락 시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고장(단락 지락) BB
단락전류(기본이론)
→기여전류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단락전류 계산(기본)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선단락 3상단락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단락전류 계산(한류리액터)
→단락전류 계산(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목차(1선 지락전류 BB1)
1선 지락전류
🌐V0410C25 / BB1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