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

제공

, ,
고장(단락 지락) BB

단락전류(기본이론)
기여전류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단락전류 계산(기본)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선단락 3상단락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단락전류 계산(한류리액터)
단락전류 계산(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목차(3상단락고장 한류리액터)

다음 그림과 같은 계통의F점에서 3상단락고장이 발생할 때 다음 사항을 계산하시오(단, G1, G2는 같은 용량의 발전기이며, X’d는 발전기 리액턴스 값)

  • 한류리액터 XL이 없을 경우 차단기 A의 차단용량【MVA】
  • 한류리액터XL을 설치해서 차단기 A의 용량을 100【MVA】로 하려면 이에 소요될 한류리액턴스(XL)값
https://c-mk.s3.ap-northeast-2.amazonaws.com/2023/06/3상단락고장한류리액터-1024x718.jpeg

❗차단기 A의 차단용량

1️⃣발전기 2대의 병렬 리액턴스
\[ X_c=\frac{12\times 12}{12+12}=6[\%] \]
2️⃣전원 측 단락용량
\[ P_s=\frac{P_n}{\%Z}\times 100=\frac{25}{6}\times 100=416.67[MVA] \]

그러므로, 차단용량 500【MVA】선정

❗한류리액터의 리액턴스

\[ P_s=\frac{P_n}{\%Z}\times 100 \]

차단기A의 용량을 100【MVA】로 제한해야 하므로

\[ 100[MVA]=\frac{100[MVA]}{6[\%]+\%X_L}\times 100 \]

자단기 A를 용량을 100【MVA】로 제한해야 하므로

\[100[MVA]=\frac{100[MVA]}{6[\%]+\%X_L}\times 100\]
\[ \%X_L=19[\%]\]
\[ X_L=\frac{10V^2\%Z}{P}=\frac{10\times11^2\times19}{25\times10^3}=0.9196[\Omega] \]
고장(단락 지락) BB

단락전류(기본이론)
기여전류
단락전류(종류)
단락전류(계산법 종류)
대칭좌표법
단락용량 경감대책(수변전설비)
계통연계기
초전도 한류기

단락전류(계산)
단락전류 계산(기본)
1선지락전류 유효접지
2선단락 3상단락
3상단락(단락전류 단락용량)
단락전류 계산(전동기)
단락전류 계산(분산전원)
단락전류 계산(한류리액터)
단락전류 계산(1선지락전류 3상단락전류)

🌐V1001S24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