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선용 차단기(MCCB)*

제공

,
개폐기(D)

수변전설비 개폐기 종류
부하개폐기(LBS).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전자접촉기(MC)
파워퓨즈(PF)
차단기 원리
차단기(CB)
차단기 투입방식과 트립방식
TRV
GCV 특징과 SF6가스의 향후 대책
직류차단기
CTTS와 ATS
최신 차단기의 기술 동향

배선용 차단기(MCCB)
누전차단기(ELB)

보호방식결정

배선용 차단기(MCCB)
누전차단기(ELB)
수전설비의 저압선로 보호방식
코로나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목차(배선용 차단기MCCB)

1️⃣개요

  • 개폐기구, 트립장치, 소호장치, 접전, 단자 등을 절연물의 용기 내에 일체로 조립한 것이며, 통상사용 상태의 전로를 수동또는 절연물 용기 외부의 전기조작장치 등에 의하여 개폐할수 있고, 또 과부하 및 단락 등일 경우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기구
  • 배선용 차단기는 교류600[V]이하 직류250[V]이하의 저압 옥내선로의 보호에 사용되는 외부가 MoldCase로 구성된기기
  • 흔히 자동차단기, AutoBreaker, 브레이커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는데, 이 제품의 정식명칭은 한글로는 배선용 차단기, 영문으로는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2️⃣저압회로의 이상현상

1)과부하, 단락

  • 설정된 부하 이상의 전류가 흐를때, 전선에 열이 발생되고 계속되는 과전류 인가 시에는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 선간 단락이 일어날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회로가 Short되면서 선로에 대전류가 흐르며 이로 인해 하위단의 각종 부하기기 손상 및 선로 화재 등 매우 위험한 상태로 전개될 수 있다

2)지락

  • 지락이라 함은 선로 중 어느 한 상이 대지(지면)와 접촉된 경우이다. 이 경우, 매우 큰 전류가 대지로 흐르게 되어 사고로 전개된다.
  • 지락사고 발생 시 이를 조기에 진단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지락전류가 대지로 흐를 경우, 인체가 감전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된다.

3)결상

  • 단상의 경우에는 어느 한 상이 끊어지면 결과적으로 회로 구성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3상 회로의 경우에는 3상회로 중 어느 한 상이 끊어지더라도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회로 구성이 가능하다
  • 선로의 하위단에 설치된 부하는 필요한 전류를 끊어진 선로가 아닌 다른 선로에서 공급을 받게 된다. 이것은 선로 입장에서 보면 기준전류치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과열이 발생하게 된다.
  • 결상은 전기회로에서 나타나는 사고중 가장 빈번하며, 각종 보호기기들로 결상에 대한 보호기능을 가지고 있다.

3️⃣배선용 차단기의 종류

1)열동식

  • 바이메탈을 가영하여 바이메탈의 변형에 의하여 동작하는것으로 직렬식(소용량에 적용), 병렬식(중, 대용량에 적용), CT식(교류 대용량에 적용)이 있다.

2)열동 전자식

  • 열동식과 전자식의 두가지 동작요소를 가지고 과부하 영역에서는 열동식 소자라 동작하고, 단락 시에는 전자식 소자에 의해 단시간에 동작하는 차단기이다.

3)전자식 (電磁式)

  • 전자석에 의해 동작하는 형식

4)전자식 (電子式)

  • 변류기(CT)를 설치하여 CT의 2차전류를 연산하여 연산결과에 의해 소전류영역에서 장시한, 대전류영역에서는 단시한, 단락전류영역에서는 순시에 동작하는 차단기이다.

4️⃣특징

  • 과전류로 차단되었을 때 그 원인을 제어하면 즉시 재투입이 가능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 접점의 개폐속도가 일정하고 빠르다
  • 과전류가 1극에만 흘러도 각극이 동시에 트립하므로 결상이 생기지 않는다
  • 동작 후 복구 시 교환시간이 걸리지 않고 예비폼이 불필요하다
  • 개폐기구를 겸할 수 있다.
배선용차단기 선정방법

5️⃣배선용 차단기(MCCB) 선정조건

1)정격전류:

  • 부하전류를 계산하여 이에 맞는 정격전류를 가진 차단기를 선택
  • 전동기 부하전류 합이 50A 이하인 경우, 전선의 허용전류는 “전동기 부하전류 합 × 1.25 + 기타 부하전류 합”으로 설정

2)단락전류:

  • 예상되는 단락전류를 계산하여 차단기의 차단용량이 이를 초과하도록 선택
  • 예를 들어, 변압기 용량과 전압,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단락전류를 계산

3)과부하 보호:

  • 과부하 보호장치의 정격전류는 부하전류의 1.25배로 설정
  • KEC 기준에 따라 보호장치의 동작배율을 고려하여 선정

6️⃣배선용 차단기 단락보호협조 방식

배선용 차단기의 단락보호협조 방식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

  • 시간지연형: 단락전류가 흐르는 시간에 따라 차단기가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단락전류의 크기에 따라 동작 시간이 달라지도록 설정하여 선택성을 확보
  • 전류지연형: 단락전류의 크기에 따라 차단기가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일정 시간 후에 차단
  • 전자식: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다양한 보호 기능을 수행하며, 정확하고 빠른 동작이 가능

7️⃣단락보호협조를 위한 고려 사항

  • 차단기의 종류 및 특성: 각 차단기의 동작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시스템에 적합한 차단기를 선정
  • 단락전류: 단락전류의 크기와 지속 시간을 정확히 계산하여 차단기를 설정
  • 배선 방식: 배선 방식에 따라 단락전류의 경로가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차단기를 설치
  • 부하 특성: 부하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차단기의 설정값을 조정

8️⃣단락보호협조의 중요성

단락보호협조는 전기 설비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적절한 단락보호협조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개폐기(D)

수변전설비 개폐기 종류
부하개폐기(LBS).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전자접촉기(MC)
파워퓨즈(PF)
차단기 원리
차단기(CB)
차단기 투입방식과 트립방식
TRV
GCV 특징과 SF6가스의 향후 대책
직류차단기
CTTS와 ATS
최신 차단기의 기술 동향

배선용 차단기(MCCB)
누전차단기(ELB)

보호방식결정

배선용 차단기(MCCB)
누전차단기(ELB)
수전설비의 저압선로 보호방식
코로나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목차(배선용 차단기MCCB)

💯기출문제

●M04저압간선을 보호하기 위한 과전류 차단기 시설에 대하여 굵은 간선에 직접 접속하는 가는 선들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왜 과전류 차단기가 필요할까요?

전기 설비에서 과전류는 화재, 설비 손상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전류가 발생했을 때 이를 빠르게 차단하여 시스템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전류 차단기는 바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굵은 간선에 직접 접속하는 가는 선의 경우

  • 문제점: 굵은 간선에 직접 가는 선을 연결할 경우, 가는 선에 과전류가 흐르더라도 굵은 간선의 과전류 차단기가 즉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가는 선의 단면적이 작아 온도 상승이 빠르게 진행되어 선이 녹거나 절연 파괴가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 해결책:
    • 별도의 과전류 차단기 설치: 가는 선에 직접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하여 가는 선을 보호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가는 선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해당 차단기만 동작하여 선택적으로 회로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 차단기 정격 전류 선정: 가는 선의 허용 전류에 맞춰 차단기의 정격 전류를 선정해야 합니다. 너무 큰 용량의 차단기를 사용하면 과전류가 발생해도 차단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작은 용량의 차단기를 사용하면 정상적인 부하에서도 차단될 수 있습니다.
    • 설치 위치: 가는 선과 굵은 간선이 접속되는 부분에 가까운 곳에 차단기를 설치해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과전류 차단기 시설 기준 (예시)

  • 간선 보호용 과전류 차단기 시설: 저압 간선 분기점에서 3m 이내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8m 이내에 시설할 수도 있습니다: 여건상 3m 이내에 설치가 어려운 경우 8m 이내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 가는 선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가는 선의 허용 전류에 맞춰 별도의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주의 사항

  • 차단기 종류: 과전류 차단기는 소형, 중형, 대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설치 환경과 보호 대상에 맞는 적절한 종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설치 방법: 차단기는 전문가에 의해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합니다. 잘못된 설치는 오동작이나 감전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점검: 과전류 차단기는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M05배선용 차단기 단락보호협조방식을 설명하시오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배선용 차단기

○M07저압간선을 분기하는 경우 과전류 차단기의 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저압간선을 분기할 때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은 전기설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과전류 차단기는 과전류가 발생했을 때 회로를 차단하여 화재 등의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왜 과전류 차단기가 필요할까요?

  • 과전류 발생 시 위험: 과전류가 흐르면 전선이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하거나, 전기기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선택적 차단: 고장이 발생한 부분만을 차단하여 다른 회로의 운전을 중단시키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 안전 확보: 전기 설비의 안전을 확보하고 인명 피해를 예방합니다.

저압간선 분기 시 과전류 차단기 설치 기준

  • 원칙: 저압간선 분기점에서 3m 이내에 설치해야 합니다.
  • 예외:
    • 8m 이내 설치 가능: 현장 여건 상 3m 이내 설치가 어려운 경우 8m 이내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 과전류 차단기 생략 가능:
      • 분기선의 길이가 8m 이하이고,
      • 분기선의 허용전류가 간선 과전류 차단기 정격전류의 35% 이상인 경우에는 과전류 차단기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3m 이내 설치 시 생략 가능: 굵은 간선 또는 다른 가는 간선에 접속하는 길이 3m 이하의 가는 간선으로서, 해당 가는 간선의 부하측에 다른 간선을 접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과전류 차단기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과전류 차단기 선정 시 고려 사항

  • 정격전류: 분기선의 허용전류에 맞춰 적절한 정격전류의 차단기를 선정해야 합니다.
  • 차단용량: 예상되는 단락전류를 고려하여 차단 용량을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 동작특성: 시간지연형, 전류지연형 등 다양한 동작 특성을 가진 차단기가 있으므로, 시스템의 특성에 맞는 차단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과전류 차단기 설치 시 주의사항

  • 정확한 설치: 전문가에 의해 정확하게 설치해야 합니다. 잘못된 설치는 오동작이나 감전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접지: 차단기는 반드시 접지를 확실히 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점검: 과전류 차단기는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M11저압차단기에 대한 종류 및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협조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M18유도전동기 회로에 사용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선정조건을 설명하시오

개폐기(D)

수변전설비 개폐기 종류
부하개폐기(LBS).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전자접촉기(MC)
파워퓨즈(PF)
차단기 원리
차단기(CB)
차단기 투입방식과 트립방식
TRV
GCV 특징과 SF6가스의 향후 대책
직류차단기
CTTS와 ATS
최신 차단기의 기술 동향

배선용 차단기(MCCB)
누전차단기(ELB)

보호방식결정

배선용 차단기(MCCB)
누전차단기(ELB)
수전설비의 저압선로 보호방식
코로나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목차(배선용 차단기MCCB)

🌐V1001C24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회로 보호방식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