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사용설명서(눌러서 자세히보기)
► 가독성을위해 내용을 숨겨둔곳입니다. 눌러서 펼쳐보실수있습니다.
밑줄이있는글자를 누르시면 해당내용이 열립니다.
밑줄이 있는 내용을 펼쳐보고싶을때 색이있는 부분을 누르시면 펼쳐집니다.
발전설비
발전기 설비계획시 고려사항
발전기 분류
발전기 기동방식 비교
발전기 냉각방식
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 발전기 비교 설명
비상발전기 설계시 고려사항
가스터빈발전기의 검토사항
micro gas turbine
발전기 용량 산정방식
개정된 소방법 기준 용량산정 방법
소방전원우선보존형 발전기*
각국의 발전기용량 산정방식*
비상발전기 운전시 과전압
고압 비상발전기
비상발전기 계산문제
★발전설비
- A 발전기 설비계획시 고려사항
- 부하,분류,용량산정,규격,고려사항
- B 발전기 분류
- 비상용,상용,피크컷,열병합용
- C 발전기 기동방식 비교
- 전기식,공기식,
- D 발전기 냉각방식
- E 가스터빈발전기
- G 비상발전기 설계시 고려사항
- 용량,대수,회전수,기동방식,환경공해,열효율,설치장소,냉각방식,건축분야고려,부속기기위치
- H 발전기 용량 산정방식
- GP방식,PG방식,RG방식
- I 개정된 소방법 기준 용량산정 방법
- 일괄제어,순차제어,
- 일괄제어,순차제어,
- J 비상발전기 운전시 과전압
- 과전압의발생원인
- AVR노후,오결선,고조파에의한전압외곡
- 사이리스터위상제어불능,진상부하시전기자반작용
- ATS절체시 전기위상발생,N상이 선입지절불능
- 고조파,AVR,무부하,콘덴서,절체,과전압보호
- K 고압 비상발전기*
문제
기출문제
발전설비
발전기 설비계획시 고려사항
발전기 분류
발전기 기동방식 비교
발전기 냉각방식
디젤발전기와 가스터빈 발전기 비교 설명
비상발전기 설계시 고려사항
가스터빈발전기의 검토사항
micro gas turbine
발전기 용량 산정방식
개정된 소방법 기준 용량산정 방법
소방전원우선보존형 발전기*
각국의 발전기용량 산정방식*
비상발전기 운전시 과전압
고압 비상발전기
비상발전기 계산문제
발전기 설계 및 분류
●E01 마이크로 가스터빈 발전기를 설명하시오
(마이크로 가스 터빈)
5️⃣마이크로 가스 터빈
- 가스터빈과 발전기, 제어장치가 하나의 패키지로 된
- 일축구조의 출력 100[kW]이하인 가스터빈발전시스템
1)구성도
압축기, 연소기, 터빈, 발전기 재생 열교환기, 인버터
2)특징
열효율 향상
공기베어링 방식
윤활유 계통 불필요,소형 유지보수 용이
인버터사용
발전기 고주파 교류전력 발생→직류화→60[Hz]교류 변환
재생사이클 채용
배기가스 연도로 증기 생산→가스터빈+증기터빈 발전 가능
○A02 비상발전기 환기량 산출방법중 디젤엔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G03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비상발전기실 설계시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7️⃣설치 장소 및 발전기실의 크기
- 기기의 반 출입이 용이한 장소
- 발전기 설비에 요하는 면적은 대략 1.7√P[㎡](P는 원동기의 마력 수)로 계산하는데 이에 충분한 면적이 확보
- 실내(지하실 등)에 설치할 때는 유지보수용 크레인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층고가 5[m]이상
- 바닥의 기초는 엔진의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 연료 및 냉각수 배관을 고려
- 환기가 잘 되는 장소
●A04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과 병렬운전 순서를 기술하시오
☑️발전기 병렬운전조건(전주극위순)
- 전압일치
- 주파수일치
- 극성일치
- 위상일치
- 순시전압
발전기 병렬운전과정
병렬운전 과정
- 발전기 준비: 발전기를 기동하고, 속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계통 주파수와 일치시킵니다.
- 전압 조정: 여자기를 조절하여 발전기 전압을 계통 전압과 일치시킵니다.
- 위상 일치: 동기화 장치를 이용하여 발전기와 계통의 위상을 일치시킵니다.
- 병렬 연결: 위상이 일치하면 접속기를 닫아 발전기를 계통에 병렬 연결합니다.
- 부하 분담: 발전기의 출력을 조절하여 부하를 분담합니다.
●E05 건축물의 예비전원설비에 가스터빈발전기를 적용하고자 한다. 이때 가스터빈발전기의 구조 특징 선정시 검토사항 및 시공 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E06 가스터빈발전기의 특징및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G07 예비전원설비로 자가용 발전설비를 설치할 경우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F08 비상발전기, 구동원으로 디젤엔진, 가스엔진, 가스터빈 방식에 대하여 발전효율, 시설비, 환경, 기동시간 , 부하변동에 따른 속응성, 소방용 비상전원으로 사용 시 고려사항등에 대하여 각각비교 설명하시오
●C09 발전기 시동방식에서 전기식과 공기식에 대하여 특성, 시설, 관리 및 장단점 비교 설명
●K10 건축물에 고압용 비상발전기 적용 시 고려사항
○11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과 병렬운전법
○J12 건축물의 비상발전기 운전 시 과전압의 발생원이 및 대책
(비상발전기 운전 시 과전압)
과전압의 발생원인
- AVR노후로 인한소손
- AVR오결선 및 진동
- 고조파나 비선형 부하에 의한 전압 왜곡
- 사이리스터 위상제어불능
- 진상부하 시 전기자 반작용
- ATS절체시 전기적 위상차이
- ATS N상이 선입지절 불능
발전기 과전압 사고 예방대책
- 고조파나 비선형 부하에 의해 과전압 발생대책
- 자기전압조정기의 점검
- 발전기 무부하운전 시 정상 출력 확인 후 부하운전 실기
- 진상부하에 의한 과전압 방지대책
- ATS절체 시 과전압 사고 예방대책
- 과전압 보호계전기
●J13 건축물 열병합 발전기와 전력회사 계통과 병렬운전시
1)터빈발전기 기기자체에 발생손상
2)손상방지 위한 동기투입조건 4가지와 이조건 불만족 시 문제점
●14 자가발전기와 무정전전원장치를 조합하여 운전할 때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5 2대의 동기발전기가 기전력과 위상이 다른 경우 병렬운전 했을때 나타나는 현상을 각각 설명하시오
●16 비상용 동기발전기에서 부하가 순수 저항부하, 순수 유도성부하일 때 부하전류에 따른 단자전압의 특성을 각각 식과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발전기 용량 선정
○H17 건축물의 비상발전기 용량 산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H18 비상발전기에 투입되는 유도전동기 1000[kW]를 안정되게 운전할수 있는 발전기 용량을 설계하시오
○H19 발전기 용량결정시 단상부하의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발전기 단상부하
1)단상부하
- 발전기에 단상부하를 접속 연결하면 발전기의 부하에 √3배의 부하를 접속한 것과 같이 되어 부하용량의 이용률이 줄어든다
- 이상현상
- 전압의 불평형
- 파형의 찌그러짐 현상
- 이상진동의 원인
- 대책
- 3상이 평형을 이루도록 부하를 골고루 분배하여 설계 및 운영
- 스콧변압기 설치
- 불평형을 10%이내로 유지
●H20 Rg계수에 의한 발전기 용량 산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 RG₁ 정상부하 출력계수
- RG₂ 허용 전압강하 출력계수
- RG₃ 기저부하 출력계수
- RG₄ 허용 역상전류 출력계수
○H21 자가발전설비의 부하 및 운전형태에 따른 발전기의 용량 산정시 고려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H22 비상용 발전기의 용량산정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H23 비상발전기의 출력용량을 결정시 전동기의 기동측성을 고려한 산정식을 제시하고 설명하시오
●H24 건축물에서 소방부하와 비상부하를 구분하고 소방부하 전원공급용 발전기의 용량 산정방법과 발전기 용량을 감소하기 위한 부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시오
●H25 Pg방식과 Rg방식
○H26 소방부하 겸용 발전기 용량산정 시 적용하는 수용률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H27 전기소방설비에서 비상전원의 종류 및 용량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H28 건축물의 비상발전기 용량산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기타
○K29 건축물에 정전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비상발전기의 기동시간이 문제되거나 기동 실패가 일어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대책을 설명하시오
●30 건축물에 설치하는 비상발전기의 출력전압 선정 시 저압과 고압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31 비상저압발전기가 설치된 수용가에 발전기 부하측 지락이나 누전을 대비하여 지락 과전류계전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불필요한 OCGR동작을 예방할 수있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2 비상용 디젤엔진 예비발전장치의 트러블 진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3 지하2층에 1000[kVA]디젤발전기를 설치하였다. 준공검사에 필요한 전기와 건축계적인 점검사항을 설명하시오
●34 건축물에 시설하는 디젤엔진 비상발전기의 보호계전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V1003T24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