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설계

제공

,

E 접지설비

접지 설계 (EP)

접지
IEEE std 80 접지설계 개념
IEC 접비설계

토양특성 검토
대지저항 측정법
대지구조 해석방법
접지저항 저감
보링공법(수직공법)
PGS공법
접지저항측정법

61.8%법칙
KEC140

  • E 접지(목적과 종류)
    • ☑️접지의목적(인고보전절)
    • 접지의 종류별 목적
    • ☑️접지설계시 고려사항(토류저방위인안보)
  • O IEEE std 80 접지설계 개념
    • 현장데이터, 접지선굵기, 안전기준전압, 예비설계, 접지저항, 최대전류, 전위상승 접촉전압 비교, 메쉬전압, Es<Estep,실시설계
  • O IEC 접비설계
    • 기초자료, 최소설계, 통합접지, 토양특성, EPR, 실제접촉 보폭전압, 설계개선, 이행전압 순환전류 확인, 요건충족, 설계완료

기출문제

접지설계시 고려사항
수변전설비에서 접지설계 시 고려할 항목을 5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토류저방위인안보
토양특성, 최대접지전류, 소요접지저항치, 접지방식, 전위경도, 인근설비, 안정성, 보조적인 접지

접지의 목적과 종류
일반적으로 전기회로나 전기기기의 외함을 접지하는 주요 목적 4가지는 무었인가

인축의 감전방지, 지락고장, 고장전류의 귀로형성
이상전압발생억제, 전로의 대지전압저감, 절연레벨저감, 보호기의 확실한 동작

IEEE std 80 접지설계 개념
IEE std 80에 의한 접지설계 흐름도를 제시하고 설명하시오

IEC 접비설계
변전실 접지설계 절차를 제시하고 설명하시오

기초자료, 최소설계, 통합접지, 토양특성, EPR(대지전위상승), 접촉 보폭전압 검토, 설계개선, 이행전압 순환전류, 요건충족, 설계완료

●망상 접지극 설계 시 도체의 굵기와 길이의 영향요소

접지설계시 고려사항 접지저항 저감
수변전설비의 접지설계 시 고려사항 및 접지저항 저감방법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토류저방위인안보
토양특성, 최대접지전류, 소요접지저항치, 접지방식, 전위경도, 인근설비, 안정성, 보조적인 접지

접지동봉,매설지선공법, 평판접지, 대상전극공법, 다중접지, 메시공법, 보링공법, 저감제주입법

●접지전극의 설계에서 설계목적에 맞는 효과적인 접지를 위한 단계별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접지 설계 (EP)

접지
IEEE std 80 접지설계 개념
IEC 접비설계

토양특성 검토
대지저항 측정법
대지구조 해석방법
접지저항 저감
보링공법(수직공법)
PGS공법
접지저항측정법

61.8%법칙
KEC140

💯기출문제(접지설계)

E01 수변전설비에서 접지설계 시 고려할 항목을 5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접지설계시 고려사항(토류저방위인안보) EPE01
  • 토양특성의 검토
  • 최대 접지전류의 결정
  • 소요접지 저항치 결정
  • 접지방식 선택
  • 전위 경도의 계산
  • 인근 설비와의 검토
  • 안전성 검토 및 대책
  • 보조적인 접지 개선의 실시

E02 일반적으로 전기회로나 전기기기의 외함을 접지하는 주요 목적 4가지는 무었인가

☑️접지의 목적(인고보전절) EPE02
  • 인축의 감전 방지
  • 고장전류방류
  • 보호계전기의 확실한 동작
  • 전위 상승 억제(낙뢰, 서지, 고압선 단락사고 시)
  • 절연레벨저감
  • 화재 및 폭발 방지
  • 전기회로의 절연파괴 방지에 따른 신뢰도 향상
  • 전위의 등전위화

O03 IEE std 80에 의한 접지설계 흐름도를 제시하고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접지설계시 플로우차트 EPO03)
  • 현장데이터(A, ρ)
  • 도체 굵기 결정(3I₀, tc, d)
  • 접촉/보폭전압 허용치 계산
  • 초기설계(D, n, Lc, Lt, h)
  • 접지저항계산(Rg, Lc, Lr)
  • 접지전류계산(Ig, tf)
  • GPR<Etouch
  • 접촉/보폭전압계산
  • Em<Etouch
  • Es<Estep
  • 실시설계

C04 변전실 접지설계 절차를 제시하고 설명하시오

☑️접지설계시 고려사항(토류저방위인안보) EPE01
  • 토양특성의 검토
  • 최대 접지전류의 결정
  • 소요접지 저항치 결정
  • 접지방식 선택
  • 전위 경도의 계산
  • 인근 설비와의 검토
  • 안전성 검토 및 대책
  • 보조적인 접지 개선의 실시

O05 망상 접지극 설계 시 도체의 굵기와 길이의 영향요소

모범답안(도체의 굵기와 길이 EPO05)

망상 접지극 설계에서 도체의 굵기와 길이는 접지 저항, 전압 분포, 경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 두 변수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려면 전기적 특성과 토양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1. 도체 굵기의 영향

전류 수용 능력

  • 단면적 증가(굵기 ↑)는 고장 전류 분산 효율을 18~35% 향상시킵니다. 예를 들어 50mm² → 95mm²로 변경 시 전류 밀도가 47% 감소[4].
  • 저항 감소 효과: 굵기 2배 증가 시 접지 저항 10% 감소[2][3]. 이는 표피 효과(skin effect)로 인해 고주파 전류가 도체 표면에 집중되기 때문입니다.

기계적 강도

  • 30mm² 구리 도체는 8kN 인장강도를 가지며, 빙결 토양의 수축력에 저항 가능.
  • NEC 기준 최소 굵기: 구리 6mm²(비접지 계통), 16mm²(피뢰계통).

2. 도체 길이의 영향

접촉 면적 확대

  • 길이 2배 증가 시 접지 저항 40% 감소. 50m 길이 도체는 25m 대비 유효 접촉 면적 2.3배 증가
  • 62% 규칙: 전위 전극을 접지극-전류극 거리의 62% 위치에 배치할 때 최적 측정 정확도 확보.

메시 구성 최적화

  • 5×5m 메시 크기에서 그리드 저항 2.33Ω → 20×20m 시 0.92Ω.
  • 외곽 도체 추가 시 동일 길이에서 접촉전압 113V 감소 효과[5]. 이는 전위 경사도를 완화시키기 때문입니다.

3. 상호 연관성 및 설계 제약

경제적 트레이드오프

  • 도체 길이 1m 증가 시 공사비 7% 상승. 100×100m 메시에서 5m → 2.5m 간격 변경 시 재료비 94% 증가.
  • 최적화 지점: 35mm² 굵기 + 50m 길이 조합이 500kA·s 용량 시스템에서 비용대비 효율 최적.

토양 조건 반영

  • 점토 지반(저항률 50Ω·m)에서는 길이 확장이 효과적이지만, 사질토(200Ω·m)에서는 굵기 증가보다 화학적 처리(벤토나이트)가 68% 더 효율적.
  • 동결 깊이 아래 매설 시 계절적 저항 변동을 22% 이내로 제어 가능.

4. 표준 및 안전 요구사항

  • IEC 62305: 뇌서지 방지용 메시 접지 시 최소 50mm² 구리 도체 규정.
  • KEC 142: 154kV 이상 계통에서 1선 지락 전류 25kA 발생 시 0.5초 내 견디기 위해 150mm² 이상 요구
  • IEEE 80: 접촉전압 75V 미만 보장을 위해 메시 외곽 도체 밀도 2배 권고

설계 프로세스 예시

1.토양 저항률 측정(위너 4전극법)

2.허용 접촉전압 계산(V_touch = 0.116/√t [s])

3.도체 단면적 선정:

\[ A = \frac{I_{fault} \cdot \sqrt{t}}{K} \]

(K=720 구리)

4.경제성 분석: 재료비 vs 유지보수 비용 교차점 계산

이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않을 경우, 접지 시스템이 과도전압에 취약해지거나 불필요한 건설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도체 굵기의 영향

  • 접지 저항: 도체가 굵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여 전류 흐름에 대한 저항이 감소합니다. 즉, 도체가 굵을수록 접지 저항이 낮아져 접지 효과가 향상됩니다.
  • 전압 강하: 굵은 도체는 얇은 도체에 비해 전압 강하가 적어 접지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 경제성: 도체 굵기를 무한히 늘릴 수는 없으며, 경제적인 측면과 시공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굵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도체 길이의 영향

  • 접지 면적: 도체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접지 면적이 넓어져 토양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합니다. 이는 접지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 토양 저항: 토양의 종류와 함수량에 따라 접지 저항이 달라지므로, 도체의 길이를 무한히 늘린다고 해서 항상 접지 저항이 비례적으로 감소하지는 않습니다.
  • 시공성: 도체 길이가 너무 길어지면 시공이 어려워지고,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설계 시 고려 사항

  • 토양 조건: 토양의 종류, 함수량, 염분 함량 등은 접지 저항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해당 지역의 토양 조건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 시스템 용량: 보호해야 할 시스템의 용량에 따라 필요한 접지 저항 값이 달라집니다.
  • 법규 및 표준: 관련 법규 및 표준에서 요구하는 접지 저항 값을 준수해야 합니다.
  • 경제성: 접지 시스템의 성능과 비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설계를 수행해야 합니다.

E06 수변전설비의 접지설계 시 고려사항 및 접지저항 저감방법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접지설계시 고려사항(토류저방위인안보) EPE01
  • 토양특성의 검토
  • 최대 접지전류의 결정
  • 소요접지 저항치 결정
  • 접지방식 선택
  • 전위 경도의 계산
  • 인근 설비와의 검토
  • 안전성 검토 및 대책
  • 보조적인 접지 개선의 실시

모범답안(접지저항 저감법 EPD06)
  • 접지동봉
  • 매설지선
  • 평판접지
  • 대상전극
  • 다중접지시트
  • 메시공법
  • 보링공법
  • 화학적저감법

E07 접지전극의 설계에서 설계목적에 맞는 효과적인 접지를 위한 단계별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접지설계시 고려사항(토류저방위인안보) EPE01
  • 토양특성의 검토
  • 최대 접지전류의 결정
  • 소요접지 저항치 결정
  • 접지방식 선택
  • 전위 경도의 계산
  • 인근 설비와의 검토
  • 안전성 검토 및 대책
  • 보조적인 접지 개선의 실시

💯기출문제(대지저항)

R08 접지설계 시 대지파라미터 추정을 위한 대지구조 해석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대지파라미터를 추정하는방법 EPR08)
  • 전기저항 역산법
  • 전기 검층법
  • ρ-a곡선법

N09 접지설계 시 대지저항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대지저항율(토수온계화해암) EPN09

접지설계 시 대지저항률은 시스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주로 토양의 조성, 수분 함량, 온도, 화학적 구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저항률을 변화시킵니다.

1. 토양 조성

토양의 구성 성분은 대지저항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점토나 이탄 같은 미네랄이 풍부한 토양은 전기 전도성이 높아 저항률이 낮습니다. 반면 모래나 자갈이 많은 토양은 전도성이 떨어져 저항률이 높게 나타납니다. 특히 석회암 지대는 500~400,000Ω·cm 범위로 극히 높은 저항률을 보일 수 있습니다[6].

2. 수분 함량

토양의 수분은 이온 전도를 촉진시켜 저항률을 낮춥니다. 건조한 토양보다 습한 토양에서 저항률이 최대 80%까지 감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계절적 변화나 동결 현상으로 인해 수분 함량이 변동하면 저항률도 불안정해집니다.

3. 온도 영향

온도가 낮아지면 토양 내 수분이 얼어 이온 이동이 억제됩니다. 동결 상태에서는 저항률이 급격히 증가하며, 이는 겨울철 접지 시스템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입니다. 예를 들어, 영하 10℃에서 점토 토양의 저항률은 25℃ 대비 약 3배 증가합니다.

4. 화학적 구성

염분이나 탄소 함량이 높은 토양은 전해질 농도가 증가하여 저항률을 낮춥니다. 벤토나이트나 목탄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면 수분 유지력이 향상되어 저항률을 16~48%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일이나 유기물 오염은 절연 효과를 일으켜 저항률을 높입니다.

5. 측정 및 설계 고려사항

  • 다층 토양 분석: 위너 4전극법을 통해 수직적 층상 구조를 파악해야 합니다.
  • 전극 심도: 영구 지하수면 아래에 전극을 설치하면 안정된 저항률 확보가 가능합니다.
  • 계절별 보정: 건기와 우기, 동결기 별 측정 데이터를 종합해 설계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지 않을 경우, 접지 시스템의 임피던스가 증가해 접촉전압 위험이 커지거나 장비 손상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현장 조건에 맞는 토양 저항률 프로파일링과 동적 설계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N10 접지설계 시 고려하는 대지저항률의 개념 및 대지저항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대지저항률 EPN10)

대지저항률은 토양이 전류 흐름을 얼마나 잘 방해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는 Ω·m(옴 미터)를 사용합니다. 쉽게 말해, 대지저항률이 높을수록 토양이 전기를 잘 통하지 않는다는 의미

☑️대지저항율(토수온계화해암) EPN09
  • 토양의 특성
  • 수분함유량
  • 온도
  • 계절예 따른 변화
  • 화학물질
  • 해수의 영향
  • 암석의 영향

N11 대지저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지저항율(토수온계화해암) EPN09
  • 토양의 특성
  • 수분함유량
  • 온도
  • 계절예 따른 변화
  • 화학물질
  • 해수의 영향
  • 암석의 영향

💯기출문제(소요접지저항 결정)

N12 대지저항률의 측정방법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접지저항 측정법 EPN12)
  • 전위강하법
  • 간편화된 전위강화법
  • 61.8%법
  • 클램프 온 미터법
  • 콜라우시 브리지법

N13 위너의 4전극법에 의한 대지저항률의 측정법

https://cq4l.com/접지저항-측정법/

모범답안(위너의 4전극법 EPN13)

2)위너 4전극법

  • 4개의 전극(C₁, P₁, P₂, C₂) 을 일전한 등간격(a)으로 설치하여 C₁, C₂에 전류를 흘리고, P₁, P₂의 전압을 측정하여 R값을 측정
  • ρ=2πaR, R=2πa(V/I)에 수식을 대비하여 토양의 고유저항을 측정

N14 대지저항률 측정에 사용되는 전위강하법 기반인 3전극법과 위너의 4전극법을 비교 설명하시오

모범답안(3전극법과 4전극법 EPN14)

대지저항률 측정에 사용되는 3전극법(전위강하법)과 위너(Wenner) 4전극법은 각각 다른 측정 원리와 적용 분야를 가진 방법입니다. 두 방법의 핵심 차이점은 전극 배열, 측정 목적, 데이터 해석 방식에 있습니다.

3전극법 EPN
3전극법 EPN

1. 3전극법(전위강하법)

측정 원리

  • 접지 전극(C1/P1), 전류 전극(C2), 전위 전극(P2)으로 구성[1][6].
  • 접지 시스템과 “진정한 대지” 간 저항 측정에 특화[7].
  • 전류 전극(C2)과 접지 전극 사이에 교류 전류(I)를 인가한 후, 전위 전극(P2)에서 전압(V) 측정[8].
  • Ohm의 법칙 적용:
\[ R_g = \frac{V}{I} \]

측정 절차

  1. 전류 전극(C2)을 접지 전극에서 25~50m 이격 설치
  2. 전위 전극(P2)을 C1-C2 거리의 62% 위치에 배치(62% 규칙)
  3. 전극 간 간격 재측정 시 측정값 변동이 30% 미만일 때 유효

적용 분야

  • 기존 접지 시스템(변전소, 발전소)의 접지 저항 평가
  • 대형 접지망에서의 전위 분포 분석

한계점

  • 인근 구조물의 전자기 간섭에 민감
  • 측정 공간이 넓게 요구되며 도심지 적용 어려움

2. 위너 4전극법

측정 원리

  • 4개의 동일 간격 전극(C1-P1-P2-C2)을 직선 배열
  • 외측 두 전극(C1, C2)에 전류(I) 인가, 내측 전극(P1, P2) 간 전압(V) 측정
  • 대지저항률 계산식:
\[ \rho = 2\pi a R \]

(a: 전극 간격, R: 측정 저항)

측정 절차

  1. 전극을 1~30m 간격으로 배치(측정 깊이=전극 간격)
  2. 다층 토양 분석 시 전극 간격을 점진적으로 확대하여 반복 측정
  3. ASTM G57 기준에 따른 표준화된 방법

적용 분야

  • 토양의 수직적 층상 구조 분석
  • 새 접지 시스템 설계 전 초기 지반 조사

한계점

  • 표면 토양의 습도/동결 상태에 측정값이 민감
  • 인근 금속 매설물이 있을 경우 오차 발생 가능

3. 핵심 비교 요소

구분3전극법4전극법
전극 수3개(C1/P1, C2, P2)4개(C1, P1, P2, C2)
주요 공식\[ R = V/I \]\[ \rho = 2\pi a R \]
측정 대상접지 전극의 저항토양의 저항률
공간 요구수십 미터 이상전극 간격(a)의 3~5배
데이터 특성단일 깊이 저항값다층 토양의 저항률 프로파일링
표준 규격IEEE 81ASTM G57
환경 영향인공 구조물 간섭 민감표면 습도/동결 상태 영향 큼

현장 적용 시 고려사항

  • 3전극법은 기존 접지 시스템 유지보수에, 4전극법은 신규 접지 시스템 설계에 적합
  • 동결 지반에서는 4전극법 측정값이 3전극법 대비 최대 47% 편차 발생
  • 좁은 공간에서는 3전극법 대신 별형(Star-Delta) 배열 변형법 사용 가능.

615 전위강하법을 이용한 접지저항 측정에서 측정값의 오차가 최소가 되는 조건(61.8%)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 (61.8%법 EP615)

3️⃣61.8%법

  • 이 측정방법은 대지 비저항이 균일한 장소에 적용
  • 61.8%법은 전위강하법을 이용하여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전류보조극의 거리를 접지체로부터 C로 하고 전압보조극의 거리를 C의 61.8%로 하여 측정된 접지저항값을 측정값으로 결정
  • 대지 비저항이 균일하지 않다면 측정치에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지만 한번의 측정으로 접지저항값을 얻을 수 있는 장점

C16 접지저항 측정 시, 전위 강하법에 의한 측정방법과 측정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 (전위강하법 EPC16)

1️⃣전위강하법

  • 정의
    • 하나의 전극에 접지전류I[A]를 유입하면 접지전극의 전위가 주변의 대지에 비하여 V[V]만큼 높아지는데, 이때 전위상승값과 접지전류의 비V/I[Ω]을 그 접지전극의 접지저항으로 한다
전위강하법
  • 측정
    • E,C간에 전원을 이어서 전류를 흘리고 EP간의 전압을 측정하여 R=V/I를 구한다
    • 다음수식을 대입하여 토양의 고유저항을 측정한다
\[\rho=\frac{2\pi lR}{\ln\frac{2l}{r}}, R=\frac{\rho}{2\pi l}\cdot\ln\frac{2l}{r}\]
  • 특징
    • AC전원 사용
    • DC 사용 시 전기 화학작용으로 인하여 부식되는 단점

D17 접지저항 저감재의 구비조건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접지저항 저감법 EPD17

1️⃣물리적인 저감방법

1)수평공법

  • 접지동봉
    • 접지동봉 치수 확대, 병렬접속하여 접지저항을 저감
    • 매설깊이를 깊게 한다
  • 매설지선공법
    • 접지극의 길이를 길게 하는 공법으로, 일반적으로 30[m]전후가 저감효과가 크다
    • 송전선의 철탑, 소규모 발전소, 피뢰기 등에 적용하는 방식
  • 평판접지공법
    • 매설 시 표면저항값의 증가에 주의하여야 하며, 직렬 시공이 효과적
    • Size의 종류로는 가로*세로, 300*300, 600*600, 900*900[㎟] 의 크기
  • 대상전극공법
    띠접지라고 하며 매설지선공법과 도전성 저감재료로 도포하여 접지저항을 낮추는 방법
  • 다중접지 시트
    • 알루미늄박과 특수유리를 3매 겹쳐서 만드는 것
    • 가볍고 유연성이 좋아서 토양에 적응하기 쉽고 접촉저항이 낮은 것이 특징
  • 메시공법
    • 나동선 50[] 이상을 그물 모양으로 한 것으로 한 변의 길이가 수백 미터되는 것도 있다
    • 대규모 발전소, IBS 빌딩에 적용

2)수직공법(보링공법)

  • 고유저항은 토양의 깊이, 조밀도, 수분 함유율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대지를 분석한후 장비를 이용하여 보링(Boring)한다
  • 일반적으로 시공깊이는 1공당 암반 지층이 발견되는 시점까지 파도록 하며 보링의 직경은 100~200Φ정도
  • 전극의 설치는 접지봉 2~3개를 나동선과 연결하거나 미리 성형한 고강도 접지봉을 구멍에 넣은 후 빈 공간에 하이퍼스를 물과 혼합하여 흩려 놓는다
  • 시공부지가 협소하거나 대지의 고유저항이 높은 경우에 주로 사용

2️⃣화학적 저감법

1)조건

  • 저감효과가 영구적일 것
  • 접지극 부식이 없을것
  • 공해가 없을 것
  • 경제적이고 공법이 용이할 것

2)종류

  • 화학적 저감제 : 화이트 아스론, 티코겔, 케미어스 등
구분화이트 아스론티코겔
성분주재(소석고)+
도전성 보조제(염화칼슘)
주재(규산소다)+경화제(소석고)
+경화촉진제(황산수소나트륨)
외관백색분말규산소다(반투명 액체)
황산수소나트륨(백색분말)
소석고(백색분말)
고유저항12[Ω·m]50~60[Ω·m]
사용방법20~30[L]물+
10[kg]아스론 혼합 사용
12[L]물+
5[kg]티코겔 성분을 혼합 사용
  • 도전성 저감체 : 시멘트계 저감제

3)저감제 주입법

4)저감제 특징

  • 고유저항을 화학적으로 저감하는 방법
  • 염, 암모니아, 탄산소다 등을 주변에 혼합하여 사용
  • 처음에는 효과가 있으나 1~2년 후면 효과가 없다.

B18 보링접지(심매설접지)시설의 설계, 시공절차, 시공 시 고려사항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 (보링공법 EPB18)

❓보링공법(접지)은

  • 물리적 방법의 하나며, 심타공법(수직공법)의 하나
  • 접지극을 지표면에 매설하지 않고, 보링으로 구멍을 뚫어서 그 속에 접지극을 설치

1️⃣특징

  • 일반적으로 깊을수록 대지저항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 접지저항값을 급격히 낮출 수있음
  • 타 접지방법에 비하여 제한된 환경에서의 저저항접지 확보가 용이
  • 공사비가 고가이므로 설계 시 공법의 타당성 검토와 최적의 보링깊이를 산정하는 것이 필요
  • 대지는 보통 수평 다층 구조이나 해석의 편의성을 위해 수평 2층 구조로 해석

2️⃣설계순서

  • 기준 접지저항 선정
  • 계절 변동 고려
  • 소요 접지저항 결정
  • 사전조사 필요 여부 결정
  • ρ-a곡선 작성
  • 대지파라미터 작성
  • 접지공사 방법 선정
  • 설계도면 및 사양서 선정

3️⃣보링접지의 설계

1)대지저항률 측정

  • Wenner 4전극법을 사용
  • 지중깊이 a까지를 평균적인 대지저항률로 함
  • 대지저항률의 측정위치는 보링시설 위치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a값을 측정
  • ρ-a곡선 분석을 위하여 7회 이상 측정 데이터를 수집

2)보링깊이 추정

  • 보링깊이의 산정은 ρ-a곡선을 분석하여 가장 낮은 값 지점에서 보링깊이를 산정
  • 접지저항 예측 계산 : 설계 차원에서의 보링깊이를 추정
\[R=\frac{\rho}{2\pi L}[\ln\frac{8L}{D}-1]\]

4️⃣대지저항률 해석

  • 대지구조 해석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 해석적 방법을 활용 : 신뢰성, 인력절감
  • Wenner의 4전극법에 의한 대지변수를 추종방법

5️⃣보링공법의 종류

1)고강도 접지봉을 이용하는 공법

  • 일반적인 방법

2)고강도 원통형 접지봉 공법

  • 보링 후 원통형 접지봉 삽입
  • 저감제 투입 전 흙 되메우기(확산 대비)
  •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접지저감제 투입
  • 매설 표지판 설치

3)고장도 접지판을 이용하는 공법

  • 폭50[㎝], 깊이75[㎝]의 홈을 판다
  • 접지판에 GV전선을 용융접속후 흙으로 되메우기(비주입식)
  • 저감제 투입구로 접지저항 저감제 투입 후 흙으로 되메우기(주입식)

4)PGS공법

  • 매설 표지판 설치
  • PSG 관리 외함 설치
  • 산산, 낙도 등에 사용 가능

6️⃣보링공사방법

1)사전조사

  • 지하매설물 조사
  • 복수 접지극 설치 시 대지를 충분히 확보
  • 보링기계 설치 가능 조사
  • 부지 소유자, 시설 관할관청 등과 협의

2)보링접지의 시설절차

  • 보링기계 설치
    • 보링기 로드의 연결 높이를 고려
    • 보링작업에 따른 지반붕괴에 대한 고려
    • 보링시설 위치에 지하 매설물 여부 고려
  • 보링작업
    • 지하매설물 조사
    • 지하매설물 여부를 감시하며 작업
    • 접지전극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유지
      • 가능한 최소 직경
      • 환경에 따라 보링의 강도를 높여야 할 경우에 직경을 확대하여 실시
    • 접지저항을 수시로 측정 확인
      • 설계저항값을 만족하면 보링작업을 중단
    • 설계깊이 도달 시
      • 설계저항값이 조금 모자라면 만족할 때까지 계속 보링
      • 설계저항값이 많이 모자라면 재설계
  • 접지전극 시설
    • 접지전극을 투입
    • 지표면으로 접지전극 단자를 인출할 수 있도록 조치
  • 마무리 : 홀 공간에 접지 저감제를 투입

7️⃣보링접지의 시공 시 고려사항

  • 접지공사에 사용되는 접지선 접지전극, 부속자재와 시공방법은 규격에 적합해야 한다
  •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 금속관, 합성수지관 등에 넣는다
  • 피뢰침, 피뢰기용 접지도선은 노출 시공을 원칙으로 한다
  • 충진재는 고강도 시멘트형으로 90[kgf/㎠]이상의 압축강도가 원칙이다
  • 접지극은 내부식성, 내전식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 대지전위 상승의 영향이 없는 지역에 설치한다
  • 접지극과 접지선으로 완전히 접속되어야 한다

D19 밀집된 도심지에서 초고층 빌딩 접지에 따른 접지저항 저감 및 접지 적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접지저항 저감법 EPD17

1️⃣물리적인 저감방법

1)수평공법

  • 접지동봉
    • 접지동봉 치수 확대, 병렬접속하여 접지저항을 저감
    • 매설깊이를 깊게 한다
  • 매설지선공법
    • 접지극의 길이를 길게 하는 공법으로, 일반적으로 30[m]전후가 저감효과가 크다
    • 송전선의 철탑, 소규모 발전소, 피뢰기 등에 적용하는 방식
  • 평판접지공법
    • 매설 시 표면저항값의 증가에 주의하여야 하며, 직렬 시공이 효과적
    • Size의 종류로는 가로*세로, 300*300, 600*600, 900*900[㎟] 의 크기
  • 대상전극공법
    띠접지라고 하며 매설지선공법과 도전성 저감재료로 도포하여 접지저항을 낮추는 방법
  • 다중접지 시트
    • 알루미늄박과 특수유리를 3매 겹쳐서 만드는 것
    • 가볍고 유연성이 좋아서 토양에 적응하기 쉽고 접촉저항이 낮은 것이 특징
  • 메시공법
    • 나동선 50[] 이상을 그물 모양으로 한 것으로 한 변의 길이가 수백 미터되는 것도 있다
    • 대규모 발전소, IBS 빌딩에 적용

2)수직공법(보링공법)

  • 고유저항은 토양의 깊이, 조밀도, 수분 함유율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대지를 분석한후 장비를 이용하여 보링(Boring)한다
  • 일반적으로 시공깊이는 1공당 암반 지층이 발견되는 시점까지 파도록 하며 보링의 직경은 100~200Φ정도
  • 전극의 설치는 접지봉 2~3개를 나동선과 연결하거나 미리 성형한 고강도 접지봉을 구멍에 넣은 후 빈 공간에 하이퍼스를 물과 혼합하여 흩려 놓는다
  • 시공부지가 협소하거나 대지의 고유저항이 높은 경우에 주로 사용

2️⃣화학적 저감법

1)조건

  • 저감효과가 영구적일 것
  • 접지극 부식이 없을것
  • 공해가 없을 것
  • 경제적이고 공법이 용이할 것

2)종류

  • 화학적 저감제 : 화이트 아스론, 티코겔, 케미어스 등
구분화이트 아스론티코겔
성분주재(소석고)+
도전성 보조제(염화칼슘)
주재(규산소다)+경화제(소석고)
+경화촉진제(황산수소나트륨)
외관백색분말규산소다(반투명 액체)
황산수소나트륨(백색분말)
소석고(백색분말)
고유저항12[Ω·m]50~60[Ω·m]
사용방법20~30[L]물+
10[kg]아스론 혼합 사용
12[L]물+
5[kg]티코겔 성분을 혼합 사용
  • 도전성 저감체 : 시멘트계 저감제

3)저감제 주입법

4)저감제 특징

  • 고유저항을 화학적으로 저감하는 방법
  • 염, 암모니아, 탄산소다 등을 주변에 혼합하여 사용
  • 처음에는 효과가 있으나 1~2년 후면 효과가 없다.

https://cq4l.com/접지저항-저감법/

D20 주변전설비의 접지설계 시 고려사항 및 접지저항 저감방법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접지저항 저감법 EPD17

1️⃣물리적인 저감방법

1)수평공법

  • 접지동봉
    • 접지동봉 치수 확대, 병렬접속하여 접지저항을 저감
    • 매설깊이를 깊게 한다
  • 매설지선공법
    • 접지극의 길이를 길게 하는 공법으로, 일반적으로 30[m]전후가 저감효과가 크다
    • 송전선의 철탑, 소규모 발전소, 피뢰기 등에 적용하는 방식
  • 평판접지공법
    • 매설 시 표면저항값의 증가에 주의하여야 하며, 직렬 시공이 효과적
    • Size의 종류로는 가로*세로, 300*300, 600*600, 900*900[㎟] 의 크기
  • 대상전극공법
    띠접지라고 하며 매설지선공법과 도전성 저감재료로 도포하여 접지저항을 낮추는 방법
  • 다중접지 시트
    • 알루미늄박과 특수유리를 3매 겹쳐서 만드는 것
    • 가볍고 유연성이 좋아서 토양에 적응하기 쉽고 접촉저항이 낮은 것이 특징
  • 메시공법
    • 나동선 50[] 이상을 그물 모양으로 한 것으로 한 변의 길이가 수백 미터되는 것도 있다
    • 대규모 발전소, IBS 빌딩에 적용

2)수직공법(보링공법)

  • 고유저항은 토양의 깊이, 조밀도, 수분 함유율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대지를 분석한후 장비를 이용하여 보링(Boring)한다
  • 일반적으로 시공깊이는 1공당 암반 지층이 발견되는 시점까지 파도록 하며 보링의 직경은 100~200Φ정도
  • 전극의 설치는 접지봉 2~3개를 나동선과 연결하거나 미리 성형한 고강도 접지봉을 구멍에 넣은 후 빈 공간에 하이퍼스를 물과 혼합하여 흩려 놓는다
  • 시공부지가 협소하거나 대지의 고유저항이 높은 경우에 주로 사용

2️⃣화학적 저감법

1)조건

  • 저감효과가 영구적일 것
  • 접지극 부식이 없을것
  • 공해가 없을 것
  • 경제적이고 공법이 용이할 것

2)종류

  • 화학적 저감제 : 화이트 아스론, 티코겔, 케미어스 등
구분화이트 아스론티코겔
성분주재(소석고)+
도전성 보조제(염화칼슘)
주재(규산소다)+경화제(소석고)
+경화촉진제(황산수소나트륨)
외관백색분말규산소다(반투명 액체)
황산수소나트륨(백색분말)
소석고(백색분말)
고유저항12[Ω·m]50~60[Ω·m]
사용방법20~30[L]물+
10[kg]아스론 혼합 사용
12[L]물+
5[kg]티코겔 성분을 혼합 사용
  • 도전성 저감체 : 시멘트계 저감제

3)저감제 주입법

4)저감제 특징

  • 고유저항을 화학적으로 저감하는 방법
  • 염, 암모니아, 탄산소다 등을 주변에 혼합하여 사용
  • 처음에는 효과가 있으나 1~2년 후면 효과가 없다.

https://cq4l.com/접지저항-저감법/

D21 접지극의 접지저항 저감방법(물리적, 화학적)

모범답안 (접지저항 저감법 EPD17)

1️⃣물리적인 저감방법

1)수평공법

  • 접지동봉
    • 접지동봉 치수 확대, 병렬접속하여 접지저항을 저감
    • 매설깊이를 깊게 한다
  • 매설지선공법
    • 접지극의 길이를 길게 하는 공법으로, 일반적으로 30[m]전후가 저감효과가 크다
    • 송전선의 철탑, 소규모 발전소, 피뢰기 등에 적용하는 방식
  • 평판접지공법
    • 매설 시 표면저항값의 증가에 주의하여야 하며, 직렬 시공이 효과적
    • Size의 종류로는 가로*세로, 300*300, 600*600, 900*900[㎟] 의 크기
  • 대상전극공법
    띠접지라고 하며 매설지선공법과 도전성 저감재료로 도포하여 접지저항을 낮추는 방법
  • 다중접지 시트
    • 알루미늄박과 특수유리를 3매 겹쳐서 만드는 것
    • 가볍고 유연성이 좋아서 토양에 적응하기 쉽고 접촉저항이 낮은 것이 특징
  • 메시공법
    • 나동선 50[] 이상을 그물 모양으로 한 것으로 한 변의 길이가 수백 미터되는 것도 있다
    • 대규모 발전소, IBS 빌딩에 적용

2)수직공법(보링공법)

  • 고유저항은 토양의 깊이, 조밀도, 수분 함유율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대지를 분석한후 장비를 이용하여 보링(Boring)한다
  • 일반적으로 시공깊이는 1공당 암반 지층이 발견되는 시점까지 파도록 하며 보링의 직경은 100~200Φ정도
  • 전극의 설치는 접지봉 2~3개를 나동선과 연결하거나 미리 성형한 고강도 접지봉을 구멍에 넣은 후 빈 공간에 하이퍼스를 물과 혼합하여 흩려 놓는다
  • 시공부지가 협소하거나 대지의 고유저항이 높은 경우에 주로 사용

2️⃣화학적 저감법

1)조건

  • 저감효과가 영구적일 것
  • 접지극 부식이 없을것
  • 공해가 없을 것
  • 경제적이고 공법이 용이할 것

2)종류

  • 화학적 저감제 : 화이트 아스론, 티코겔, 케미어스 등
구분화이트 아스론티코겔
성분주재(소석고)+
도전성 보조제(염화칼슘)
주재(규산소다)+경화제(소석고)
+경화촉진제(황산수소나트륨)
외관백색분말규산소다(반투명 액체)
황산수소나트륨(백색분말)
소석고(백색분말)
고유저항12[Ω·m]50~60[Ω·m]
사용방법20~30[L]물+
10[kg]아스론 혼합 사용
12[L]물+
5[kg]티코겔 성분을 혼합 사용
  • 도전성 저감체 : 시멘트계 저감제

3)저감제 주입법

4)저감제 특징

  • 고유저항을 화학적으로 저감하는 방법
  • 염, 암모니아, 탄산소다 등을 주변에 혼합하여 사용
  • 처음에는 효과가 있으나 1~2년 후면 효과가 없다.

🌐V0408T25 / EP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