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사용설명서(눌러서 자세히보기)
► 가독성을위해 내용을 숨겨둔곳입니다. 눌러서 펼쳐보실수있습니다.
밑줄이있는글자를 누르시면 해당링크가 열립니다.
밑줄이 있는 내용을 펼쳐보고싶으면 색이있는 다른부분을 누르세요.
목차 (접지설비 E)
E 접지설
접지 설계 (EP)
E 접지
O IEEE std 80 접지설계 개념
O IEC 접비설계
N 토양특성 검토
R 대지구조 해석방법
D 접지저항 저감
B 보링공법(수직공법)
P PGS공법
C 접지저항측정법
6 61.8%법칙
KEC140
EP 접지 설계
- E 접지(목적과 종류)
- ☑️접지의목적(인고보전절)
- 접지의 종류별 목적
- ☑️접지설계시 고려사항(토류저방위인안보)
- O IEEE std 80 접지설계 개념
- 현장데이터, 접지선굵기, 안전기준전압, 예비설계, 접지저항, 최대전류, 전위상승 접촉전압 비교, 메쉬전압, Es<Estep,실시설계
- O IEC 접비설계
- 기초자료, 최소설계, 통합접지, 토양특성, EPR, 실제접촉 보폭전압, 설계개선, 이행전압 순환전류 확인, 요건충족, 설계완료
- N 대지저항(토양의 특성)
- ☑️대지저항율(토수온계화해암)
- 2전극,위너4전극,간이측정법
- D 접지저항 저감
- 물리적, 화학적
- B 보링공법(수직공법)
- P PGS(perfect ground system)공법
- KEC140접지
- 203.1, 142.5, 322.5
접지방법결정 (EM)
(목적에따른)
N 중성점 접지방법
R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B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형태에따른)
O 단독접지와 공용접지
S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T 통합 공통접지방식
E 등전위 본딩
G 접지선 접지봉
T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EM 접지방법의 결정
(목적에 따른)
- N 중성점 접지방법(142.5)
- ☑️접지의목적(대지전압, 이상전압, 계전기의 동작, 아크)
- ☑️접지의종류(비접지, 직접, 저항, 소호리액터)
- R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 유효접지, 비유효접지
- 1선지락사고시 다른건전선로 2상의 대지전압이 상전압에서 선간전압까지 상승여부
- 유효접지의 조건과 만족범위
- B 배전계통의 접지(IEC 60364-3)*
- TN, TT, IT
- PEN, PEM, PEL
(형태에따른)
- O 단독접지와 공용접지(142.6)
- S 구조체 접지설계 시 검토사항
- 인공접지, 자연접지, 구조체접지
- T 통합 공통접지방식
- E 등전위 본딩(143)
- 감전보호용KEC143, 피뢰KEC153.2, 기능용
- G 접지선 접지봉
- 접지선, 접지극KEC142.2
- T 접촉전압과 보폭전압
- ☑️접지설계시 고려사항(토류저방위인안보)
- 전위경도감소, 접촉저항증가
접지설비 (EG)
EG 접지의 실체
- H 병원 접비시스템
- 의료설비감전, 의료용접지, 수술용접지, 인체반응, 접지부하, 접지기준
- 의료장소의 전기설비의 시설
- 의료장소의구분, 접지계통, 보호설비, 비상전원
- M 마이크로쇼크 매크로쇼크
- L 약전용 접지
- 기준전위, 전도성노이즈, 방사성노이즈, 종합적노이즈
- D 접지설계 최근동향
목차 (접지설비 E)
E 접지설
🌐V1003T24 / E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