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에너지실무

제공

🔯자동제어 🗄️

https://en.cq4l.com/자동제어

😽J1 자동제어

종류21A04 19C03
비례17a0420d04
종류16A0316b0123A10
19A0220C0118B03
보일러19A0921A0917C10
22A0924b13
주의점17C09

19C03►자동제어의 연속동작 중 P, I, D 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21A04►자동제어 중 연속동작 6가지를 쓰시오.

J1 자동제어(비례,적분,미분)

●비례동작(P) : 조작부를 편차의 크기에 비례하여 움직이게 하는 동작 외란이 있으면 잔류편차가 발생한다. 비례동작으로 동작신호에 대하여 조작량의 출력변화가 일정한 비례관계에 있는 제어동작으로 외란이 있으면 잔류편차가 발생한다.

●적분동작(I) : 제어량에 편차가 생겼을 때 편차의 적분차를 가감하여 조작단의 이동속도가 비례하는 동작으로 잔류편차가 제거되지만 진동하는 경향이 있어 제어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미분동작(D) : 조절계의 출력 변화가 편차의 변화속도에 비례하는동작 조작량이 동작 신호의 미분치에 비례하는 동작으로 제어량의 변화 속도에 비례한 정적동작을 한다. 일반적으로 진동이 제거되어 빨리안정되며 비례동작과 함께 사용된다.

● 비례적분동작(PI)

● 비례적분미분동작(PID)

● 비례미분동작(PD)

17a04►자동제어 연속 제어동작 중 비례동작의 특징 4가지를 설명하시오.

J1 자동제어(비례동작의 특징)
  • 동작신호에 대하여 조작량의 출력변화가 일정한 비례관계에 있는 제어동작이다.
  • 외란이 있으면 잔류편차(off set)가 발생한다
  • 반응온도 제어 보일러 수위제어 등과 같이 부하 변화가 작은 곳에 사용된다.
  • 비례대를 좁게 하면 조작량(밸브의 움직임)이 커진다.  
  • 비례대가 좁게 되면 2위치 동작과 같게 된다.

16A03►자동제어에서 다음 제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J2 자동제어(시퀀스,피드백,인터록)

❶ 시퀀스 제어 : 미리 정해진 순서에따라 다음 동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로 자동판매기, 보일러의 점화 등이 있다.
❷ 피드백 제어 : 제어량의 크기와 목표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일치하도록 되돌림 신호를 보내어 수정동작을 하는 제어방식
❸ 인터록제어 : 보일러의 안전한 운전을 위하여 어떤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의 동작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제어방식

19A09►보일러 자동제어에서 제어랑 및 조작량 항목을 각각 쓰시오.

17C09►보일러 자동제어를 위한 장치의 설계 및 사용 시의 주의사항을 4가지만 쓰시오.

J4 자동제어(주의점-신불범응)
  • 제어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할것
  • 제어동작이 불규칙한 상태가 되지않도록 할것
  • 잔류편차가 허용되는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것
  • 응답의 신속성과 안정성이 있도록할것

😽J3 인터록

17A0820B0518C05
프리퍼지16b0221A06

17A08►보일러에 적용하는 자동제어 증 인터록(interlock)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8C05►보일러에 적용하는 자동제어 중 인터록(interlock) 명칭을 쓰시오.

J3 인터록

어떤 일정한 조건이 충족하지 않으면 다음 단계의 동작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것으로 보일러의 안전한 운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16b02►보일러 및 연소기에는 점화 및 착화하기 전에 반드시 프리퍼지(pre-purge)를 실시하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프리퍼지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 노 내와 연도에 체류하고 있는 가연성 가스를 배출시켜 점화 및 착화 시에 폭발을 방지하여 안전한 가동을 위한 것

7️⃣ 저수위 차단장치(저수위 경보장치)의 기능 3가지를 쓰시오.

® 급수의 자동조절 ® 저수위 경보 ® 연료의 차단신호 발신

📕 4.에너지 실무

🔯K 보일러 급수처리

 🗄️

연화제, 이온교환법 15B

🍀K1 청관제(피취연조탈밍)

청관제18A0122B05
탈산소19A0321B1023b07
24a1124b06
탈기기23A08 19c04

18A01►보일러 급수 내처리제인 청관제의 기능 5가지를 쓰시오.

K1 청관제의 사용목적(P취연조탈밍)
  • 보일러수의 pH조정
  • 가성화 방지
  • 보일러수의 
  • 슬러지
  • 보일러수의 산소
  • 방지

19A03►급수 중의 용존산소를 제거하여 점식과 같은 부식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탈산소제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23b07►보일러 내처리제 중 슬러지 조정제이면서 가성취제의 역할을 하는 것 2가지를 쓰시오 (23)

24a11►다음에 표기된 보일러수 내처리제의 용도를 각각 다음의 보기에서 찾아 해당번호를 쓰되 1가지가 넘는 경우는 해당번호를 모두 쓰시오(24)

19c04►탈기기의 설치목적을 쓰시오

K2 탈기기

보일러 급수 외처리장치인 탈기기는 급수 중에 녹아 있는 산소(O₂), 이산화탄소(CO₂) 등의 용존가스를 제거하여 부식을 방지할 목적으로 설치한다

🍀K3 보일러의 부식

고온18B05
저온18A0921A0824c05
20A0522B07
보일러16C0619B0522A1618C01
계산22C08

18B05►보일러 외부부식 중 고온부식의 방지대책 4가지를 쓰시오.

K3 고온부식
  • 연료를 전처리하여 바나듐 성분을 제거할 것
  • 전열면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설계할 것
  • 전열면의 표면에 보호피막 형성 또는 내식성 재료를 사용한다
  • 연료에 첨가제를 사용하여 바나듐의 융점을 높인다
  • 부착물의 성상을 바꾸어 전열면에 부착하지 못하도록 한다

18A09►저온부식에 대한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용어를 넣으시오.

K3 저온부식

연료 중에 함유된 유황분이 연소되어 (아황산가스(SO₂))가 되고 이것이 다시 (오산화바나듐(V₂O₅))의 촉매작용에 의하여 과잉공기와 반응하여 일부분이 (무수황산(SO₃))이 되고 이것이 연소가스 중의 (수증기(H₂O))와 화합하여 (급수예열기나 공기예열기) 등과 같은 저온의 전열면에 응축되어 황산(H₂SO₄)이 되어서 심한 부식을 일으키는 것이다.

20A05►보일러에서 연소가스에 의하여 발생하는 부식에 대한 설명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1) 부식 명칭을 쓰시오.
(2) 방지법 2가지를 쓰시오.

K3 저온부식

연료 중에 함유된 유황분이 연소되어 (아황산가스(SO₂))가 되고 이것이 다시 (오산화바나듐(V₂O₅))의 촉매작용에 의하여 과잉공기와 반응하여 일부분이 (무수황산(SO₃))이 되고 이것이 연소가스 중의 (수증기(H₂O))와 화합하여 (급수예열기나 공기예열기) 등과 같은 저온의 전열면에 응축되어 황산(H₂SO₄)이 되어서 심한 부식을 일으키는 것이다.

K3 저온부식 방지대책
  • 연소가스를 노점이상으로 유지한다
  • 연료중 황을 제거한다
  • 무수황산을 다른 생성물로 변경시킨다.
  • 첨가제를 첨가하여 황산증기의 노점온도를 낮춘다
  • 과잉공기를 적게하여 배기가스중 산소를 감소시킨다.

16C06►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일반부식에 대한 내용에서( )안에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K3 보일러의 부식(수산화철)

보일러 물의 pH가 낮게 유지되어 약산성이 되면 약알칼리성의(수산화제1철)은 철과 물로 중화 용해 되면서 그 양이 감소하면 보일러 드럼의 철이 물과 반응하여 그 감소량을 보충하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강으로부터 용출되는 철이 양이 많아져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보일러 물에 용존산소가 존재하고 물의 온도가 고온이 되면 (수산화제1철Fe(OH)₂)은 용존산소와 반응하여 (수산화제2철Fe(OH)₃)로 산화된다.

18C01►부식의 분류 중 균열을 동반하지 않는 국부부식의 종류 5가지를 쓰시오.(18C)

22C08►보일러 보급수 2,000[톤] 중에 용존산소가 9[ppm] 용해되어 있을 때 이를 제거하기위하여 아황산나트륨(Na₂SO₃)은 몇 [kg]이 필요한가?

K3 저온부식계산

2Na₂SO₃+O₂→Na₂SO₄

$$ (2000\times10^6)\times\frac{9}{10^6}=18000[g] $$

$$ 2\times 126[g]:32[g]=x[g]:18000[g] $$

$$ x=\frac{2\times 126\times 18000}{32}=141750[g] $$

🍀K5 수위 검출기구에 적용되는 방식

21c12 16a05

21c12►보일러의 저수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급수조절장치의 수위 검출기구에 적용되는 방식 4가지를 쓰시오

플로트식, 전극식, 열팽창식, 차압식

🔯보일러가동 전 점검사항

👍K6 스프링식 안전밸브

16B0921A0318A03

16B09►스팀헤더에 설치된 스프링식 안전밸브에서 증기가 누설이 되는 원인 2가지를 쓰시오.

18A03►보일러에 설치된 스프링식 안전밸브의 미작동 원인 5가지를 쓰시오

K6 스프링식 안전밸브

증기 누설 원인

❶ 작동압력이 낮게 조정되었을 때
❷ 스프링의 장력이 약할때
❸ 밸브디스크와 밸브 시트에 이물질이 있을때
❹ 밸브 시트가 불량일 때
● 밸브 축이 이완되었을 때

안전밸브의 미작동원인

❶ 스프링의 탄력이 강하게 조정된 경우
❷ 밸브 시트의 구경. 밸브 각의 사이틈이 적은 경우
❸ 밸브 시트의 구경 밸브 각의 사이틈이 많은 경우
❹ 열 팽창 등에 의하여 밸브각이 밀착된 경우
❺ 밸브각이 뒤틀리고 고착된 경우

🔯보일러정지

🔯보일러 손상 및 사고방지

🍀O1 프라이밍 포밍현상

이상현상17C0622c07
캐리오버20C0823b0124C04
방지대책20A0417A05
프라이밍21c1716c01
포밍23A0523c0216a08
캐비
테이션
21B1316a06
수격작용21B1516A07
응축수량18C1124C1324B1123C09

17C06►보일러 내 수위가 이상고수위로 운전할때 발생하는 장해 3가지를 쓰시오

O1 프라이밍, 포밍현상 조치사항
  • 연료를 차단한다(줄인다)
  • 공기를 차단한다(줄인다)
  • 주증기 밸브를 닫고. 수위를 안정시킨다.
  • 급수 및 분출작업 반복한다
  • 계기류를 점검한다

23A05►프라이밍 및 포밍현상 발생 시의 조치사항 4가지를 쓰시오

O1 프라이밍, 포밍현상 방지대책
  • 과부하가 되지 않도록 한다
  • 주중기 밸브를 급격히 개방하지 않는다.
  • 수위를 고수위로 하지 않는다.
  • 보일러수를 농축시키지 않는다.
  • 보일러수 중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 비수방지관을 설치한다.

O2 프라이밍현상 발생원인
  • 송기 시 주중기 밸브를 급개하였을 때
  • 보일러 수위가높을때
  • 보일러 관수가 농축되었을 때
  • 보일러 증발능력에 비하여 보일러수의 표면적이 작을 때
  • 부하의 급격한 변화 및 증기발생 속도가 빠를 때
  • 청관제 시용이 부적합할 때

🍀O2 이상현상

O2 보일러 이상현상
  • 프라이밍(priming) 현상 : 급격한 증발현상으로 동수면에 작은 입자의 물방울이 증기와 혼입하여 튀어 오르는 현상 
  • 포밍(foaming) 현상 : 동저부에서 작은 기포들이 수면상으로 오르면서 물거품이 발생하여 수면에 달걀모양의 기포가 덮이는 현상
  • 캐리오버(carry over) 현상 : 프라이밍, 포밍 현상에 의하여 발생된 물방울이 증기 속에 섞여 관내를 흐르는 현상으로 기수공발, 비수현상이라 한다

🍀O2 보일러에서 이상증발을 초래하는 원인

O1 이상증발

● 주증기밸브를 급개할 때 ● 고수위 운전시 ● 증기 부하가 과대할때 ● 보일러수에 불순물 다량 함유시 ● 보일러수의 농축시 ● 증기압력을 급격히 강하시킨 경우

🍀O3 캐리오버

20C08보일러에서 비수[기수공발(캐리오버)] 발생원인 5가지를 쓰시오.

O3 캐리오버

보일러 운전 중 수분 일부가 증기와 함께 취출되는 현상으로 프라이밍, 포밍현상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현상

❶ 보일러수를 농축시키지 않는다
❷ 보일러수 중의 불순물을 제거하다
❸ 주증기 밸브를 급격히 개방하지 않는다
❹ 과부하가 되지 않도록 한다
● 수위를 고수위로 하지 않는다 
● 비수방지관을 설치한다

16a06원심펌프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 4가지를 쓰시오.

O4 캐비테이션

❶ 펌프의 위치를 낮춰 흡입양정을 짧게 한다 ❷ 수직축 펌프를 사용하여 회전차를 수중에 완전히 잠기게 한다 ❸ 양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❹ 펌프의 회전수를 낮춘다 ● 두대 이상의 펌프를 사용한다.

🍀O5 수격작용

O5 수격작용

배관 내부에 체류하는 응축수가 송기 시에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의해 배관을 심하게 타격하여 소음을 발생하는 현상으로 배관 및 밸브류가 파손될 수 있다

❶ 주증기 밸브를 서서히 개방할것 ❷ 캐리오버를 방지할것 ❸ 증기배관의 보온을 철저히 할 것 ● 응축수가 체류하는 곳에 증기트랩을 설치할 것 ● 드레인 빼기를 철저히 할 것 ● 송기 전에 소량의 증기로 배관을 예열할 것(난관조작)

🍀O6 기수분리기

👍B1 증기트랩

응축수량계산 O7

18C1124C1324B1123C09
19A06

증기압력 120[kPa] 의 포화증기를 내경52.9[mm] 길이 50[m]인 강관을 통해 이송하고자 할 때 트랩선정에 필요한 응축수량을 구하시오
(단, 외부온도 0℃ 강관의 질량 300[kg], 강관비열 0.46kJ/kg℃]이다)

🔯보일러 보존

🍀P1 슈트블로(soot blow)

슈트블로17b0719b0820d0822a01
감압밸브22C0418B02
바이패스17A0920C11
역화17B0224a16

슈트 블로(soot blow)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보일러 전열면 외측 또는 수관 주위에 부착된 그을음이나 연소 잔재물등을 증기나 공기를 분사시켜 제거하여 연소열 흡수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장치

🍀P2 증기감압밸브

증기 감압밸브 설치 시 주의사항 5가지를 쓰시오.

P2 증기감압밸브 (근스기패압)

보일러에서 발생된 고압의 증기를 저압의 증기로 만들고, 부하측의 증기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부하변동에 따른 증기의 소비량을 절감시킨다.

피스톤식, 다이어프램식, 벨로즈식

  • 감압밸브는 가능한 사용처에 가깝게 설치한다.
  • 감압밸브 입구측에 반드시 스트레이너를 설치한다
  • 감압밸브 앞에서 기수분리기 또는 스팀트랩에 의해 응축수가 제거되도록 한다
  • 감압밸브 앞에 사용되는 리듀서는 편심리듀서를 사용한다
  • 바이패스 배관 및 바이패스 밸브를 설비하여 고장 등에 대비한다
  • 감압밸브 입구 및 출구측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입출구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감압밸브 전 후 배관의 관경 선정에 주의하여야 한다

🍀P3 바이패스

배관 중에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P3 바이패스

배관 중에 유량계, 수량계, 감압밸브, 순환펌프 등의 설치 위치에 고장, 보수등에 대비하여 설치하는 우회배관이다

🍀P4 역화의 원인

보일러 연소 시 이상현상 중의 하나인 역화의 역인을 5가지만 쓰시오

P4 역화의 원인
  • 가스분출속도보다 연소속도가 빠를때
  • 가스압력이 지나치게 낮을때
  • 1차공기가 적을때
  • 혼합기체의 양이적은경우
  • 노즐 콕 등의 기구가 막혀 있을때
  • 연도댐퍼의 개도를 너무 좁힌 경우
  • 연도댐퍼가 고장이 나서 폐쇄된 경우
  • 압입통풍이 너무 강한경우
  • 흡입통풍이 부족한 경우
  • 평형통풍인 경우 압입 흡입의 두 통풍 밸런스가 유지되지 못하는 경우
  • 불완전 연소의 상태가 두드러진 경우
  • 보일러 용량 이상으로 연소량을 증가시키는 무리한 연소를 한 경우
  • 연료공급량 조절장치와 고장 등으로 인하여 분무량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
  • 연소실벽이나 노상 또는 버너 타일에 카본이 다량으로 부착된 경우
  • 연소량을 증가시킬 경우는 공급공기량을 증가시키고 나서 연료량을 증가시키고 반대로 연소량을 감소시킬 경우에는 우선 연료걍을 감소시키고 나서 공급공기량을 감소시켜야 하는데 그 반대로 조작한경우

🍀P5 고온부식 🍀P6 저온부식

🍀K3 보일러의 부식

🍀 보일러 보급수 2,000 톤 중에 용존산소 농도가 9 ppm인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아황산나트륨 (Na₂SO₃)을 얼마나 필요할까요? 

$$ 2000\times10^{6} \times 9\times10^{-6}=18000[g] \\ 2126:32=x:18000 \\ x=\frac{2126*1800}{32}=141750[g] $$

2Na₂SO₃+O₂→Na₂SO₄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Q1 신에너지, 재생에너지

20b0621b1723a04
열병합17b04

(1) 신에너지에 해당하는 것 2가지를 기호로 쓰시오.
(2) 재생에너지에 해당하는 것 5가지를 기호로 쓰시오.

Q1 신에너지, 재생에너지

● 신에너지 :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을 액화, 가스화한 에너지,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수소, 산소 등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전기 또는 열을 이용하는 에너지

● 재생에너지 : 태양에너지, 풍력, 수력, 해양에너지, 지열에너지

햇빛, 물, 지열(地熱), 강수(降水),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서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 해양에너지에 관련된 신재생에너지 종류 2가지를 쓰시오.

조수, 파도, 해류, 온도차

● 바이오에너지의 범위
생물유기체를 변환시킨 바이오가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액화유 및 합성가스 쓰레기 매립장의 유기성 폐기물을 변환시킨 매립지 가스 동물·식물의 유지를 변환시킨 바이오디젤 생물유기체를 변환시킨 땔감, 목재칩 펠릿 및 목탄 등의 고제연료

열병합 발전시스템을 일반 발전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단점 3가지를 쓰시오

🍀Q2 연료전지에 사용되는 재료

16B05  20A 11C  

수소, 천연가스, 나프타, 메탄올

🔯에너지진단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