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변전설비 계획 (WP)
P 수변전설비 계획시 고려사항
D
수변전설비 최신기술 동향
R
정전대책및 전원설비 신뢰성향상대책
S 전기 설비 종류
C 수변전설비 대책
T 변전실 고려사항
G 발전기실 고려사항
B 축전실 고려사항
E ES(전기샤프트)실 고려사항
목차(발전기실 고려사항 WPG)
발전기실 고려사항
☑️통인면화 높소배환 1.7
1️⃣발전기실 고려사항
- 건축물 또는 구내에서 원동기로서 내연기관 또는 터빈을 이용, 발전장치를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설비
- 건축물 및 소방법에서 요구하는 예비전원설비 외에 상용전원의 일부 부하를 발전설비로 공급
1)건축적 고려사항
- 장비 반입 및 반출 통로가 확보
- 수변전 관련 설비실(변전실, 축전기실, UPS실)과 인접한곳
- 장비 배치에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면적
- 발전기의 벽, 기둥, 바닥은 내화구조, 출입구는 방화문
- 충분한 유효높이 확보
- 운전 시 소음, 진동을 고려하여 거실부분 및 건축물 코어부에서 가급적 떨어진 위치
2)환경적 고려사항
- 발전기실에는 발전기 용도 이외에 배관이 시설금지
- 화재, 폭발, 염해의 우려가 있거나 부식성, 유독성 가스가 체류하는 장소는 피함
- 발전기와 굴뚝 또는 배기관 사이의 길이는 최대한 짧게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는 배압을 고려하여 크기결정
- 급기와 배기덕트는 최대한 짧게 디젤 기관의 라디에이터 냉각방식이나 가스터빈식 발전기인 경우 다량의 공기를 필요로 하므로 외기 도입이 용이한 위치
- 급유 및 통기관의 인출이 용이한 장소
- 수랭식 엔진을 사용하는 경우 냉각수의 보급 및 배수가 쉬운 장소
- 발전설비의 배기관, 배기덕트의 소음이 거실이나 다른 건축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3)전기적 고려사항
- 수변전실과 인접하여 전력공급이 원활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 발전설비의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를 고려하여야 한다
2️⃣발전기실 면적
- 건축물과 최소이격거리 600[㎜](추천 800[㎜])이상 확보
- 발전기 유지보수 공간확보
- 발전장치의 부대시설(냉각계통, 기동장치, 연료계통, 배전반)등의 면적을 고려
\[ 면적 : A=1.7\sqrt P [㎡] \]
P : 발전기용량[kVA]
3️⃣발전기실 높이
- 설치 유지보수가 원활한 높이
- 발전장치 최고 높이의 2배 정도
4️⃣발전기실 배치

5️⃣발전기 기초
- 일반적으로 경험값, 실험값을 기준으로 적용, 발전기 기초는 철근콘크리트로 구축하고 건축구조와 독립된 구조가 바람직함
- 발전기 기초 중량
방진장치가 없는경우 | 방진장치가 있는경우 |
---|---|
- 발전기 기초 크기
- 기초의 폭 > 발전장치의 최대부분 폭+0.5[m]
- 기초의 길이 > 발전장치의 최대부분 길이+0.5[m]
- 기초의 깊이(FD)
\[ FD=\frac{ 중량*(1.25∼2.0) }{밀도(2,403[kg/㎥])*W[m]*L[m]} \]

- 발전기 기초 높이
- 바닥에서 150[㎜]돌출
- 발전기 중량[ton]의 1.5배 이상의 정하중에 견디는 강도 (건축구조에서 계산하는 경우)
6️⃣발전기실 소요 공기량
\[ V=P\times0.6[㎥] \]
\[Q=Q_1+Q_2+Q_3 \]
Q : 총공기 소요량 Q1 : 연소 공기량
Q2 : 실온 상승억제 공기량 Q3 : 유지보수 인원필요 공기량
수변전설비 계획 (WP)
P 수변전설비 계획시 고려사항
D
수변전설비 최신기술 동향
R
정전대책및 전원설비 신뢰성향상대책
S 전기 설비 종류
C 수변전설비 대책
T 변전실 고려사항
G 발전기실 고려사항
B 축전실 고려사항
E ES(전기샤프트)실 고려사항
목차(발전기실 고려사항 WPG)
발전기실 고려사항
💯기출문제
●G07 발전기실을 설계할 때 건축적 환경적 및 전기적 고려사항을 기술하시오
모범답안(전기실고려사항 WPG 07)
- 장비반출입 및 반출 통로가 확보
- 관련설비실과 인접한곳
- 장비의 배치에 충분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면적
- 완전한 방화구획으로 하고 수변전실은 불연재료의 구조로구획하고 출입구는 방화문
- 충분한 유효높이 확비
- 내부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함
- 가연성가스 물 연료 등의 배관이 시설되지 않아야 함
- 환기가 잘되어야 하고 고온 다습한 장소는 피해야함
☑️통인면화 높소배환 1.7
●G28 발전기실의 위치 면적 기초 및 높이 소음및 진동대책
모범답안(전기실고려사항 WPG 07)
- 장비반출입 및 반출 통로가 확보
- 관련설비실과 인접한곳
- 장비의 배치에 충분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면적
- 완전한 방화구획으로 하고 수변전실은 불연재료의 구조로구획하고 출입구는 방화문
- 충분한 유효높이 확비
- 내부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함
- 가연성가스 물 연료 등의 배관이 시설되지 않아야 함
- 환기가 잘되어야 하고 고온 다습한 장소는 피해야함
☑️통인면화 높소배환 1.7
모범답안(발전기실 면적 높이 WPG28)
2️⃣발전기실 면적
- 건축물과 최소이격거리 600[㎜](추천 800[㎜])이상 확보
- 발전기 유지보수 공간확보
- 발전장치의 부대시설(냉각계통, 기동장치, 연료계통, 배전반)등의 면적을 고려
\[ 면적 : A=1.7\sqrt P [㎡] \]
P : 발전기용량[kVA]
3️⃣발전기실 높이
- 설치 유지보수가 원활한 높이
- 발전장치 최고 높이의 2배 정도
모범답안(발전기실 기초 WPG28)
5️⃣발전기 기초
- 일반적으로 경험값, 실험값을 기준으로 적용, 발전기 기초는 철근콘크리트로 구축하고 건축구조와 독립된 구조가 바람직함
- 발전기 기초 중량
방진장치가 없는경우 | 방진장치가 있는경우 |
---|---|
- 발전기 기초 크기
- 기초의 폭 > 발전장치의 최대부분 폭+0.5[m]
- 기초의 길이 > 발전장치의 최대부분 길이+0.5[m]
- 기초의 깊이(FD)
\[ FD=\frac{ 중량*(1.25∼2.0) }{밀도(2,403[kg/㎥])*W[m]*L[m]} \]

- 발전기 기초 높이
- 바닥에서 150[㎜]돌출
- 발전기 중량[ton]의 1.5배 이상의 정하중에 견디는 강도 (건축구조에서 계산하는 경우)
●G33 전기실 및 발전기실의 환기량 계산방법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발전기실 환기량계산 WPG33)
6️⃣발전기실 소요 공기량
\[ V=P\times0.6[㎥] \]
\[Q=Q_1+Q_2+Q_3 \]
Q : 총공기 소요량 Q1 : 연소 공기량
Q2 : 실온 상승억제 공기량 Q3 : 유지보수 인원필요 공기량
●G37 발전기실 설계 시 검토해야 할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건축적고려사항, 환경적고려사항, 전기적고려사항, 발전기실 구조
모범답안(전기실고려사항 WPG 07)
- 장비반출입 및 반출 통로가 확보
- 관련설비실과 인접한곳
- 장비의 배치에 충분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면적
- 완전한 방화구획으로 하고 수변전실은 불연재료의 구조로구획하고 출입구는 방화문
- 충분한 유효높이 확비
- 내부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함
- 가연성가스 물 연료 등의 배관이 시설되지 않아야 함
- 환기가 잘되어야 하고 고온 다습한 장소는 피해야함
☑️통인면화 높소배환 1.7
수변전설비 계획 (WP)
P 수변전설비 계획시 고려사항
D
수변전설비 최신기술 동향
R
정전대책및 전원설비 신뢰성향상대책
S 전기 설비 종류
C 수변전설비 대책
T 변전실 고려사항
G 발전기실 고려사항
B 축전실 고려사항
E ES(전기샤프트)실 고려사항
목차(발전기실 고려사항 WPG)
발전기실 고려사항
🌐1003Z24 / WPG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