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폐기 TD
수변전설비 개폐기 종류 #DS
부하개폐기(LBS). #DL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DA
전자접촉기(MC) #DM
파워퓨즈(PF) #DP
차단기 원리 #DQ
차단기(CB) #DO
차단기 투입방식과 트립방식 #DI
TRV #DT
GCV 특징과 SF6가스의 향후 대책 #DG
직류차단기 #DH
CTTS와 ATS #DC
최신 차단기의 기술 동향 #DD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보호방식의 결정 #LP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수전설비의 저압선로 보호방식 #DL
코로나 #DC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목차(배선용 차단기MCCB #DB)
배선용 차단기(MCCB)

1️⃣개요
- 개폐기구, 트립장치, 소호장치, 접전, 단자 등을 절연물의 용기 내에 일체로 조립한 것이며, 통상사용 상태의 전로를 수동또는 절연물 용기 외부의 전기조작장치 등에 의하여 개폐할수 있고, 또 과부하 및 단락 등일 경우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기구
- 배선용 차단기는 교류600[V]이하 직류250[V]이하의 저압 옥내선로의 보호에 사용되는 외부가 MoldCase로 구성된기기
- 흔히 자동차단기, AutoBreaker, 브레이커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는데, 이 제품의 정식명칭은 한글로는 배선용 차단기, 영문으로는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2️⃣저압회로의 이상현상
1)과부하, 단락
- 설정된 부하 이상의 전류가 흐를때, 전선에 열이 발생되고 계속되는 과전류 인가 시에는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 선간 단락이 일어날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회로가 Short되면서 선로에 대전류가 흐르며 이로 인해 하위단의 각종 부하기기 손상 및 선로 화재 등 매우 위험한 상태로 전개될 수 있다
2)지락
- 지락이라 함은 선로 중 어느 한 상이 대지(지면)와 접촉된 경우이다. 이 경우, 매우 큰 전류가 대지로 흐르게 되어 사고로 전개된다.
- 지락사고 발생 시 이를 조기에 진단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지락전류가 대지로 흐를 경우, 인체가 감전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된다.
3)결상
- 단상의 경우에는 어느 한 상이 끊어지면 결과적으로 회로 구성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3상 회로의 경우에는 3상회로 중 어느 한 상이 끊어지더라도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회로 구성이 가능하다
- 선로의 하위단에 설치된 부하는 필요한 전류를 끊어진 선로가 아닌 다른 선로에서 공급을 받게 된다. 이것은 선로 입장에서 보면 기준전류치 이상의 전류가 인가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과열이 발생하게 된다.
- 결상은 전기회로에서 나타나는 사고중 가장 빈번하며, 각종 보호기기들로 결상에 대한 보호기능을 가지고 있다.
3️⃣배선용 차단기의 종류
1)열동식
- 바이메탈을 가영하여 바이메탈의 변형에 의하여 동작하는것으로 직렬식(소용량에 적용), 병렬식(중, 대용량에 적용), CT식(교류 대용량에 적용)이 있다.
2)열동 전자식
- 열동식과 전자식의 두가지 동작요소를 가지고 과부하 영역에서는 열동식 소자라 동작하고, 단락 시에는 전자식 소자에 의해 단시간에 동작하는 차단기이다.
3)전자식 (電磁式)
- 전자석에 의해 동작하는 형식
4)전자식 (電子式)
- 변류기(CT)를 설치하여 CT의 2차전류를 연산하여 연산결과에 의해 소전류영역에서 장시한, 대전류영역에서는 단시한, 단락전류영역에서는 순시에 동작하는 차단기이다.
4️⃣특징
- 과전류로 차단되었을 때 그 원인을 제어하면 즉시 재투입이 가능하고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 접점의 개폐속도가 일정하고 빠르다
- 과전류가 1극에만 흘러도 각극이 동시에 트립하므로 결상이 생기지 않는다
- 동작 후 복구 시 교환시간이 걸리지 않고 예비폼이 불필요하다
- 개폐기구를 겸할 수 있다.

5️⃣배선용 차단기(MCCB) 선정조건
1)정격전류:
- 부하전류를 계산하여 이에 맞는 정격전류를 가진 차단기를 선택
- 전동기 부하전류 합이 50A 이하인 경우, 전선의 허용전류는 “전동기 부하전류 합 × 1.25 + 기타 부하전류 합”으로 설정
2)단락전류:
- 예상되는 단락전류를 계산하여 차단기의 차단용량이 이를 초과하도록 선택
- 예를 들어, 변압기 용량과 전압,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단락전류를 계산
3)과부하 보호:
- 과부하 보호장치의 정격전류는 부하전류의 1.25배로 설정
- KEC 기준에 따라 보호장치의 동작배율을 고려하여 선정
6️⃣배선용 차단기 단락보호협조 방식
배선용 차단기의 단락보호협조 방식에는 크게 다음과 같은 종류
- 시간지연형: 단락전류가 흐르는 시간에 따라 차단기가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단락전류의 크기에 따라 동작 시간이 달라지도록 설정하여 선택성을 확보
- 전류지연형: 단락전류의 크기에 따라 차단기가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전류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일정 시간 후에 차단
- 전자식: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다양한 보호 기능을 수행하며, 정확하고 빠른 동작이 가능
7️⃣단락보호협조를 위한 고려 사항
- 차단기의 종류 및 특성: 각 차단기의 동작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시스템에 적합한 차단기를 선정
- 단락전류: 단락전류의 크기와 지속 시간을 정확히 계산하여 차단기를 설정
- 배선 방식: 배선 방식에 따라 단락전류의 경로가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차단기를 설치
- 부하 특성: 부하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차단기의 설정값을 조정
8️⃣단락보호협조의 중요성
단락보호협조는 전기 설비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적절한 단락보호협조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개폐기 TD
수변전설비 개폐기 종류 #DS
부하개폐기(LBS). #DL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DA
전자접촉기(MC) #DM
파워퓨즈(PF) #DP
차단기 원리 #DQ
차단기(CB) #DO
차단기 투입방식과 트립방식 #DI
TRV #DT
GCV 특징과 SF6가스의 향후 대책 #DG
직류차단기 #DH
CTTS와 ATS #DC
최신 차단기의 기술 동향 #DD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보호방식의 결정 #LP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수전설비의 저압선로 보호방식 #DL
코로나 #DC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목차(배선용 차단기MCCB #DB)
배선용 차단기(MCCB)
💯기출문제
●M04저압간선을 보호하기 위한 과전류 차단기 시설에 대하여 굵은 간선에 직접 접속하는 가는 선들의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왜 과전류 차단기가 필요할까요?
전기 설비에서 과전류는 화재, 설비 손상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전류가 발생했을 때 이를 빠르게 차단하여 시스템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전류 차단기는 바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굵은 간선에 직접 접속하는 가는 선의 경우
- 문제점: 굵은 간선에 직접 가는 선을 연결할 경우, 가는 선에 과전류가 흐르더라도 굵은 간선의 과전류 차단기가 즉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가는 선의 단면적이 작아 온도 상승이 빠르게 진행되어 선이 녹거나 절연 파괴가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 해결책:
- 별도의 과전류 차단기 설치: 가는 선에 직접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하여 가는 선을 보호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가는 선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해당 차단기만 동작하여 선택적으로 회로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 차단기 정격 전류 선정: 가는 선의 허용 전류에 맞춰 차단기의 정격 전류를 선정해야 합니다. 너무 큰 용량의 차단기를 사용하면 과전류가 발생해도 차단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작은 용량의 차단기를 사용하면 정상적인 부하에서도 차단될 수 있습니다.
- 설치 위치: 가는 선과 굵은 간선이 접속되는 부분에 가까운 곳에 차단기를 설치해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과전류 차단기 시설 기준 (예시)
- 간선 보호용 과전류 차단기 시설: 저압 간선 분기점에서 3m 이내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8m 이내에 시설할 수도 있습니다: 여건상 3m 이내에 설치가 어려운 경우 8m 이내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 가는 선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가는 선의 허용 전류에 맞춰 별도의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주의 사항
- 차단기 종류: 과전류 차단기는 소형, 중형, 대형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설치 환경과 보호 대상에 맞는 적절한 종류를 선택해야 합니다.
- 설치 방법: 차단기는 전문가에 의해 정확하게 설치되어야 합니다. 잘못된 설치는 오동작이나 감전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점검: 과전류 차단기는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M05배선용 차단기 단락보호협조방식을 설명하시오
○M07저압간선을 분기하는 경우 과전류 차단기의 시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저압간선을 분기할 때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은 전기설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과전류 차단기는 과전류가 발생했을 때 회로를 차단하여 화재 등의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왜 과전류 차단기가 필요할까요?
- 과전류 발생 시 위험: 과전류가 흐르면 전선이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하거나, 전기기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선택적 차단: 고장이 발생한 부분만을 차단하여 다른 회로의 운전을 중단시키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 안전 확보: 전기 설비의 안전을 확보하고 인명 피해를 예방합니다.
저압간선 분기 시 과전류 차단기 설치 기준
- 원칙: 저압간선 분기점에서 3m 이내에 설치해야 합니다.
- 예외:
- 8m 이내 설치 가능: 현장 여건 상 3m 이내 설치가 어려운 경우 8m 이내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 과전류 차단기 생략 가능:
- 분기선의 길이가 8m 이하이고,
- 분기선의 허용전류가 간선 과전류 차단기 정격전류의 35% 이상인 경우에는 과전류 차단기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3m 이내 설치 시 생략 가능: 굵은 간선 또는 다른 가는 간선에 접속하는 길이 3m 이하의 가는 간선으로서, 해당 가는 간선의 부하측에 다른 간선을 접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과전류 차단기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과전류 차단기 선정 시 고려 사항
- 정격전류: 분기선의 허용전류에 맞춰 적절한 정격전류의 차단기를 선정해야 합니다.
- 차단용량: 예상되는 단락전류를 고려하여 차단 용량을 충분히 확보해야 합니다.
- 동작특성: 시간지연형, 전류지연형 등 다양한 동작 특성을 가진 차단기가 있으므로, 시스템의 특성에 맞는 차단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과전류 차단기 설치 시 주의사항
- 정확한 설치: 전문가에 의해 정확하게 설치해야 합니다. 잘못된 설치는 오동작이나 감전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접지: 차단기는 반드시 접지를 확실히 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점검: 과전류 차단기는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M11저압차단기에 대한 종류 및 배선용 차단기의 차단협조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M18유도전동기 회로에 사용되는 배선용 차단기의 선정조건을 설명하시오
개폐기 TD
수변전설비 개폐기 종류 #DS
부하개폐기(LBS). #DL
자동고장구분개폐기(ASS) #DA
전자접촉기(MC) #DM
파워퓨즈(PF) #DP
차단기 원리 #DQ
차단기(CB) #DO
차단기 투입방식과 트립방식 #DI
TRV #DT
GCV 특징과 SF6가스의 향후 대책 #DG
직류차단기 #DH
CTTS와 ATS #DC
최신 차단기의 기술 동향 #DD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보호방식의 결정 #LP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수전설비의 저압선로 보호방식 #DL
코로나 #DC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목차(배선용 차단기MCCB #DB)
배선용 차단기(MCCB)
🌐V1001C24 / DB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