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의 원인별로는 전기화재>방화>담배불>불장난으로 전기화재가 원인이 가장 높다
따라서 전기화재의 원인을 분석하고 줄이는 대책이 필요한데 더구나 케이블에 대한 화재의 영향이 크므로 줄이는 대책이 필요하다
내열, 내화배선 공사방법
1)내화배선
- 공사방법기준
사용전선의 종류 | 공사방법 |
---|---|
450/750[V]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절연전선 0.6/1[kV]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전력용 케이블 6/10[kV]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동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0.6/1[kV]EP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케이블 300/500[V]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180[℃])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케이블 버스덕트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 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 금속곤, 금속제 가요전선관, 금속덕트 또는 케이블(불연성 덕트에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공사방법에 따라야 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하게 절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배선을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전용실 또는 배선전용샤프트, 피티, 덕트 등에 설치하는 경우 -배선 전용실 또는 배선용 샤프트, 피트, 덕트등에 다른 설비의 배선이있는 경우에는 이로부터 15[㎝]이상 떨어지게 하거나 소화설비의 배선관과 이웃하는 다른 설비의 배선 사이에배선지름(배선지름이 다른경우에는 가장큰것을 기준으로한다)의 1.5배 이상의 높이의 불연성격벽을 설치한 경우 |
내화전선, 내열전선 | 케이블공사의 방법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 성능기준
내화전선의 내화성능은 버너의 노즐에서 75[mm]의 거리에서 온도가 750+5도인 불꽃으로 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12시간 경과후 전선 간에 허용전류 용량 3[A]의 퓨즈를 연결하여 내화시험 전압을 가한 경우 퓨즈가 단선되지 아니하는 것. 또한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소방용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2)내열배선
- 공사방법기준
사용전선의 종류 | 공사방법 |
---|---|
450/750[V]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절연전선 0.6/1[kV]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전력용 케이블 6/10[kV]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동성 난연 폴리올레핀 시스 전력용 케이블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트레이용 난연 전력 케이블 0.6/1[kV]EP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케이블 300/500[V]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180[℃])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케이블 버스덕트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설비 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 것 | 금속관, 금속제 가요전선관, 금속덕트 또는 케이블(불연성 덕트에 설치하는 경우에 한한다)공사방법에 따라야 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배선을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전용실 또는 배선전용샤프트, 피티, 덕트 등에 설치하는 경우 -배선 전용실 또는 배선용 샤프트, 피트, 덕트등에 다른 설비의 배선이있는 경우에는 이로부터 15[㎝]이상 떨어지게 하거나 소화설비의 배선관과 이웃하는 다른 설비의 배선 사이에배선지름(배선지름이 다른경우에는 가장큰것을 기준으로한다)의 1.5배 이상의 높이의 불연성격벽을 설치한 경우 |
내화전선, 내열전선 | 케이블공사의 방법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 성능기준
내영전선의 내열성능은 온도가 816_10도 인 불꽃을 20분간 가한 후 불꽃을 제거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자연소화가 되고, 전선의 연소가 길이가 180[mm]이하이거나 가열온도의 값을 한국산업표준(KS F 2257-1)에서 정한 건축구조부분의 내화시험방법으로 15분 동안 380도 까지 가열한 후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가열로의 벽으로 부터 150[mm] 이하일것, 또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소방용 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사용전선 | 내열배선 공사방법 | 내화배선 공사방법 |
---|---|---|
내화전선,MI케이블 (내열배선은 내열전선) | 케이블 공사방법 | |
수납방법 | ||
450/750[V] 2종저독성 비닐절연 가교폴리에틸렌,절연비닐외장 케이블, 클로로프렌 외장 케이블,버스덕트,알루미늄 피복 케이블 | 전선, 케이블을 금속관, 금속제 가요전선관, 금속덕트 등에 수납 공사 | 전선, 케이블을 금속관, 금속제 가요전선관, 금속덕트 등에 수납하여 내화 구조의 벽, 바닥에 25[㎜]이상 깊이매설 |
구획된 실내 설치방법 | ||
타배선이 없는 경우 내화성능의 배선 샤프트, 피트, 덕트에 설치 타배선이 있는 경우 이격 : 15[㎝]이상 불연성 격벽 설치 타배선 직경의 1.5배 이상의 높이 | 타배선이 없는경우 내화성능의 배선 샤프트, 피트, 덕트에 설치 타배선이 있는 경우 이격 15[㎝]이상 불연성 격벽 설치 타배선 직경의 1.5배 이상의 높이 |
배선 사용시 Block Diagram
1)옥내 소화전 배선
┏————기동, 위치표시등
비상전원===제어반===전동기—펌프
┗————기동장치
2)S/P배선
┏————기동, 위치표시등
비상전원===제어반===전동기—펌프
┗————기동장치
3)CO2 가스계 소화설비
┏———경보장치
┣———기동장치
비상전원===제어반
┣———표시등
┗———감지장치
4)비상콘센트 설비
표시등
┃
비상전원====단상비상콘센트
5)자탐설비
┏——-음향장치
비상전원======수신기—–감지기
┣======중계기—-감지기
조작회로——╋——-표시등
┗——-발신기
6)방송설비
표시등—-표시등
┃
비상전원====증폭기—-스피커
7)유도등 설비
비상전원====유도등
8)무선통신보조설비
누설동축케이블
┃
비상전원====증폭기——혼합분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