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용 엘리베이터

제공

,
비상용 엘리베이터 설비 (FM)

비상용엘리베이터
피난용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설비(JV)

엘리베이터의 기본
엘리베이터 설계시 고려사항
기타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의 구성과 안전장치
군관리 방식
엘리베이터의 설계(대수, 용량, 교통량)
엘리베이터의 소음 원인과 대책
(초)고층용 엘리베이터 설계시 고려사항
에스컬레이터 설계 및 시공 시 고려사항
에스컬레이터의 설비구성 및 안전장치
수평보행기(무빙워크)

목차(비상용 엘리베이터 FME)

❗비상용 엘리베이터

  •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에서는 건축물의 화재 시 소방관의 진화 목적으로 설치
  • 평상시 일반운전에서 소방(비상)운전으로 전환할 경우에는 각층 로비에서의 호출에 응하지 않음

1️⃣설치대상

1)설치대상

  • 높이 31[m]를초과하는건축물에는 승용 승강기 외에 비상용 승강기를 추가로 설치
  • 높이 31[m]를 넘는 건축물에는 다음의 내용을 기준으로 대수 이상 비상용승강기 설치
    •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의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0[㎡]이하인 건축물에는 1대
    •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의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1,500[㎡]넘는 건축물에는 1대에 15,000[㎡]를 넘는 매 3,000[㎡]이내마다 1대 씩 가산한 대수이상
  • 2대 이상의 비상용 승강기를 설치하는경우에는 화재시 소화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

2)설치제외 대상

  •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을 거실 외의 용도를 쓰는 건축물
  • 높이 31[m]를 넘는 각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이하인 건축물
  • 높이 31[m]를 넘는 층수가 4개층 이상으로서 해당 각층의 바닥면적 합계 200[㎡]이내마다 방화구획으로 구획한 건축물

2️⃣비상용 엘리베이터 설치기준

1)승강기 기준

  • 일반기준
    승용 승강기 구조에 적합할 것
  • 통화장치
    외부에 연락할 수 있는 통화장치 설치
  • 예비전원 : 상용전원 차단시 예비전원으로 전환
    • 60초 이내 자동 수동 전환 가능
    • 2시간 이상 작동가능
  • 예비조명
    정전 시 2[m]떨어진 수직면상 2[lx]이상
  • 운행속도
    60[m/min]
  • 소방스위치
    • 소방운전은 피난층 관리실 등에서 카의 위치에 관계없이 피난층(1층) 호출 스위치 설치
    • 비상시 소화활동 전용으로 전환하는 1차 소방스위치
    • 승강기 문이 개방되어도 승강시킬수 있는 2차 소방 스위치

2)승강장 구조 기준

  • 구획
    개구부, 창, 출입구 제외 해당 건축물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바닥, 벽으로 구획
  • 출입문
    각층의 내부와 연결할 수 있게 하고 , 갑종 방화문 설치
  • 조명
    채광이 있는 창이나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
  • 보행거리
    피난층의 승강장 출입문으로부터 도로 또는 공지에 이르는 거리를 30[m]이하
  • 내장재벽이나 반자가 실내에 면하는 부분의 마감재료는 불연재료
  • 바닥면적
    비상용승강기 1대당 6[㎡]이상
  • 배연설비
    노대 또는 외부로 열리는 창, 배연설비 중 하나 선택설치
  • 표지
    비상용 승강기 표지설치

3)승강로 구조 기준

  •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 구획
  • 승강로는 전 층을 단일구조로 연결 설치

비상용 엘리베이터 설비 (FM)

비상용엘리베이터
피난용엘리베이터

목차(비상용 엘리베이터 FME)

💯기출문제

●비상용엘리베이터에 대한 사항을 설명하시오

1)설치를요하는 건물
2)설치대수와 배치방법
3)비상용엘리베이터의 구조 및 기능

●엘리베이터 운전방식, 설치계획 시 고려할 사항및 승용승강기의 설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3.초고층 빌딩에서 화재 발생 시 엘리베이터를 피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점과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22)

비상용 엘리베이터 설비 (FM)

비상용엘리베이터
피난용엘리베이터

목차(비상용 엘리베이터 FME)

🌐1003C24 / FME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