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방사상 수전회로 보호
1회선 수전 상용예비회선 수전회로는 전력회사의 송배전계통의 말단에 위치
- 전력회사의 송전단(Ry₁)은
인입 송배전 선로의 주보호를 담당하고
또한 수전회로를 후비보호 - 수용가의 수전점(Ry₂)는
주전회로를 주보호하고 변압기 회로의 부하 측을 후비보호 - 수용가 변압기(Ry₃)는
변압기의 주 보호 - 계전기 선정
일반적으로 방사상 회로의 고장전류는 한시차 보호방식 - 전력회사와 수전단과의 보호협조
- 수용가 구내에 수전점에서부터 부하말단까지 몇개의 구분점이 있고, 구분점마다 계전기가 설치되어 수전점을 향해서 한시차 보호방식을 적용
- 부하말단에서 수전점에 가까울수록 동작시간을 길게 선정하여 파급효과를 줄이는 보호방식

2)병행 2회선 수전방식
- 병행 2회선은 상시 및 회선외 사고 시에는 평형이 되고, 회선 내 사고시에는 불평형이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선택보호방식을 사용
- 선택보호방식에는 전류 평형형 또는 전력평형형이 사용되나 주로 전력평형이 많이 사용

3)루프수전회로의 보호
루프수전회로는 전력회사로부터 루프 송전선의 일부를 구성하고 양 수전회로에 각각 전원을 갖는 꼴이 된다. 일반적으로 루프 계통의 보호에는 표시선 계전방식이 사용되는데, 표시선 계전방식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방향비교방식(직류표시선 계전방식)
현재에는 거의사용하지 않는다 - 전류비교방식(교류표시선 계전방식) :
차동보호방식을 송전선의 보호에 적용한 것이다- 전류순환식 : 양단의 변류기 2차 전류에 상당하는 전류가 표시선에 가해지고 상시의 부하전류로 표시선에 환류가 생긴다
- 전압 방향식 : 양단의 변류기 2차 전류에 상당하는 전압이 표시선에 가해지고 상시의 부하전류로는 환류가 생기지 않는다.

4)스포트네트워크 보호방식
- 프로텍터 퓨즈와 프로텍터 차단기의 보호협조
- 네트워크 배전선에 단락사고 발생 :
배전선 단락사고 발생→전력회사 변전소 차단기 동작→고장회로 프로텍터 차단기 동작 - 네트워크 T과 프로텍터 퓨즈 간의 단락사고 :
프로텍터 차단기 차단능력 상회 시에 프로텍터 퓨즈가 차단된다 - 프로텍터 퓨즈와 차단기 간의 보호협조 :
사고회로의 차단기와 퓨즈에 의해 분리된다.
- 네트워크 배전선에 단락사고 발생 :
- 프로텍터 퓨즈와 테이크- 오프 장치의 보호협조
주전설비 2차측 사고→테이크오프 장치 먼저 차단 완료→프로텍터 퓨즈는 열화되지 않아야 한다
T1(프로텍터 퓨즈) ≥ T2(테이크-오프 차단기)

★제어및 보호방식결정(수변전회로보호방식)
수전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보호계전기
변압기 보호방식
DCR오동작 방지대책
비율차동계전기 비율탭 정정
복합계전기
GPT적용시 CLR의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