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B 보호방식*

제공

, ,

B 고장 보호방식

https://c-mk.s3.ap-northeast-2.amazonaws.com/2022/11/c_방사상-수전회로의-보호.jpeg
제어및 보호방식결정(수변전회로보호방식)

수전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보호계전기

변압기 보호방식
DCR오동작 방지대책
비율차동계전기 비율탭 정정
복합계전기
GPT적용시 CLR의 목적

보호방식

/

제어및 보호방식결정(수변전회로보호방식)

수전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보호계전기

변압기 보호방식
DCR오동작 방지대책
비율차동계전기 비율탭 정정
복합계전기
GPT적용시 CLR의 목적

💯기출문제

지락전류

●B22.3상3선식 비접지계통에서의 보호계전방식을 설명하시오

○E23 고압계통의 지락사고에 대한 저압설비의 보호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E24 저압 비접지계통의 지락보호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E25 비접지계의 지락보호계통 구성방식 및 주요기기 정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E26 비접지 저압회로의 지락보호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E27 전기설비의 지락보호방식의 종류

●B28 저압계통 과부하에 대한 보호장치의 시설 위치, 협조, 생략할수 있는 경우를 설명하시오

원칙
분기회로에는 저압옥내간선과의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3m이하의 장소에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한다.

예외1
다만 간선과의 분기점에서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 까지의 전선에 그 전원측 저압옥내간선을 보호하는 과전류 차단기 정격전류의 55%이상의 허용전류를 갖는것을 사용할경우에는 3m를 초과하는 장소에 시설할 수 있다.

예외2
35%이상의 허용전류를 갖는것을 사용할경우는 8m이하로 이격할수있다.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

  • (1) 회전기의 여자회로
  • (2) 전자석 크레인의 전원회로
  • (3) 전류변성기의 2차회로
  • (4) 소방설비의 전원회로
  • (5) 안전설비(주거침입경보, 가스누출경보 등)의 전원회로

○E29 비접지 3상 전원계통에서 접지콘덴서를 이용한 지락전류 검출 등가회로도를 그리고 지락지점의 저항과 충전전류가 영상전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시오

●E30 비접지 계통에서 지락시 GPT를 사용하여 영상전압 검출 등가회로도를 그리고 지락지점의 저항과 충전전류가 영상전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시오

○E31 계전기 동작에 필요한 영상전류 검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K32 GPT의 중성점 불안전현상

●K33 6.6[kV]비접지 계통에서 1선지락 시 영상전압 산출식을 유도하고, GPT-ZCT에 의한 선택지락계전기(SGR)의 감도저하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E34 변압기 2차 사용전압이 440[V]이상의 회로에서 중성점 직접접지식과 비접지계통에 대한 지락차단장치의 시설방법을 설명하시오

○E35.Y-∆ 변압기 구성에서 1차측 1선지락사고 발생시 2차측에서 발생되는 상전압과 선간전압의 최저전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E36 전력계통의 지락사고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영상전류와 영상전압을 검출하는 방법을 3선 결선도를 그려 설명하시오
·영상 과전류계전기의 정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시오
·영상전압을 이용하여 지락사고 선로를 구분하기위한 방법을 설명하시오

●E37 중성점직접접지식 전로와 비접지식 전로의 지락보호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수전회로보호방식

●A38장경 간 터널이나 도시철도의 배전에 활용되는 다음 그림과 같은 π분기 양단급전계통의 보호계전방식 구성을 설명하시오

●A39 수전설비의 보호방식에 대해 기술하시오

●A40.154[kV]로 공급되는 대용량 수전회로의 모선의 구성과 보호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A41.수전전력계통에서 보호계전시스템 보호방식별 분류

변압기의 보호방식

http://cq4l.com/변압기의-보호방식/

●G42.차동계전방식 적용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H43.비율차동계전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3가지 방법을 그림을 그리고 설명하시오

비율특성, 변압기 여자돌입적류대책, CT회로의 올바른결선법, DCR개체시험

●G44.변압기 보호(전기적,기계적)방식을 나열하고 각각 설명하시오

파워퓨즈, 피뢰기, 보호계전기, 서지흡수기
차동계전기, 과전류계전기
부흐홀츠계전기, 유속검출장치, 충격압력계전기, 방출안전장치

●H45.Y-∆ 또는 ∆-Y의 특별고압변압기에 대한 보호계전방식으로 비율차동계전기가 사용되는 경우에 이 계전기용 변류기(CT)는 변압기 결선과 반대가 된다. 이와 같은 이유를 설명하시오

Y-∆ 또는 ∆-Y결선은 1차와 2차간의 30도의 위상차가있기때문에 이를 보정하기위해

○G46.변압기의 보호계전기 중 비율차동계전기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동작원리, 동작특성, 적용시 문제점 및 대책

●G47.수전용 변압기 보호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G48.변압기 보호용으로 비율차동계전기를 적용할 경우 고려사항

●G49.전력용 변압기의 보호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보호계전기

https://cq4l.com/보호계전기/

○F50 계전기의 정정과 정정범위를 설명하시오

보호계전기가 보호할 구간에서 어떠한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때 이에 적절히 동작하도록 조정장치에의 하여 동작기준치를 정하는 것

조정장치로 정정된 동작기준치를 정정치라고 한다.

●F51 아날로그 계전기와 디지털 계전기의 특성을 비교 설명하시오

○F52 보호계전기를 용도별로 구분하고 5가지 이내로 약술하시오

과전류계전기, 과전압계전기, 부족전압계전기, 전력계전기, 접지계전기, 방향성 선택접지계전기, 비율차동계전기

○F53 보호계전기의 신뢰도 향상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요약하여 기술하시오

●F54 보호계전기설비의 보호계전 시스템의 개요, 최근동향, 보호방식 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F55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구성에 대해서 기본구성을 도해하고, 구성요소를 차레대로 나열하고 설명하시오

●F56 그림과 같은 수변전단선결선도에 50/511과 50/512의 보호계전기 정정치를 구하시오

한전측은 무시한다
역률은 0.9이다
한시 OCR의 탭 : 4,5,6,7,8,10,12[]
순시OCR의 탭 : 20~80[]

○F57 과전류계전기의 정한시와 반한시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F58 수용가 수전설비의 보호계전기(OCR,OCGR,OVGR,OVR,UVR)정정 시 고려사항과 정정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F59 최근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발전으로 디지털 계전기가 널리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계전기의 설치환경 및 노이즈의 영향및 대책을 설명하시오.

○F60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특성

●F61 유도형 지락방향계전기의 시험방식

○F62 보호계전기의 기억작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F63 디지털 계전기의 노이즈 침입도와 노이즈 보호대책에 대해여 설명하시오

○F64 대형건물에서 고압 전동기를 포함한 6.6[kV] 구내 배전계통에 적용한 유도원판형 전류계기의 한시탭 상호간의 협조시간 간격을 제시하고, 이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시간 협조항목을 설명하시오

●F65 대형건물의 구내배전용6.6[kV]모선에 6.6[kV]전동기와 6.6[kV]/380[V]변압기가연결되어있다 6.6[]전동기 부하용과전류계전기(50/51)와 6.6[kV]/380[V]변압기의 고압측에 설치된 과전류계전기(50/51)를 정정하는 방법을 각각 설명하시오.

○F66 보호계전기의 동작상태(정동작, 오동작, 정부종작, 오부동작)

○F67 보호계전기 동작시간 특성

한시, 정한시, 반한시, 반한시정한시, 계단한시형

○F68 직접접지 계통의 수전반 보호계전기에서 OCR및 OCGR의 한시탭 정정방법, 동작시간 정정방법, 순시탭 정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F69 변압기용 보호계전기 정정시 사용하는 통과고장 보호 곡선을 설명하시오

●F70 3상 유도전동기 공급 선로에서 CT(100/5)의 2차 측에 50/51 계전기가 연결되어 있다. 50/51 계전기의 정정치와 시간탭 설정방법을 그림으로 설명하시오

과전류계전기

수전단에 가장 많이 채용하는 계전기로 CT에서 검출된 과전류에 의하여 동작하는 계전기

동작치 정정

한시요소 정정탭

\[\frac{수전전력\times 1,000}{\sqrt{3}\times 수전전압\times 역률}\times\frac{1}{CT비}\times \alpha\]

순시요소정정탭

고압모선 기준 3상단락전류의 150%정도
한시정정탭의 500~1,500%
위 정정치 두가지 중 하나를 선택

동작시한 정정

계전기 설치점의 고장전류(단락전류)를 계산하여 계전기의 pu배수를 구한다

계전기 pu배수=Ry 설치점

동작시한 정정값

계전기 특성도를 가지고 계전기 pu배수와 차단기 필요 동작시간과의 관계에서 Lever를 구한다

차단기 필요 동작시간은 후비보홎ㅇ치의 동작시간보다 짧게 결정

일반적으로 수전설비에서는 0.6초 이내, 전기공급자 입장에서는 0.5초 이내 차단

●F71 디지털 보호계전기의 특성, 기본구성 및 주요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V1006T24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