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덕트

제공

,
배전 (LD)

배전설계 계획
저압옥내배선방식
직류송전방식과 교류송전방식의 비교

간선과 분기회로

저압옥내배선 종류
케이블 부설방식(간선의 부설방식)
OA배선방식
셀룰러덕트
버스덕트
케이블 트레이
케이블트랜치 공사

목차(버스덕트 LDB)

❓버스덕트는

(🌐KEC232.60)

버스덕트

금속제의 덕트 중에 적당한 간격으로 절연물에 의해 지지된 나도체를 수납하는 구조의 덕트이다. 전력을 전송하는 배선공사방법으로 대전류 전송에 적합하며, 적용시에는 경제성을 검토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1,000[A] 이상일 경우 경제성이 있다

1️⃣버스턱트의 구조

1)구조

버스덕트는 금속제의 덕트 중에 적당한 간격으로 절연물에 의해 지지된 나도체를 수납하는 구조

  • 도체: 구리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며, 전류를 운반하는 주요 부분
  • 절연체: 도체를 감싸 전기적인 절연을 제공하는 물질
  • 외함: 도체와 절연체를 보호하고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금속 케이싱
  • 부속품: 엘보우, 티, 커플링 등 버스덕트를 연결하고 분기하는 데 사용되는 부품

2)적용장소

산업 시설, 상업 시설, 데이터 센터 등 비교적 대전류가 흐르는 옥내 간선

2️⃣버스덕트의 종류

명칭 형식 비고
피더 버스덕트옥내용/환기형
/옥외형/비환기형
도중에 부하를 접속하지 아니한 것(간선용)
플러그 인 버스덕트옥외용/비환기형도중에 부하 접속용으로 꽂음 플러그를 만드는 것
트롤리 버스덕트옥내용/옥외용도중에 이동부하를 접속할 수 있도록 트롤리 접촉식 구조로 한 것

3️⃣설계 시공 시 고려사항

1)시설장소의 제한

버스덕트는 옥내의 건조한 장소로서 노출장소/점검 가능한 은폐장소에 한하여 시공할수 있다. 단, 옥외용 버스덕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전압 400[V]미만일 때에 한하여 옥측 또는 옥외에 시설

2)시설방법

  • 덕트 상호 간 및 전선 간은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에는 덕트의 지지점 간의 거리를 3[m](취급자 이외의 자가 출입할수 없도록 설비한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경우에는 6(m)이하로 하고 견고하게 붇일것)
  • 덕트(환기형의 것을 제외한다)의 끝부분은 막을것
  • 덕트(환기형의 것을 제외한다)의 내부에 먼지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할 경우, 옥외용 버스덕트를 사용하고 버스덕트 내부에 물이 침입하여 고이지 아니하도록 할 것
  • 버스덕트의 배선이 마룻바닥 또는 벽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버스턱트를 관통부분에서 접속하지 않을것

3)접지

  • 덕트는 211과 140에 준하여 접지공사를 할 것.

4️⃣버스덕트 설계 시 기계적 강도

1)단락전류에 의한 영향

  • 단락전류로 발생하는 열에 의한 고체의 열팽창
    • 케이블에 단락전류가 흐르면 줄열이 발생하여 도체 및 절연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종국에는 대기 중으로 발산
    • 단락 전류가 흐르는 시간이 수 초 이내인 경우에 발생하는 열은 거의 순간적으로 도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 모두 소비되므로 이러한 온도 상승에 의한 도체가 열팽창하게 되어 기계적 응력을 발생
  • 단락전류에 의한 전자력
    •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력에 의해 전류의 방향이 같으면 흡인력, 반대이면 반발력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발생하는 힘의 크기는 다음식으로 주어짐
\[F=K\times\frac{I_m^2}{D}\times2.04\times10^{-8}[kg/m]\]
    • 이 전자력이 케이블 상호 간에 작용하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스페이서의 간격과 강도를 결정
    • 특히 3심 케이블의 경우에는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하여 Sheath에 손상이 가거나 차폐테이프가 절단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
  • 단락 기계력: 단락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력은 케이블이나 버스덕트를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지지대를 설치하고, 케이블 고정 방식을 강화해야 합니다.

2)케이블 및 덕트의 신축에 의한 영향

  • 케이블의 열팽창에 의한 축력
    • 수평으로 부설된 케이블이 온도 변화에 의해 팽창 수축을 할 때는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축력이 발생
\[F=EA\alpha t[kgf]\]
    • 이러한 축력에 의하여 케이블이 수평 방향으로 밀리면서 버스덕트 또는 다른 케이블과의 마찰력이나 구속력이 반력으로 작용
  • 버스덕트의 신축
    • 버스덕트의 길이가 길어지면 도체와 덕트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이상응력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길이마다 Expansion Joint를 설치

3)진동에 의한 영향

  • 건물의 진동: 건물의 진동은 케이블이나 버스덕트에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지진이나 강풍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한 진동은 더욱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진동에 강한 지지대를 사용하고, 케이블 고정 방식을 강화하여 진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
  • 버스덕트의 진동: 버스덕트 자체의 진동은 주변 기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버스덕트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진동 감쇠 장치를 설치하거나, 버스덕트의 강성을 높여 진동을 최소화
  • 버스덕트의 진동주기와 건물의 진동주기가 같거나 비슷하면 공진현상에 의해서 진동의 폭이 확대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간격으로 Spring Hanger를 설치
  • 케이블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을 Cleat로 고정

3)케이블의 자중

  • 수직으로 부설된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면 케이블 자체의 무게가 커지므로 적당한 간격으로 고정용 금속구 또는 Cleat 등을 사용해서 벽면에 견고히 지지
배전 (LD)

배전설계 계획
저압옥내배선방식
직류송전방식과 교류송전방식의 비교

간선과 분기회로

저압옥내배선 종류
케이블 부설방식(간선의 부설방식)
OA배선방식
셀룰러덕트
버스덕트
케이블 트레이
케이블트랜치 공사

목차(버스덕트 LDB)

●B04 전력케이블 또는 버스덕트 설계시 기계적 강도의 기술적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버스덕트의 설계)

1. 단락에 의한 영향

  • 열적 용량: 단락 시 발생하는 엄청난 열에 의해 케이블이나 버스덕트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열적 용량을 확보하여 단락 시에도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단락 전자력: 단락 시 발생하는 강력한 전자력은 케이블이나 버스덕트에 큰 기계적 스트레스를 가합니다. 이를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해야 합니다.
  • 단락 기계력: 단락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력은 케이블이나 버스덕트를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지지대를 설치하고, 케이블 고정 방식을 강화해야 합니다.

2. 신축에 의한 영향

  • 수평 부설된 전력케이블의 신축: 온도 변화에 따라 케이블이 신축되면 케이블 접속 부분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여유 길이를 확보하고, 신축 이음매를 설치해야 합니다.
  • 버스덕트의 신축: 버스덕트 역시 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되므로, 익스팬션 조인트를 설치하여 신축에 의한 변형을 흡수해야 합니다.

3. 진동에 의한 영향

  • 건물의 진동: 건물의 진동은 케이블이나 버스덕트에 추가적인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지진이나 강풍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한 진동은 더욱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진동에 강한 지지대를 사용하고, 케이블 고정 방식을 강화하여 진동에 의한 손상을 방지해야 합니다.
  • 버스덕트의 진동: 버스덕트 자체의 진동은 주변 기기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버스덕트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진동 감쇠 장치를 설치하거나, 버스덕트의 강성을 높여 진동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4. 기타 고려 사항

  • 지지금구 및 케이블의 주면 부재의 발열: 지지금구나 케이블 주변의 부재가 발열하면 케이블의 온도 상승을 유발하여 절연 파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 케이블의 최대 곡률 반경: 케이블의 굽힘 반경이 너무 작으면 절연 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의 최대 곡률 반경을 준수해야 합니다.
  • 케이블의 최대 허용 장력: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이 허용치를 초과하면 케이블이 끊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의 최대 허용 장력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B13 버스덕트 시스템의 구성 및 설계, 공사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버스덕트)

버스덕트 시스템의 구성

버스덕트는 크게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 도체: 구리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며, 전류를 운반하는 주요 부분입니다.
  • 절연체: 도체를 감싸 전기적인 절연을 제공하는 물질입니다.
  • 외함: 도체와 절연체를 보호하고 기계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금속 케이싱입니다.
  • 부속품: 엘보우, 티, 커플링 등 버스덕트를 연결하고 분기하는 데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버스덕트 시스템 설계 시 고려 사항

  • 전류 용량: 시스템에서 필요한 최대 전류를 고려하여 적절한 도체 규격을 선정해야 합니다.
  • 전압: 시스템의 운전 전압에 맞는 절연체와 외함을 선택해야 합니다.
  • 환경 조건: 온도, 습도, 먼지 등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료를 선택해야 합니다.
  • 기계적 강도: 단락 전류, 진동 등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해야 합니다.
  • 확장성: 미래의 부하 증가에 대비하여 확장이 용이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버스덕트 시스템 공사 시 유의사항

버스덕트 시스템을 시공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 정확한 설계도: 설계 도면을 충분히 검토하고, 시공 전에 시공팀과 충분히 협의해야 합니다.
  • 안전: 고압 전류가 흐르는 시스템이므로 안전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 접지: 버스덕트는 반드시 접지를 하여 감전 사고를 예방해야 합니다.
  • 결합: 부품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접촉 불량을 방지해야 합니다.
  • 냉각: 발열이 심한 경우 냉각 장치를 설치하여 온도 상승을 방지해야 합니다.
  • 점검: 시공 후에는 정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배전 (LD)

배전설계 계획
저압옥내배선방식
직류송전방식과 교류송전방식의 비교

간선과 분기회로

저압옥내배선 종류
케이블 부설방식(간선의 부설방식)
OA배선방식
셀룰러덕트
버스덕트
케이블 트레이
케이블트랜치 공사

목차(버스덕트 LDB)

🌐V1014B24 / LDB

단락전자력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