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수용률,부등률,부하율 WCP*)
수용률,부등률,부하율
1️⃣수용률(Demand Factor)
\[ 수용률[\%]=\frac{최대수요전력}{부하설비용량}×100[\%] \]
- 기간 중 수용가의 최대수요전력과 수용가에 설비된 부하설비용량의 합계의 비
- 수변전설비의 용량결정, 특히 변압기의 용량결정시에 부하설비 용량의 합계로 용량을 설계하면,과도한 용량설계로 경제성 및 단락전류 증가 등의 문제가 되기 때문에 부하설비 용량에 수용률을 곱하여 최대수요전력을 결정
2️⃣부등률(Diversity Factor)
\[ 부등률=\frac{(각부하의)최대수요전력(의합계)}{합성최대수요전력}≥1 \]
- 각각의 부하군은 최대부하는 같은 시간에 일어나지 않아, 발생시간의 차이가 있다.
- 부등률은 최대전력이 발생하는 시간 또는 시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부등률이 크다는 것은 설비의 이용도가 큰 것을 나타낸다.
3️⃣부하율(Load Factor)
\[ 부하율[\%]=\frac{평균전력}{최대수요전력}×100[\%] \]
- 일정기간 중의 평균전력과 동일 기간 중의 최대전력의 비로 일부하율, 월부하율, 연부하율이 있으며, 공급설비의 효율적인 이용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공급설비는 막대한 투자를 수반하므로 부하율을 향상시켜 설비의 이용률을 증대시켜야 한다.
4️⃣관계
\[최대 수요전력=부하 설비용량 \times 수용률 \]
\[ 합성 최대 수요전력= \frac{ 부하 설비용량 \times 수용률} {부등률 } \]
\[ 부하율= \frac{ 부하 평균전력} {부하 설비용량 } \times \frac{ 부등률} {수용률 } \]

5️⃣최대수요전력
수요전력은 일정시간내(수요시한)의 평균전력을 말하며, 우리나라는 수요시간을 15분으로 한다.
수요전력의 산출은 1시간 전력사용량으로 하며 15분 누적 전력사용량[kWh]×4으로 한다.
6️⃣변압기용량산정의 예

목차(수용률,부등률,부하율 WCP)
수용률,부등률,부하율
💯기출문제
○P02 부하율, 수용률, 부등률에 대하여 계산 공식을 적고 개념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수용률, 부등률, 부하율 WCP02*)
1️⃣수용률(Demand Factor)
\[ 수용률[\%]=\frac{최대수요전력}{부하설비용량}×100[\%] \]
- 기간 중 수용가의 최대수요전력과 수용가에 설비된 부하설비용량의 합계의 비
- 수변전설비의 용량결정, 특히 변압기의 용량결정시에 부하설비 용량의 합계로 용량을 설계하면,과도한 용량설계로 경제성 및 단락전류 증가 등의 문제가 되기 때문에 부하설비 용량에 수용률을 곱하여 최대수요전력을 결정
2️⃣부등률(Diversity Factor)
\[ 부등률=\frac{(각부하의)최대수요전력(의합계)}{합성최대수요전력}≥1 \]
- 각각의 부하군은 최대부하는 같은 시간에 일어나지 않아, 발생시간의 차이가 있다.
- 부등률은 최대전력이 발생하는 시간 또는 시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부등률이 크다는 것은 설비의 이용도가 큰 것을 나타낸다.
3️⃣부하율(Load Factor)
\[ 부하율[\%]=\frac{평균전력}{최대수요전력}×100[\%] \]
- 일정기간 중의 평균전력과 동일 기간 중의 최대전력의 비로 일부하율, 월부하율, 연부하율이 있으며, 공급설비의 효율적인 이용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공급설비는 막대한 투자를 수반하므로 부하율을 향상시켜 설비의 이용률을 증대시켜야 한다.
4️⃣관계
\[최대 수요전력=부하 설비용량 \times 수용률 \]
\[ 합성 최대 수요전력= \frac{ 부하 설비용량 \times 수용률} {부등률 } \]
\[ 부하율= \frac{ 부하 평균전력} {부하 설비용량 } \times \frac{ 부등률} {수용률 } \]
○P07 수용률, 부하율 및 부등률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수용률, 부등률, 부하율 WCP02*)
1️⃣수용률(Demand Factor)
\[ 수용률[\%]=\frac{최대수요전력}{부하설비용량}×100[\%] \]
- 기간 중 수용가의 최대수요전력과 수용가에 설비된 부하설비용량의 합계의 비
- 수변전설비의 용량결정, 특히 변압기의 용량결정시에 부하설비 용량의 합계로 용량을 설계하면,과도한 용량설계로 경제성 및 단락전류 증가 등의 문제가 되기 때문에 부하설비 용량에 수용률을 곱하여 최대수요전력을 결정
2️⃣부등률(Diversity Factor)
\[ 부등률=\frac{(각부하의)최대수요전력(의합계)}{합성최대수요전력}≥1 \]
- 각각의 부하군은 최대부하는 같은 시간에 일어나지 않아, 발생시간의 차이가 있다.
- 부등률은 최대전력이 발생하는 시간 또는 시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부등률이 크다는 것은 설비의 이용도가 큰 것을 나타낸다.
3️⃣부하율(Load Factor)
\[ 부하율[\%]=\frac{평균전력}{최대수요전력}×100[\%] \]
- 일정기간 중의 평균전력과 동일 기간 중의 최대전력의 비로 일부하율, 월부하율, 연부하율이 있으며, 공급설비의 효율적인 이용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공급설비는 막대한 투자를 수반하므로 부하율을 향상시켜 설비의 이용률을 증대시켜야 한다.
4️⃣관계
\[최대 수요전력=부하 설비용량 \times 수용률 \]
\[ 합성 최대 수요전력= \frac{ 부하 설비용량 \times 수용률} {부등률 } \]
\[ 부하율= \frac{ 부하 평균전력} {부하 설비용량 } \times \frac{ 부등률} {수용률 } \]
●P10 현행 공동주택 변전설비시스템에서 부하용량 추정과 변압기 용량 결정을 위한 수용률 적용의 문제점을 설명하고 건축전기설비 설계 기준(국토해양부)에 의한 변압기 뱅크 구분과 효율적인 운전을 위한 모선구성방법
모범답안 (수용률 적용의 문제점 WCP10)
공동주택 변전설비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 수용률 적용의 문제점
- 과다 설계: 과거 데이터에 기반한 높은 수용률 적용은 변압기 용량 과다 설계를 초래하여 초기 투자비용 증가, 변압기 효율 저하, 유지 보수 부담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
- 부하 특성 변화 미반영: 가전제품 보급률 증가, 생활 패턴 변화 등 실제 부하 특성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변압기 용량 부족 또는 과잉 설계를 초래
- 세대별 수용률 차이 무시: 세대별 면적, 거주 인원, 생활 패턴 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인 수용률을 적용하여 실제 부하 용량과 차이가 발생
2. 변압기 뱅크 구분 및 모선 구성 방법의 문제점
- 획일적인 뱅크 구분: 건축전기설비 설계 기준에 따른 획일적인 변압기 뱅크 구분은 실제 부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변압기 효율 저하 및 불필요한 운전 손실을 초래
- 비효율적인 모선 구성: 모선 구성 방식에 따라 변압기 운전 효율이 달라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
3. 개선 방안
- 실제 부하 데이터 기반 수용률 적용: 스마트 미터 등 실제 부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용률을 산정하여 변압기 용량 설계를 최적화
- 세대별 맞춤형 수용률 적용: 세대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수용률을 적용하여 실제 부하 용량과의 차이를 최소화
- 부하 특성 변화 반영: 가전제품 보급률, 생활 패턴 변화 등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수용률을 업데이트하고 변압기 용량 설계를 조정
- 지능형 변압기 뱅크 운전 시스템 도입: 실시간 부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변압기 뱅크 운전을 자동 제어하여 효율성을 극대화
- 효율적인 모선 구성 방식 적용: 변압기 운전 효율을 고려한 모선 구성 방식을 적용하여 전력 손실을 최소화
○P13.변압기 용량,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
모범답안(수용률, 부등률, 부하율 WCP02*)
1️⃣수용률(Demand Factor)
\[ 수용률[\%]=\frac{최대수요전력}{부하설비용량}×100[\%] \]
- 기간 중 수용가의 최대수요전력과 수용가에 설비된 부하설비용량의 합계의 비
- 수변전설비의 용량결정, 특히 변압기의 용량결정시에 부하설비 용량의 합계로 용량을 설계하면,과도한 용량설계로 경제성 및 단락전류 증가 등의 문제가 되기 때문에 부하설비 용량에 수용률을 곱하여 최대수요전력을 결정
2️⃣부등률(Diversity Factor)
\[ 부등률=\frac{(각부하의)최대수요전력(의합계)}{합성최대수요전력}≥1 \]
- 각각의 부하군은 최대부하는 같은 시간에 일어나지 않아, 발생시간의 차이가 있다.
- 부등률은 최대전력이 발생하는 시간 또는 시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부등률이 크다는 것은 설비의 이용도가 큰 것을 나타낸다.
3️⃣부하율(Load Factor)
\[ 부하율[\%]=\frac{평균전력}{최대수요전력}×100[\%] \]
- 일정기간 중의 평균전력과 동일 기간 중의 최대전력의 비로 일부하율, 월부하율, 연부하율이 있으며, 공급설비의 효율적인 이용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공급설비는 막대한 투자를 수반하므로 부하율을 향상시켜 설비의 이용률을 증대시켜야 한다.
4️⃣관계
\[최대 수요전력=부하 설비용량 \times 수용률 \]
\[ 합성 최대 수요전력= \frac{ 부하 설비용량 \times 수용률} {부등률 } \]
\[ 부하율= \frac{ 부하 평균전력} {부하 설비용량 } \times \frac{ 부등률} {수용률 } \]
○P15.건축물의 전기설비 중 변압기의 용량 산정 및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을 각각 설명하고, 상호관계 설명
모범답안(수용률, 부등률, 부하율 WCP02*)
1️⃣수용률(Demand Factor)
\[ 수용률[\%]=\frac{최대수요전력}{부하설비용량}×100[\%] \]
- 기간 중 수용가의 최대수요전력과 수용가에 설비된 부하설비용량의 합계의 비
- 수변전설비의 용량결정, 특히 변압기의 용량결정시에 부하설비 용량의 합계로 용량을 설계하면,과도한 용량설계로 경제성 및 단락전류 증가 등의 문제가 되기 때문에 부하설비 용량에 수용률을 곱하여 최대수요전력을 결정
2️⃣부등률(Diversity Factor)
\[ 부등률=\frac{(각부하의)최대수요전력(의합계)}{합성최대수요전력}≥1 \]
- 각각의 부하군은 최대부하는 같은 시간에 일어나지 않아, 발생시간의 차이가 있다.
- 부등률은 최대전력이 발생하는 시간 또는 시기의 분산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부등률이 크다는 것은 설비의 이용도가 큰 것을 나타낸다.
3️⃣부하율(Load Factor)
\[ 부하율[\%]=\frac{평균전력}{최대수요전력}×100[\%] \]
- 일정기간 중의 평균전력과 동일 기간 중의 최대전력의 비로 일부하율, 월부하율, 연부하율이 있으며, 공급설비의 효율적인 이용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공급설비는 막대한 투자를 수반하므로 부하율을 향상시켜 설비의 이용률을 증대시켜야 한다.
4️⃣관계
\[최대 수요전력=부하 설비용량 \times 수용률 \]
\[ 합성 최대 수요전력= \frac{ 부하 설비용량 \times 수용률} {부등률 } \]
\[ 부하율= \frac{ 부하 평균전력} {부하 설비용량 } \times \frac{ 부등률} {수용률 } \]
목차(수용률,부등률,부하율 WCP)
수용률,부등률,부하율
🌐V0325*25 / W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