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 (FF)
H 열전현상
V 누설 동축케이블
C 케이블 화재 및 대책
U 공동구 전기설비의 설계기준
E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F 자탐의 비화재보
G 감지기
H 일반감지기와 아날로그 감지기 비교
I 내화,내열 배선의 공사방법
J 방재센터
K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방재실 설치기준
L 누전경보기
M 가스누설 경보기
N 비상조명등
O 비상콘센트 설비
P 무선통신보조설비
Q 소방설비용 비상전원
목차(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FFE)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1️⃣전기화재
- 전기화재란 전기 에너지를 열원으로 발생하는 화재를 전기화재
-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줄열이 발생하며 공간상에 전압이 내전압을 초과하면 불꽃을 수반하는 방전이 발생
- 발열작용 및 방전현상이 전기화재 발생의 주원인
1)줄열에 의한 발화
- 줄열(Q)=0.241 I²RT가 상승하여 발열이 방열보다 클 때 화재 발생
- 이상현상 시 전류의 증가, 저항의 증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줄열이 상승하여 화재가 발생
2)스파크에 의한 발화
- 주위에 가연성 가스와 공기가 연소범위이고 체류할 때 발생
- 전기적,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스파크 발생
3)발열기구에 의한 발화
- 주위의 가연물이 존재하고 발열기구의 발열에 의하여 발생
- 발열이 방열보다 클 때 화재 발생
2️⃣전기화재 발생원인
1)과전류에 의한 발화
-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줄열의 법칙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는데 과전류에 의하여 발열과 방열의 평형이 깨지면 발화의 원인으로 작용
- 줄의 법칙 : Q=0.241 I²RT[cal]
- 비닐전선의 경우 200~300[%]의 과전류에서 피복이 변질되고 500~600[%]정도에서 붉게 열이 난 후 용융
2)단락에 의한 발화
- 전선 또는 전기기계에 전기적, 기계적인 원인에 의하여 단락이 발생하면 저압옥내 배선의 경우 1,000[A] 이상의 단락전류 발생
- 단락에서 발생한 스파크로 주위의 인화성 물질 착화
- 단락 시 절연된 전선의 주위의 인화성 물질에 접촉, 착화
- 불완전 단락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전선 피복의 연소
3)지락에 의한 발화
- 전선 및 케이블류 등이 단선되어 대지로 전류가 통하게 되는 것을 지락
- 금속체 등에 지락 시 스파크로 인한 발화
- 목재등에 전류가 흐를 때 발열하여 발화
4)누전에 의한 발화
- 전선이나 전기기기의 절연이 파괴되어 전류가 대지로 흐르는 것
- 통상적으로 누설전류500[mA] 이상일 때 누전에 의한 화재 발생
5)접속부 과열에 의한 발화
- 전기적 접속 상태가 불완전할 때 접촉 저항에 의한 발열
- 전선과 전선, 전선과 단자 등의 도체에 있어서 접촉상태가 불완전하면 특별한 접촉저항을 나타내어 발열
6)스파크에 의한 발화
- 스위치의 온 오프 시 스파크에 의한 발화, 스파크는 오프 시 더 심한것이 특징
- 공장등에서는 모터 스위치를 끊을 때 발생하는 스파크가 부근에 부착된 티끌에 착화하는경우 발화
7)절연열화 또는 탄화에 의한 발화
- 배전기구의 절연체 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절연성이 저하되거나 탄화되어 발열 또는 누전현상을 일으킴
8)열적 경과에 의한 발화
- 열발생 전기기기를 방열이 되지 않는 장소에서 사용할 셩우 열의 축적에 의한 발화
9)정전기에 의한 발화
- 정전기 스파크에 의하여 가연성 가스에 인화하여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있음
10)낙뢰에 의한 발화
- 순간적으로 7만[A] 이상의 전류가 흘러 절연이 파괴 또는 화재의 원인이 도니다
- 고압배전선에 낙뢰하여 주상변압기 및 변전실의 PT를 소손시킬 수 있음
3️⃣방지대책
1)설계시
전기사업법,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용품 안전관리법 등에서 규정에 적합한 전기기기, 케이블, 보호기 등을 선정
2)시공시
설계에 준하여 시공이 이루어져야 하고 설계변경 시에도 규정에 적합한 기기, 케이블, 보호기 등을 시공
3)유지보수 시
- 점검강화 : 일일점검, 월별점검, 분기점검, 연간점검 등 전기기기의 절연상태, 케이블의 절연열화상태, 보호기의 동작상태 등을 사전 점검하여 예방
- 리모델링 시 : 리모델링 시 법령에 알맞게 설계, 시공 관리
- 보호기 : 이상현상에 알맞은 보호기 선택 필요한데, 단락 발생 시의 배선용 차단기, 지락이나 누전 시 감전예방방지를 위하여 누전차단기 설치
- 접지상태 점검 : 접지 및 본딩 상태를 미리 점검하여 이상 현상 시 사고영향 최소화
- 열발생 기구와 가연물의 이격거리 유지와 열 발생 기구의 열축적 최소화 필요

소방설비 (FF)
H 열전현상
V 누설 동축케이블
C 케이블 화재 및 대책
U 공동구 전기설비의 설계기준
E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F 자탐의 비화재보
G 감지기
H 일반감지기와 아날로그 감지기 비교
I 내화,내열 배선의 공사방법
J 방재센터
K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방재실 설치기준
L 누전경보기
M 가스누설 경보기
N 비상조명등
O 비상콘센트 설비
P 무선통신보조설비
Q 소방설비용 비상전원
목차(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FFE)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E08 호텔을 대상으로 화재에 대한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호텔 화재 방지대책 FFE08)
1. 화재 예방 시스템 구축
- 소방시설 설비: 스프링클러, 연기감지기, 화재경보설비 등 필수 소방시설을 완비하고,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를 실시해야 합니다.
- 방화구획 설치: 호텔 내부를 방화문, 방화벽 등으로 구획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해야 합니다.
- 피난시설 확보: 비상구, 피난 계단, 피난용 승강기 등 피난 시설을 충분히 확보하고, 피난 동선을 명확하게 표시해야 합니다.
- 소화기 비치: 각 층마다 소화기를 비치하고, 사용법 교육을 실시하여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 전기 시설 안전 관리: 노후된 전기 시설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과부하 방지를 위한 안전 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 가연성 물질 관리: 가연성 물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화기 취급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정기적인 소방훈련: 직원들을 대상으로 소화기 사용법, 대피 요령 등을 교육하고, 정기적으로 소방 훈련을 실시
2. 화재 발생 시 대응 절차
- 신속한 화재 발견: 연기 감지기 등을 통해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 직원의 신속한 대피 유도: 직원들은 침착하게 훈련된 대로 행동하여 투숙객들을 안전한 곳으로 유도해야 합니다.
- 비상 방송 시스템 가동: 비상 방송 시스템을 통해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고, 대피 방법을 안내해야 합니다.
- 소화 활동: 초기 화재 발생 시 소화기를 이용하여 진압을 시도하고, 화재가 확산될 경우 소방대의 도착을 기다려야 합니다.
3. 기타
- 투숙객 대상 안전 교육: 투숙객들에게 비상구 위치, 대피 방법 등을 안내하고, 화재 발생 시 행동 요령을 교육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소방 점검: 소방 시설의 작동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즉시 조치해야 합니다.
- 법규 준수: 소방법 등 관련 법규를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호텔 화재 예방을 위한 추가적인 노력
- 자동화 시스템 도입: 스프링클러 시스템, 연기 감지 시스템 등을 자동화하여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건축 자재의 내화성 강화: 건축 자재를 선택할 때 내화성이 우수한 자재를 사용하여 화재 확산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화재 안전 진단: 전문가를 통해 정기적인 화재 안전 진단을 받고, 개선 사항을 반영해야 합니다.
소방설비 (FF)
H 열전현상
V 누설 동축케이블
C 케이블 화재 및 대책
U 공동구 전기설비의 설계기준
E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F 자탐의 비화재보
G 감지기
H 일반감지기와 아날로그 감지기 비교
I 내화,내열 배선의 공사방법
J 방재센터
K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방재실 설치기준
L 누전경보기
M 가스누설 경보기
N 비상조명등
O 비상콘센트 설비
P 무선통신보조설비
Q 소방설비용 비상전원
목차(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FFE)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1003Z24 / FFE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