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사용설명서(눌러서 자세히보기)
► 가독성을위해 내용을 숨겨둔곳입니다. 눌러서 펼쳐보실수있습니다.
밑줄이있는글자를 누르시면 해당내용이 열립니다.
밑줄이 있는 내용을 펼쳐보고싶을때 색이있는 부분을 누르시면 펼쳐집니다.
소방설비 (FF)
열전현상
누설 동축케이블
케이블 화재 및 대책
공동구 전기설비의 설계기준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자탐의 비화재보
감지기
일반감지기와 아날로그 감지기 비교
내화,내열 배선의 공사방법
방재센터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방재실 설치기준
누전경보기
가스누설 경보기
비상조명등
비상콘센트 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소방설비용 비상전원
화재안전기준
화재안전기준NFSC
화재안전성능기준NFPC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https://allsobang.tistory.com/247
❯소방설비
- H 열전현상
- V 누설 동축케이블
- C 케이블 화재 및 대책
설계,난연케이블,관통부,난연화,화재감지,보수점검,조기발견 - U 공동구 전기설비의 설계기준
- E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줄열,스파크,발화기구
과전류,단락,지락,누전,접속부,스파크,절연열화,열적경과,정전기,낙뢰 - A 자탐의 비화재보
- S 감지기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복합감지기, 다신호감지기, 특수감지기 - B 일반감지기와 아날로그 감지기 비교
- F 내화,내열 배선의 공사방법
- R 방재센터
- X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방재실 설치기준(604)
- K 누전경보기(205)
- G 가스누설 경보기 (206)
- L 비상조명등 (304)
- P 비상콘센트 설비 (504)
3층1000[㎡],11층,500[m] - W 무선통신보조설비 (505)
누설동측케이블방식,공중선방식, 혼합방식 - Q 소방설비용 비상전원 (602)
수전결선도
소방설비 (FF)
열전현상
누설 동축케이블
케이블 화재 및 대책
공동구 전기설비의 설계기준
전기화재의 원인과 대책
자탐의 비화재보
감지기
일반감지기와 아날로그 감지기 비교
내화,내열 배선의 공사방법
방재센터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방재실 설치기준
누전경보기
가스누설 경보기
비상조명등
비상콘센트 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소방설비용 비상전원
💯기출문제
●C01.케이블 화재 확산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케이블화재대책 FFC01)
4️⃣케이블 화재 방지 대책
1)케이블 보호기기의 설계 적정화
- 보호기기의 적정화
차단기, 퓨즈 등 보호기기의 적정한 설계 필요
- 케이블 규격의 적정화
허용전류, 허용전압강하, 기계적각도 등을 감안한 케이블 규격의 적정 설계
- 배선방법의 검토
통풍이 잘 되지 않는 밀폐된 배선방법보다 통풍이 잘되는 배선방법 사용
2)고난연 케이블
내열전선, 내화전선 사용

3)케이블 관통부 방화방법
- 케이블 랙 벽관통 : 케이블 랙 주위를 내열 씰링을 빈틈없이 메운다
- 전선관의 벽관통 : 관통 부위에서 앞뒤로 약 1[m]를 불연재료로 도료 처리
- 분전반 : 배선이 관통하는 부분을 내열판과 내열 씰링 처리
4)기설 케이블 난연화 처리
- 연소방지용 도료 표면도포하여 난연성피복 형성
- 방화 테이프 감기
단성케이블 주위에 방화테이프를 감아 내열처리 - 연소방지용 시트 설치
케이블 위에 방화시스 설비
5)케이블 선로의 화재 감지
- 정온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 광센서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6)케이블의 점검 및 보수
- 정전상태및 활선상태에서 열화진단 진행
- 열화진단 등 이상 상태 발생 시 빠른 보수 진행
7)화재의 조기발견, 초기 소화
- 화재의 조기발견을 위한 광센서 감지기 등을 사용
- 초기 소화가 가능하도록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C02.전력케이블 관통부(방화벽 또는 벽면 등)의 화재 방지대책과 공법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케이블관통부 FFC02)
3)케이블 관통부 방화방법
- 케이블 랙 벽관통 : 케이블 랙 주위를 내열 씰링을 빈틈없이 메운다
- 전선관의 벽관통 : 관통 부위에서 앞뒤로 약 1[m]를 불연재료로 도료 처리
- 분전반 : 배선이 관통하는 부분을 내열판과 내열 씰링 처리
●03.난연성 CV케이블의 난연성능을 입증할 수 있는 시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주요 난연성 시험 방법 FFC03)
주요 난연성 시험 방법
- 수직연소시험 (Vertical Flame Test):
- 시험편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불꽃을 가하여 연소되는 정도를 측정합니다.
- 연소 길이, 연소 시간, 화염 확산 속도 등을 평가하여 난연성 등급을 판정합니다.
- 가장 기본적인 난연성 시험 방법으로, 다양한 국제 표준 (IEC 60332-1, ASTM D635)에서 채택하고 있습니다.
- 수평연소시험 (Horizontal Flame Test):
- 시험편을 수평으로 놓고 불꽃을 가하여 연소되는 정도를 측정합니다.
- 수직연소시험과 마찬가지로 연소 길이, 연소 시간 등을 평가합니다.
- 케이블이 천장이나 벽면에 설치될 경우 적용되는 시험 방법입니다.
- 연소성 시험 (Combustibility Test):
- 시험편을 일정한 온도의 열원에 노출시켜 연소되는 정도를 측정합니다.
- 연소 속도, 열 방출량, 연기 발생량 등을 평가합니다.
- 연기 발생 시험 (Smoke Generation Test):
- 시험편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연기의 양과 독성을 측정합니다.
- 연기 밀도, 광 흡수, 유독 가스 발생량 등을 평가합니다.
- 할로겐 가스 발생 시험 (Halogen Gas Generation Test):
- 시험편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할로겐 가스의 양을 측정합니다.
- 할로겐 가스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난연제의 종류에 따라 할로겐 가스 발생량을 제한하는 규정이 있습니다.
○L04.피난설비 중 휴대용 비상조명등 설비장소와 시설기준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휴대용비상조명등 설비장소와 시설기준 FFL04)
3️⃣휴대용 비상조명등
1)장소기준
- 설치대상 : 백화점, 대형할인점, 지하역사, 영화상영관, 숙박시설 등
- 면제대상 : 1층, 피난층으로서 복도, 통로, 개구부 등을 이용하여 피난이 용이한 경우
2)설치기준
- 어둠속에서 위치 확인이 가능할 것
- 사용 시 자동 점등 구조
- 외함은 난연성일 것
- 건전지 사용하는 곳은 방전을 방지하고, 충전식 배터리 상시 충전
- 20분이상 사용 가능한용량일 것
- 설치높이 0.8[m]이상 1.5[m]이하일것
4️⃣비상용 조명등 성능 기준, 설계 시 고려사항
1)성능기준
- 점등성능
즉시 점등의 백열전등, 형광등의 래피드식 사용 - 내열성능
기능 유지를 위해 배선은 내열배선, 등기구는 불연재료 사용 - 광학적 성능
최소한의 조도를 유지할 수 있는 광속기능 - 비상전원
20분이상용량 - 자동전환
상용전원에서 비상시 자동으로 비상전원이 절환되고 복귀 시 자동복구
2)설계 시 고려사항
- 등기구 배치
피난동선을 위하여 최적의 위치, 장소에 설치 - 등기구의 형상
설치장소, 목적을 위하여 등기구 형상, 광원 종류 선정 - 조도
경년 변화에 따른 광속의 감소를 고려하여 최저 1[lx]이상 유지 - 점등방지
상용, 예비전원의 겸용이나 예비전원전용방식 결정 - 예비전원 선정
예비전원의 내장형, 별도 예비전원 방식 결정 - 배선방식 결정
내열, 내화배선 방식, 매립방식 선택
●K05.누전경보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원리를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누전경보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원리 FFK05)
3️⃣구성 및 작동원리

1)구성
- ZCT(영상변류기)
회로에서 발생한 누설 전류를 검출하는 장치
- 수신기
검출된 누설 전류를 수신하여 계전기를 통하여 증폴 음향장치로 경보 신호를 발한다
- 차단기
수신기에서 수신한 신호를 입력하면 자동차단
- 음향장치
- 음량은 1[m]떨어진 곳에서 90[dB]이상
- 사용전압 80[%]에서 경보음 발생 가능
- 수신기와 별도 설치
- 증폭기
유기전압을 증촉하는 장치, 수신기에 내장

2)작동원리
- 단상 누전경보기
- 평상시
- i₁=i₂, φ₁=φ₂ 이므로
- ZCT에서 발생하는 자속은 0이므로 동작하지 않는다
- 누전 발생 시
- i₁=i₂+ig가 되고 영상변류기의 자속은 φ₁=φ₂+φg가된다.
- 자속(φg)으로 유기전압 발생
- 유기전압은 계전기를 통하여 증폭되어 릴레이 동작, 경보를 발한다
- 평상시

- 3상 누전 경보기
- 평상시
- i₁=ib-ia, i₂=ic-ib, i₃=ia-ic, ∴ i₁+i₂+i₃=0
- 누전발생시
- i₁=ib-ia, i₂=ic-ib, i₃=ia-ic+ig, ∴ i₁+i₂+i₃=ig
누설전류(ig)에 의해 영상 변류기에서 자속(ig)을 발생시키고 유지전압이 발생한다. - 유기전압은 계전기를 증폭하여 경보를 발하고 차단한다.
- i₁=ib-ia, i₂=ic-ib, i₃=ia-ic+ig, ∴ i₁+i₂+i₃=ig
- 평상시
●K06.누전화재 경보기의 설치장소 및 시설방법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누전경보기 설치장소 FFK06)
설치장소
- 옥내의 점검이 편리한 장소에 설치
- 가연성 증기, 먼지 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차단기구를 가진 수신기를 설치, 이때 차단기구는 안전한 곳에 설치
- 수신기 설치제외 장소
- 가연성 증기, 먼지, 가스 등이나 부식성 증기, 가스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 화학류의 제조, 저장, 취급하는 장소
- 습도가 높은 장소
- 온도가 급격히 변하는 장소
- 대전류 회로, 고주파 발생 회로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 음향장치
-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
- 음량과 음색은 다른 기기의 소음과 명백히 구별
모범답안(누전경보기 설치기준 FFK06)
4️⃣설치기준
1)설치방법
- 정격전류가 60[A]를 초과하는 경우는 1급누전 경보기 설치
- 정격전류가 60[A]이하인 경우는 1급 및 2급누전경보기 설치
- 정격전류가 60[A]를 초과하는 전로가 분기하여 60[A]이하로 되는경우 2급 누전경보기를 1급 누전 경보기로 본다
2)수신기
- 옥내의 점검이 편리한 장소에 설치
- 가연성 증기, 먼지 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차단기구를 가진 수신기를 설치, 이때 차단기구는 안전한 곳에 설치
- 수신기 설치제외 장소
- 가연성 증기, 먼지, 가스 등이나 부식성 증기, 가스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 화학류의 제조, 저장, 취급하는 장소
- 습도가 높은 장소
- 온도가 급격히 변하는 장소
- 대전류 회로, 고주파 발생 회로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
- 음향장치
-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
- 음량과 음색은 다른 기기의 소음과 명백히 구별
3)전원
-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 각 극에 개폐 및 15[A]이하의 과전류 차단기 설치
- 다른 차단기에 의해 전원이 분기되지 않아야 한다
- 전원의 개폐기에는 누전 경보기용임을 표시한 표지 설치
○W07.무선통신 보조설비의 적용범위와 설치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무선통신보조설비 FFW07)
1️⃣무선통신 보조설비
- 소방대가 효과적으로 소방 활동을 하기 위하여 무선통신을 사용하는데 지하가 또는 지하층에는 전파의 반송특성이 나빠진다.
- 따라서 방재센터 또는 지상에서 소화활동을 지휘하는 소방대원과 화재지역에서 소화활동을 하는 소방대원간의 원활한 무선통신을 위한 설비가 무선통신 보조설비가 필요
2️⃣설치대상
- 지하층수가 3층이상이고 바닥면적 합계가 1,000[㎡]이상인 것은 전층
-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0[㎡]이상인것
- 지하가로서 연면적 1,000[㎡]이상인것
-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이상인 것
모범답안(무선통신 보조설비 설치기준 FFW07)
4️⃣구성별 설치 기준
1)무선기기 접속단자함
- 소화활동에 용이한 장소나 수위실 등 상근하는 장소에 설치
- 0.8[m]이상 1.5[m]이하의 높이에 설치
- 보행거리 300[m]이내마다 설치
- 무선기기 접속단자 라는 보호함을 설치하고 표지설치
2)분배기 등
- 임피던스는 50[Ω]으로 할 것
- 먼지, 습기, 부식 등에 의해 기능에 지장이 없을 것
-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로 인하여 피해가 없는 장소에 설치
3)증폭기 등
-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또는 교류저압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할 것
- 증폭기 전면에 주회로 전원의 정상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등 및 전압계 설치
-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 통신설비를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일 것
- 무선이동 중계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파법에 따라 형식점검과 형식등록 제품 사용
4)누설동축 케이블
- 인접한 금속관으로부터 전계의 복사 또는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않는 장소에 설치
- 고압전선으로 1.5[m]이상 이격 설치
- 누설동축 케입블 끝 부분에는 무반사 종단저항 설치
- 불연 또는 난연성일 것, 습기에 변질되지 않고 노출 설치 시 피난 및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할 것
- 임피던스는 50[Ω]으로 하고 이에 접속하는 분배기 등에도 적합한 임피던스 값으로 할 것
- 소방전용 주파수대에서 전파의 전송 복사에 적합한 것으로 소방전용일 것
- 화재로 소실되더라도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한도록 4[m]이내마다 금속제나 자기제지지금구를 고정할것
- 누설동축 케이블과 공중선 방식 또는 공중선 방식과 누설 동축케이블 방식 혼용 사용
●08.호텔을 대상으로 화재에 대한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1. 화재 예방 시스템 구축
- 소방시설 설비: 스프링클러, 연기감지기, 화재경보설비 등 필수 소방시설을 완비하고,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를 실시해야 합니다.
- 방화구획 설치: 호텔 내부를 방화문, 방화벽 등으로 구획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해야 합니다.
- 피난시설 확보: 비상구, 피난 계단, 피난용 승강기 등 피난 시설을 충분히 확보하고, 피난 동선을 명확하게 표시해야 합니다.
- 소화기 비치: 각 층마다 소화기를 비치하고, 사용법 교육을 실시하여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 전기 시설 안전 관리: 노후된 전기 시설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과부하 방지를 위한 안전 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 가연성 물질 관리: 가연성 물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화기 취급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정기적인 소방훈련: 직원들을 대상으로 소화기 사용법, 대피 요령 등을 교육하고, 정기적으로 소방 훈련을 실시해야 합니다.
2. 화재 발생 시 대응 절차
- 신속한 화재 발견: 연기 감지기 등을 통해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 직원의 신속한 대피 유도: 직원들은 침착하게 훈련된 대로 행동하여 투숙객들을 안전한 곳으로 유도해야 합니다.
- 비상 방송 시스템 가동: 비상 방송 시스템을 통해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고, 대피 방법을 안내해야 합니다.
- 소화 활동: 초기 화재 발생 시 소화기를 이용하여 진압을 시도하고, 화재가 확산될 경우 소방대의 도착을 기다려야 합니다.
3. 기타
- 투숙객 대상 안전 교육: 투숙객들에게 비상구 위치, 대피 방법 등을 안내하고, 화재 발생 시 행동 요령을 교육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소방 점검: 소방 시설의 작동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문제점이 발견될 경우 즉시 조치해야 합니다.
- 법규 준수: 소방법 등 관련 법규를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호텔 화재 예방을 위한 추가적인 노력
- 자동화 시스템 도입: 스프링클러 시스템, 연기 감지 시스템 등을 자동화하여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건축 자재의 내화성 강화: 건축 자재를 선택할 때 내화성이 우수한 자재를 사용하여 화재 확산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화재 안전 진단: 전문가를 통해 정기적인 화재 안전 진단을 받고, 개선 사항을 반영해야 합니다.
○Q09.소방 설비용 비상전원의 설치대상 및 구비조건을 설명하시오❯04
○S10.자동화재 탐지설비에서 감지기를 분류하고 동작원리를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감지기의종류 FFS10)
3️⃣감지기종류
1)열감지기
구분 | 원리 |
---|---|
차동식 스포트형 | 일국소의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 상승률 이상 시 동작 |
차동식 분포형 | 광범위한 열 효과의 누적에 의하여 주위온도 일정 상승률일 때 동작 |
정온식 스포트형 | 한정된 장소의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동작 |
정온식 감지선형 | 부분적인 장소의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동작 |
보상식 스포트형 | 정온식과 자동식의 성능을 함께 가져서 비화재보의 성능을 향상시킨 것 |

2)연기감지기
구분 | 원리 |
---|---|
이온화식 감지시 | 연기의 입자 변동에 의하여 이온전류 변화 검출 |
광전식 감지기 | 연기의 입자 변동에 의하여 광전소자 센서 |
3)복합식 감지기
- 하나의 감지기에 특성이 서로 다른 2가지의 원리를 이용
4)다신호식 감지기
- 감지원리는 동일하나 감도가 서로 다른 2가지 이상의 신호를 발하는 감지기
5)특수감지기
- 정의
특수한 장소에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 - 설치장소
- 지상층, 무창층으로 환기가 잘되지 않는 장소
- 실내 면적이40[㎡]미만의 장소
- 감지기 부착면과 실내 바닥 사이의 층고가 2.3[m]이하인 곳
- 특수감지기
- 축적방식의 감지기
- 복합형 감지기
- 다신호 방식의 감지기
- 불꽃 감지기
- 아날로그 방식의 감지기
-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
-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 분포형 감지기
●C11.케이블의 발화원인과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케이블 화재원인 FFC11)
3️⃣케이블 화재원인
1)줄열에 의한 케이블 자체 발화
- 단락, 지락, 과부하에 의한 절연체의 온도 상승
- 열적 경과에 의한 발화
- 전기 스파크에 의한 발화
- 접속부 과열에 의한 발화
2)외부에 의한 발화
- 공사 중 용접 불꽃에 의한 발화
- 케이블의 방화
- 케이블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류의 과열 등
모범답안(케이블화재대책 FFC01)
4️⃣케이블 화재 방지 대책
1)케이블 보호기기의 설계 적정화
- 보호기기의 적정화
차단기, 퓨즈 등 보호기기의 적정한 설계 필요
- 케이블 규격의 적정화
허용전류, 허용전압강하, 기계적각도 등을 감안한 케이블 규격의 적정 설계
- 배선방법의 검토
통풍이 잘 되지 않는 밀폐된 배선방법보다 통풍이 잘되는 배선방법 사용
2)고난연 케이블
내열전선, 내화전선 사용

3)케이블 관통부 방화방법
- 케이블 랙 벽관통 : 케이블 랙 주위를 내열 씰링을 빈틈없이 메운다
- 전선관의 벽관통 : 관통 부위에서 앞뒤로 약 1[m]를 불연재료로 도료 처리
- 분전반 : 배선이 관통하는 부분을 내열판과 내열 씰링 처리
4)기설 케이블 난연화 처리
- 연소방지용 도료 표면도포하여 난연성피복 형성
- 방화 테이프 감기
단성케이블 주위에 방화테이프를 감아 내열처리 - 연소방지용 시트 설치
케이블 위에 방화시스 설비
5)케이블 선로의 화재 감지
- 정온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 광센서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6)케이블의 점검 및 보수
- 정전상태및 활선상태에서 열화진단 진행
- 열화진단 등 이상 상태 발생 시 빠른 보수 진행
7)화재의 조기발견, 초기 소화
- 화재의 조기발견을 위한 광센서 감지기 등을 사용
- 초기 소화가 가능하도록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W12.무선통신 보조설비의 방식 3가지를 설하시오
모범답안(무선통신 보조설비의 구성및 종류 FFW12)
3️⃣구성 및 종류
1)구성

- 접속단자함, 분배기, 증폭기, 누설동축케이블, 동축케이블, 안테나, 종단저항 등
2)종류
- 누설동축 케이블 방식
누설동축 케이블과 종단 저항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케이블 자체가 안테나 역활을 하는방식
- 공중선(안테나)방식
동축케이블과 원반형 안테나, 봉형 안테나 사용하여 안테나에서 전파를 발송하는 방식
- 혼합방식
누설동축 케이블 방식과 공중선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
○C13.전기설비 트래킹 현상에 의한 절연열화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트래킹현상 FFC13)
트래킹 현상이란?
전기설비에서 트래킹 현상은 절연물 표면을 따라 전류가 흐르면서 절연물이 탄화되고 파괴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마치 벌레가 기어간 흔적처럼 절연물 표면에 검은색 흔적이 남는 것이 특징입니다.
발생 원인:
- 습기 및 오염: 절연물 표면에 습기나 먼지, 오염물질 등이 묻으면 전기 전도성이 높아져 트래킹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고전압: 높은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절연 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 트래킹 현상이 가속화됩니다.
- 열: 열에 의해 절연물의 성능이 저하되고, 표면이 변형되어 트래킹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기계적 스트레스: 진동이나 충격 등 기계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절연물이 손상되면 트래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트래킹 현상의 진행 과정:
- 오염 부착: 절연물 표면에 습기나 오염물질이 부착됩니다.
- 국부적인 발열: 부착된 오염물질에 전류가 흐르면서 열이 발생합니다.
- 절연물 탄화: 열에 의해 절연물이 탄화되면서 전기 전도성이 높아집니다.
- 트랙 형성: 탄화된 부분을 따라 전류가 흐르면서 트랙이 형성됩니다.
- 절연 파괴: 트랙이 점차 확장되어 결국 절연 파괴가 발생합니다.
절연열화
트래킹 현상이 지속되면 절연물의 절연 성능이 저하되는 절연열화가 발생합니다. 절연열화가 진행되면 누전, 단락, 화재 등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트래킹 현상 예방 및 대책
- 정기적인 청소 및 점검: 절연물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 방수 처리: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방수 처리를 하여 습기 침투를 방지해야 합니다.
- 절연 재료 선정: 환경 조건에 맞는 적절한 절연 재료를 선정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 접지: 접지를 철저히 하여 누전 전류를 안전하게 흘려보내야 합니다.
- 과전류 보호 장치 설치: 과전류 보호 장치를 설치하여 과전류 발생 시 전원을 차단해야 합니다.
- 온도 관리: 주변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절연물의 열화를 방지해야 합니다.
트래킹 현상의 위험성
- 화재 발생: 트래킹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열이 주변 가연물에 착화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감전 사고: 누전이 발생하여 감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설비 고장: 절연 파괴로 인해 설비가 고장나 생산 차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4.고체 유전체의 트리잉과 트래킹 현상을 설명하시오
모범답안(트리잉현상 트리킹현상 FFC14)
트리잉(Treeing) 현상
- 정의: 고체 유전체 내부에서 수지상(나뭇가지 모양)의 부분 파괴가 진행되는 현상입니다. 마치 나무의 뿌리가 뻗어나가는 것처럼 미세한 채널이 형성되어 점차 확산됩니다.
- 발생 원인:
- 전기적 스트레스: 높은 전기장이 가해지면 유전체 내부에 국부적인 전계 집중이 발생하여 절연 파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열 스트레스: 열에 의해 유전체의 물성이 변화하고, 기계적인 응력이 발생하여 트리잉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 오염: 유전체 표면이나 내부에 습기,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존재하면 절연 성능이 저하되어 트리잉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종류:
- 전기적 트리: 전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트리잉으로, 부분 방전이 반복되면서 미세한 채널이 형성됩니다.
- 화학적 트리: 유전체와 주변 환경의 화학적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트리잉으로, 특히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기 쉽습니다.
- 기계적 트리: 기계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트리잉으로,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유전체 내부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면서 트리잉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트래킹(Tracking) 현상
- 정의: 고체 유전체 표면을 따라 전류가 흐르면서 절연물이 탄화되고 파괴되는 현상입니다. 마치 벌레가 기어간 흔적처럼 검은색 흔적이 남는 것이 특징입니다.
- 발생 원인:
- 오염: 유전체 표면에 습기, 먼지, 오염물질 등이 부착되면 전기 전도성이 높아져 트래킹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고전압: 높은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절연 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 트래킹 현상이 가속화됩니다.
- 열: 열에 의해 절연물의 성능이 저하되고, 표면이 변형되어 트래킹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진행 과정:
- 오염 부착: 절연물 표면에 습기나 오염물질이 부착됩니다.
- 국부적인 발열: 부착된 오염물질에 전류가 흐르면서 열이 발생합니다.
- 절연물 탄화: 열에 의해 절연물이 탄화되면서 전기 전도성이 높아집니다.
- 트랙 형성: 탄화된 부분을 따라 전류가 흐르면서 트랙이 형성됩니다.
- 절연 파괴: 트랙이 점차 확장되어 결국 절연 파괴가 발생합니다.
트리잉과 트래킹의 차이점
구분 | 트리잉 | 트래킹 |
---|---|---|
발생 위치 | 유전체 내부 | 유전체 표면 |
파괴 형태 | 수지상 | 선형 |
원인 | 전기적, 열적, 화학적 스트레스 | 오염, 고전압, 열 |
트리잉과 트래킹의 영향
- 절연 성능 저하: 트리잉과 트래킹은 절연체의 절연 성능을 저하시켜 누전, 단락, 화재 등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수명 단축: 절연체의 수명을 단축시켜 장비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신뢰도 저하: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시스템 전체의 신뢰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예방 대책
- 청결 유지: 유전체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습기나 오염물질이 묻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 절연 재료 선정: 환경 조건에 적합한 절연 재료를 선정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 전압 관리: 허용 전압 범위 내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 온도 관리: 주변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열에 의한 열화를 방지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점검: 절연체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조치해야 합니다.
●U15.공동구 케이블 방화대책
모범답안(공동구 케이블 화재의 특징 FFU15)
3️⃣공동구 케이블 화재의 특징
- 밀폐공간으로 지상의 자연조건이 배제되어 불안정, 불안한 심리 증폭을 유발하며 지상과 격리되어 이성적 판단이 곤란하고 시각적 감각이 급속히 저하
- 케이블 외장 재료인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합성고무 등으로 인한 고열, 농연 유독성 가스가 발생
- 환기구의 한정된 설치로 연기, 열 방출이 되지 않아 지하공간 내 체류

모범답안(공동구 케이블 방화대책 FFU15)
4️⃣Cable 방화대책
1)신설 Cable
- 선로설계 적정화, 케이블 난연화
- 소화설비 배치, 화재 감지시스템 설치
- 관통부 방화조치(내화등급별 밀봉)
2)기설Cable
- 난연성 도료 도포, 방화테이프, 방화시트
- 화재 감지기 설치(정온식 감지선형)
3)Cable 부설경로
- 케이블 처리실 전 구간 난연처리
- 전력구(공동구)난연처리 : 수평 20[m]마다 3[m], 수직 45도 이상은 전량
- 외부 열원 대책 : 차폐 이격 등
4)연소방지 도료의 도포
- 도료를 도포하고자 하는 부분의 오물을 제거하고 충분히 건조시킨 후 도포할 것도료의 도포두께는 평균 1[㎜]이상으로 할 것
5)연소방지 도료는 대상부분
- 중심으로부터 양쪽 방향으로 칠하며, 전력용 케이블의 경우에는 20[m], 통신용 케이블의 경우에는 10[m]이상으로 한다
6)방화벽의 설치기준
- 내화구조로서 자립하여 설 수있는 구조로 한다
- 방화벽에 출입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방화문으로 한다
- 방화벽을 관통하는 케이블, 전선 등에는 한국사업표준에서 내화충전성능을 인정한 구조의 화재 차단재(Fire Stop)로 틈새 주위를 마감
- 방화벽의 위치는 분기구 및 환기구 등의 구조를 고려하여 설치

●P16.비상콘센트설비에 대한 설치 대상, 전원설비, 설치기준및 비상콘센트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비상용콘센트설비 FFP16)
2️⃣설치대상
-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이상인 것은 전 층
-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물중 11층이상
-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이상인 것
3️⃣구성

상용전원, 비상전원, 배전반, 콘센트, 보호함으로 구성
4️⃣설치기준
1)전원 및 콘센트
- 전원
- 상용전원회로의 배선은 전압수전인 경우에는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고압수전 또는 특고압수전인 경우에는 전력용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 측 또는 2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할 것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이상으로 연면적이 2,000[㎡]이상이거나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콘센트설비에는 자가발전설비 또는 비상전원수전설비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할 것. 다만, 둘 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수 있거나 하나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때에는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용전원을 설치한 경우에는 비상전원을 설치하지 아니 할 수 있다
- 제2호에 따른 비상전원 중 자가발전설비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고, 비상전원 중 자가발전설비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고 비상전원수전설비는 소방시설용비상전원 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602)에 따라 설치할것
-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것
- 비상콘센트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시킬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이 경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외의 것(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한다)을 두어서는 아니 된다.
-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피할 것
- 비상콘센트 전원회로
- PullBox는 두께1.6[㎜]이상 철판, 방청도장
- 회로당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
- 각층에 전압별로 전원회로 2개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 용량은 단상 220[V]1.5[kVA]이상용량과 3상380[V]3[kVA]이상 용량 필요
-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할 것
- 개폐기에는 비상콘센트라는 표지
- 콘센트마다 배선용 차단기 설치
- 각층에 콘센트가 분기될 경우 분기용 배선용 차단기를 보호함에 설치
- 비상콘센트 플러그 접속기 및 설치기준
- 배치
- 아파트 또는 바닥면적이 1,000[㎡]미만인 층은 1개의 계단 출입구에서 5[m]이내
- 바닥면적이 1,000[㎡]이상인 층 각 계단의 출입구에서 5[m]이내에 설치
- 수평거리
- 지하가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이상은 25[m]이내이고, 기타는 50[m]이내
- 3상은 접지극 3극 플러그 접속기를 사용하고 2상은 2극 플러그 접속기를 사용
- 바닥으로부터 1~1.5[m]이하의 위치에 설치
- 칼받이의 접지극에는 접지공사 실시
- 배치
- 절연저항, 절연내력 기준
- 절연저항은 전원부와 외함 사이를 500[V]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20[MΩ]이상일것
- 절연내력은 전원부와 외함 사이를 실효전압1,000[V]를 가한 상태에서 1분 이상 견뎌야 한다
2)배선
- 전원회로 배선은 내화배선으로 하고 기타 배선은 내호 및 내열 배선으로 한다
- 내화 및 내열 배선 기준은 설치기준에 따름
3)보호함
-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을 설치할 것
- 보호함 표면에 비상용콘센트 표지 설치
- 보호함 상부에 적색의 표시등 설치
●I17.내화배선과 내열배선의 종류 공사방법 적용개소와 케이블 방재
모범답안(내화 내열배선 FFI17)
1️⃣내화, 내열 배선의 공사
- 화재의 원인별로는 전기화재>방화>담배불>불장난으로 전기화재가 원인이 가장 높다
- 따라서 전기화재의 원인을 분석하고 줄이는 대책이 필요한데 더구나 케이블에 대한 화재의 영향이 크므로 줄이는 대책이 필요
2️⃣내열, 내화배선 공사방법
1)내화배선
- 내화배선: 화재 발생 시 일정 시간 동안 화염이나 열에 견디면서 전기적 기능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배선입니다. 주로 소방시설이나 비상용 전원 등 안전과 직결된 시설에 사용됩니다.
사용전선의종류
- 450/750[V] 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 0.6/1[kV]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스스 전력용 케이블
-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케이블
- 0.6/1[kV]EP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케이블
- 300/500[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180[℃])
-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케이블
- 버스덕트
-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 설비 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것
공사방법
- 금속관,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또는 합성 수지관에 수납하여 내화구조로 된 벽 또는 바닥등에별 또는 바닥의 표면으로부터 25[㎜]이상의 깊이로 매설하여햐 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배선을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전용실 또는 배선용 샤프트, 피트, 덕트 등에 설치하는 경우
- 배선전용실 또는 배선용 샤프트, 피트, 덕트등에 다른설비의 배선이 있는 경우에는 이로부터 15[㎝]이상 떨어지게 하거나 소화설비의 배선과 이웃하는 다른 설비의 배선 사이에 배선지름(배선의 지름이 다른경우에는 가장 큰 것을 기준으로 한다)의 1.5배 이상의 높이의 불연성 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내화전선,내열전선 : 케이블의 방법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성능기준
내화전선의 내화성능은 버너의 노즐에서 75[㎜]의 거리에서 온도가 750±5[℃]인 불꽃으로 3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12시간 경과후 전선 간에 허용전류 용량 3[A]의 퓨즈를 연결하여 내화시험 전압을 가한 경우 퓨즈가 단선되지 아니하는 것. 또한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소방용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2)내열배선
- 내열배선: 내화배선보다는 열에 대한 저항성이 다소 낮지만, 일반 배선에 비해 열에 강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열 발생량이 많은 기기 주변이나 고온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공사방법기준
내화전선 내열전선-케이블공사의 방법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450/750[V]저독성 난연 가교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 0.6/1[kV]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스스 전력용 케이블
-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트레이용 난연 전력케이블
- 0.6/1[kV] EP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케이블
- 300/500[V] 내열성 실리콘 고무 절연전선(180[℃])
- 내열성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 절연케이블
- 버스덕트
- 기타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전기 설비 기술기준에 따라 동등 이상의 내화성능이 있다고 주무부장관이 인정하는것
- 금속관, 금속제 가요전선관, 금속덕트 또는 케이블(불연성덕트에 설치하는경우에 한한다)공사방법에 따라야 한다. 다만 다음 각 목의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배선을 내화성능을 갖는 배선전용실 또는 배선용 샤프트, 피트, 덕트 등에 설치하는 경우
- 배선전용실 또는 배선용 샤프트, 피트, 덕트등에 다른설비의 배선이 있는 경우에는 이로부터 15[㎝]이상 떨어지게 하거나 소화설비의 배선과 이숭하는 다른 섷비의 배선 사이에 배선지름(배선의 지름이 다른경우에는 가장 큰 것을 기준으로 한다)의 1.5배 이상의 높이의 불연성 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성능기준
내열전선의 내열성능은 온도가 816±10[℃] 인 불꽃을 20분간 가한 후 불꽃을 제거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자연소화가 되고, 전선의 연소가 길이가 180[㎜]이하이거나 가열온도의 값을 한국산업표준(KS F 2257-1)에서 정한 건축구조부분의 내화시험방법으로 15분 동안 380도 까지 가열한 후 전선의 연소된 길이가 가열로의 벽으로 부터 150[㎜] 이하일것, 또는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소방용 전선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할 것

●C18.케이블 화재방지대책
모범답안(케이블화재대책 FFC01)
4️⃣케이블 화재 방지 대책
1)케이블 보호기기의 설계 적정화
- 보호기기의 적정화
차단기, 퓨즈 등 보호기기의 적정한 설계 필요
- 케이블 규격의 적정화
허용전류, 허용전압강하, 기계적각도 등을 감안한 케이블 규격의 적정 설계
- 배선방법의 검토
통풍이 잘 되지 않는 밀폐된 배선방법보다 통풍이 잘되는 배선방법 사용
2)고난연 케이블
내열전선, 내화전선 사용

3)케이블 관통부 방화방법
- 케이블 랙 벽관통 : 케이블 랙 주위를 내열 씰링을 빈틈없이 메운다
- 전선관의 벽관통 : 관통 부위에서 앞뒤로 약 1[m]를 불연재료로 도료 처리
- 분전반 : 배선이 관통하는 부분을 내열판과 내열 씰링 처리
4)기설 케이블 난연화 처리
- 연소방지용 도료 표면도포하여 난연성피복 형성
- 방화 테이프 감기
단성케이블 주위에 방화테이프를 감아 내열처리 - 연소방지용 시트 설치
케이블 위에 방화시스 설비
5)케이블 선로의 화재 감지
- 정온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 광센서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6)케이블의 점검 및 보수
- 정전상태및 활선상태에서 열화진단 진행
- 열화진단 등 이상 상태 발생 시 빠른 보수 진행
7)화재의 조기발견, 초기 소화
- 화재의 조기발견을 위한 광센서 감지기 등을 사용
- 초기 소화가 가능하도록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K19 누전화재 경보기를 설명하고 누전화재 경보기를 설치해아 할 건축물의 종류와 시설방법
모범답안(누전경보기 설명 및 설치장소 FFK19)
1️⃣누전경보기
- 전선의 피복이나 전기기기의 절연물이 열화되어 전류가 금속체를 통하여 대지로 흘러들어가는 현상을 누전
- 누전에 의하여 열적 경과에 의해서 발열하거나 불꽃 발생에 의하여 가연성 가스에 폭발할 수 있다
- 따라서 누전 경보기는 누전에 따른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
2️⃣설치대상 장소
1)설치대상
- 내화구조가 아닌 500[㎡]이상 소방대상물
- 내화구조가 아닌 계약전류 용량이 100[A]초과인 소방대상물
●C20.전력 케이블의 화재 원인과 대책
모범답안(케이블 화재원인 FFC11)
3️⃣케이블 화재원인
1)줄열에 의한 케이블 자체 발화
- 단락, 지락, 과부하에 의한 절연체의 온도 상승
- 열적 경과에 의한 발화
- 전기 스파크에 의한 발화
- 접속부 과열에 의한 발화
2)외부에 의한 발화
- 공사 중 용접 불꽃에 의한 발화
- 케이블의 방화
- 케이블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류의 과열 등
모범답안(케이블화재대책 FFC01)
4️⃣케이블 화재 방지 대책
1)케이블 보호기기의 설계 적정화
- 보호기기의 적정화
차단기, 퓨즈 등 보호기기의 적정한 설계 필요
- 케이블 규격의 적정화
허용전류, 허용전압강하, 기계적각도 등을 감안한 케이블 규격의 적정 설계
- 배선방법의 검토
통풍이 잘 되지 않는 밀폐된 배선방법보다 통풍이 잘되는 배선방법 사용
2)고난연 케이블
내열전선, 내화전선 사용

3)케이블 관통부 방화방법
- 케이블 랙 벽관통 : 케이블 랙 주위를 내열 씰링을 빈틈없이 메운다
- 전선관의 벽관통 : 관통 부위에서 앞뒤로 약 1[m]를 불연재료로 도료 처리
- 분전반 : 배선이 관통하는 부분을 내열판과 내열 씰링 처리
4)기설 케이블 난연화 처리
- 연소방지용 도료 표면도포하여 난연성피복 형성
- 방화 테이프 감기
단성케이블 주위에 방화테이프를 감아 내열처리 - 연소방지용 시트 설치
케이블 위에 방화시스 설비
5)케이블 선로의 화재 감지
- 정온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 광센서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6)케이블의 점검 및 보수
- 정전상태및 활선상태에서 열화진단 진행
- 열화진단 등 이상 상태 발생 시 빠른 보수 진행
7)화재의 조기발견, 초기 소화
- 화재의 조기발견을 위한 광센서 감지기 등을 사용
- 초기 소화가 가능하도록 자동식 소화설비 설치
○21.전기 절연의 내열성 등급에 대하여 KS C IEC60085에 따른 상대 내열지수, 내열등급을 기존의 절연등급과 비교하시오
●22.전선이상온도 검지장치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 적용범위
- 사용전압
- 시설방법
- 검지선의 규격
- 접지
●Q23.소방시설용 비상전원수전설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특별고압 또는 고압으로 수전하는경우의 설치기준
- 전기회로 결선방법
●S24.자동화재 탐지설비 중 화재수신기 종류와 화재감지기 중 불꽃감지기, 아날로그식감지기, 초미립자감지기를 설명하시오
모범답안(화재수신기의 종류 FFS24)
R형 수신기와 P형 수신기 비교 설명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핵심 구성 요소인 화재수신기는 크게 R형과 P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두 종류의 수신기는 각각 고유한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어 시스템 설계 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P형 수신기
- P형은 Proprietary의 약자로, 자체적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독자적인 시스템입니다.
- 각 감지기와 수신기가 1:1로 직접 연결되어 있어 시스템 구성이 비교적 간단합니다.
- 중계기가 없어 시스템이 단순하고 고장 발생 시 원인 파악이 용이합니다.
- 소규모 시스템에 적합하며, 특정 제조사의 제품들끼리 호환이 잘 됩니다.
- 확장성이 제한적이며, 시스템 규모가 커질수록 배선 작업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R형 수신기
- R형은 Relay의 약자로, 중계기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감지기를 하나의 회선으로 연결하는 시스템입니다.
- 중계기를 통해 감지기와 수신기가 연결되어 있어 배선 작업이 간소화되고 시스템 확장이 용이합니다.
- 시스템 규모가 클수록 유리하며, 대형 건물이나 복잡한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 중계기 고장 시 다수의 감지기가 오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다양한 제조사의 제품들과 호환이 가능한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형과 R형 수신기 비교표
비교 항목 | P형 수신기 | R형 수신기 |
---|---|---|
연결 방식 | 1:1 직접 연결 | 중계기를 통한 연결 |
중계기 | 없음 | 있음 |
시스템 구성 | 간단 | 복잡 |
확장성 | 제한적 | 용이 |
배선 작업 | 복잡 | 간단 |
적용 시스템 | 소규모 시스템 | 대규모 시스템 |
호환성 | 특정 제조사 제품 | 다양한 제조사 제품 |
어떤 수신기를 선택해야 할까요?
- 소규모 시스템, 간단한 구성을 원할 경우: P형 수신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규모 시스템, 확장성이 필요한 경우: R형 수신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다양한 제조사의 제품을 혼용하고 싶은 경우: R형 수신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범답안(화재감지가의종류 FFS24)
(1) 불꽃감지기
불꽃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불꽃의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입니다. 불꽃감지기는 빠른 감지 속도를 가지고 있지만, 용접 작업 등의 오경보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아날로그식 감지기
아날로그식 감지기는 연기, 열 등을 연속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화재수신기에 전달하는 감지기입니다. 디지털 방식에 비해 감도가 높고, 화재 초기 단계부터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3) 초미립자 감지기
초미립자 감지기는 화재 초기 단계에 발생하는 매우 작은 연기 입자를 감지하는 감지기입니다. 일반적인 연기 감지기보다 더 민감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은폐된 화재나 초기 화재를 감지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25.고체 유전체의 트리밍 및 트래킹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P26.소화활동설비용 비상콘센트설비의 설치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비상용콘센트설비 FFP16)
2️⃣설치대상
-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이고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이상인 것은 전 층
-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물중 11층이상
-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이상인 것
3️⃣구성

상용전원, 비상전원, 배전반, 콘센트, 보호함으로 구성
4️⃣설치기준
1)전원 및 콘센트
- 전원
- 상용전원회로의 배선은 전압수전인 경우에는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고압수전 또는 특고압수전인 경우에는 전력용변압기 2차측의 주차단기 1차 측 또는 2차측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으로 할 것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이상으로 연면적이 2,000[㎡]이상이거나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콘센트설비에는 자가발전설비 또는 비상전원수전설비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할 것. 다만, 둘 이상의 변전소에서 전력을 동시에 공급받을수 있거나 하나의 변전소로 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되는 때에는 자동으로 다른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용전원을 설치한 경우에는 비상전원을 설치하지 아니 할 수 있다
- 제2호에 따른 비상전원 중 자가발전설비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고, 비상전원 중 자가발전설비는 다음 각 목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고 비상전원수전설비는 소방시설용비상전원 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602)에 따라 설치할것
-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것
- 비상콘센트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시킬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할 것
- 비상전원의 설치장소는 다른장소와 방화구획 할 것. 이 경우 그 장소에는 비상전원의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외의 것(열병합발전설비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는 제외한다)을 두어서는 아니 된다.
-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피할 것
- 비상콘센트 전원회로
- PullBox는 두께1.6[㎜]이상 철판, 방청도장
- 회로당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
- 각층에 전압별로 전원회로 2개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 용량은 단상 220[V]1.5[kVA]이상용량과 3상380[V]3[kVA]이상 용량 필요
-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할 것
- 개폐기에는 비상콘센트라는 표지
- 콘센트마다 배선용 차단기 설치
- 각층에 콘센트가 분기될 경우 분기용 배선용 차단기를 보호함에 설치
- 비상콘센트 플러그 접속기 및 설치기준
- 배치
- 아파트 또는 바닥면적이 1,000[㎡]미만인 층은 1개의 계단 출입구에서 5[m]이내
- 바닥면적이 1,000[㎡]이상인 층 각 계단의 출입구에서 5[m]이내에 설치
- 수평거리
- 지하가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이상은 25[m]이내이고, 기타는 50[m]이내
- 3상은 접지극 3극 플러그 접속기를 사용하고 2상은 2극 플러그 접속기를 사용
- 바닥으로부터 1~1.5[m]이하의 위치에 설치
- 칼받이의 접지극에는 접지공사 실시
- 배치
- 절연저항, 절연내력 기준
- 절연저항은 전원부와 외함 사이를 500[V]절연저항계로 측정하여 20[MΩ]이상일것
- 절연내력은 전원부와 외함 사이를 실효전압1,000[V]를 가한 상태에서 1분 이상 견뎌야 한다
2)배선
- 전원회로 배선은 내화배선으로 하고 기타 배선은 내호 및 내열 배선으로 한다
- 내화 및 내열 배선 기준은 설치기준에 따름
3)보호함
-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을 설치할 것
- 보호함 표면에 비상용콘센트 표지 설치
- 보호함 상부에 적색의 표시등 설치
●27.건축물의 화재 시 확산방지가 중요하다 다음을 설명하시오
- 방화구획재종류 및 특성
- 내화구조
- 난연케이블,내열케이블
○H28 열과 전기가 상호 연관되는 열전효과의 개요와 3가지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열전효과 FFH28)
1️⃣열전효과
2종류의 서로 다른 도체를 폐회로로 만들고 접합부를 각각 다른 온도로 하면 회로에 전류가 발생
전기현상과 열 현상의 양자와 관련괸 열전효과의 종류는 제베크 효과, 펠티어 효과, 톰슨효과가 있다
2️⃣종류

1)제베크 효과
접합부를 상이한 온도로 유지하면 접촉부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는 것

2)펠티어 효과
서로 다른 금속을 접속시킨 회로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면서 접촉부간에 전지를 넣어 전지->N->도체->P로 전류를 흘리면 도체에서는 열의 흡수, 전지측에서는 열의 발생이 발생

3)톰슨효과
- 동일한 금속에서 부분적인 온도차가 있을 때 전류를 흘리면 발열 또는 흡열이 일어나는 현상
- 부Thomson효과 : 만약 고온에서 저온부로 전류->흡열Pt,Ni,Fe
- 정Thomson효과 : 만약 고온에서 저온부로 전류->발열Cu,Sb
●A29자동화재탐지설비의 비화재보 종류와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설명하시오
모범답안(비화재보 원인 대책 FFA29)
2️⃣비화재보 원인
1)인위적인 원인
- 공사 중 먼지, 분진 원인
- 자동차 배기가스
- 조리에 의한 열, 연기
- 흡연에 의한 연기 변화
2)기능상 원인
- 모래, 먼지 등의 분진
- 조리실 증기
- 벌레의 침입
- 감도변화, 결로 등의 원인
- 부품의 불량 등
3)설치상의 원인
- 부적합한 장소
- 감지기 설치 후 환경 변화
- 배선 및 감지기의 시공상 부적합
4)유지상의 원인
청소불량 등 유지상의 원인
5)환경적 요인
- 온도 및 풍압의 이상에 따른 비화재보
- 습도 및 기압의 이상에 의한 비화재보
3️⃣대책
1)감지기 대책
- 화재의 종류에 따른 적응성 감지기 설치는 기본
-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특수감지기 설치 필요
2)수신기 대책
- 축척형 중계기 및 수신기 설치 및 축적 부가장치 설치하여 신뢰성 확보
- 인텔리전트 수신기 설치
3)배선대책
- 일반적인 송배선식의 배선방식 지양
- Loop배선 및 Network배선을 실시하여 신뢰성 확보
4)전원의 신뢰성 확보
- 자탐설비의 예비전원 확보로 신뢰성 확보
- 일반 축전지 설비보다 UPS(무정전 전원장치)를 사용하여 무정전이면서 양질의 전원확보 필요
5)유지관리 대책
- 정기, 임시 점검 철저 및 청소관리 철저
- 공조 설비 등의 환경적 부분의 관리
●U30 건축전기설비 설계기준에서 정하는 공동구 전기설비의 설계기준과 공동구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방화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공동구 전기설비 설계기준 FFU30)
2️⃣공동구 전기설비 설계기준
1)전원설비
- 공동구 내의 부대시설(조명, 배수, 환기 및 기타시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
- 상용전원 정지 및 공동구 대 돌발사고(화재, 폭발, 선로의 단선 및 기타)에 따른 정전시를 대비하여 비상전원설비를 갖춘다.
- 분전반
- 외함은 1.5[㎜]두께 이상의 스테인리스강판으로 한다
- 방진, 방수(IEC60529의 IP32) 구조로 한다
- 케이블 지지간격은 1.2[m]이하로 한다
2)조명설비
- 공동구 내의 작업 및 대피에 필요한 조명을 확보하는 데 목적
- 작업원이 공동구 내에서 점검 또는 작업 중 갑자기 정전되면 공동구 내부가 어두워져 작업 및 대피가 곤란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비용으로 비상전원을 연결할 수 있다
- 최소 조도 확보
- 전기실, 발전기실(공동구 내부 설치 시) : 100~200[lx]
- 환기구, 교차구 및 분기구 등 주요부분 : 100[lx]
- 공동구 일반부분 : 15[lx]
- 출입구 계단 : 40[lx]
- 조명기구
- 광원은 형광램프형식의 고효율램프를 사용
- 조명기구 및 전원설비
- 방수형 방진형 및 내식성의 기구는 작업 및 보행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설치하고, 작업보도가 양열인 경우에는 조명기구를 서로 엇갈리게 설치
- 가스밸브등 가스가 누출 및 누적되어 폭발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방폭형을 적용
3)비상전원설비
- 무정전전원장치(UPS)
- 무정전전원장치는 공동구 내 화재 등 비상사태로 인하여 공동구 내 정전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바상발전기의 전원공급 개시 및 비상발전기 가동정지후 일정시간동안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
- 공동구는 즉시 대체가 곤란한 점을 고려하여 60분 이상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시설
- 무정전전원장치는 옥내 설치를 원칙으로 하되,
옥외 설치 시에는 단열 및 냉난방시설을 갖춘 배전실 내부에 설치하여야 한다
- 비상발전설비
- 비상발전설비는 공동구 내 화재 등 비상사태로 인해서 공동구 내 정전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조명설비, 제연설비 등의 방재설비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시설
- 본 설계기준에 언급되지 않은 사항은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의 규정에 따라 설치
4)중앙감시 및 제어설비
- 공동구 내의 설비시스템의 감시, 각종 설비의 자동운전과 공동구에 관한 자료의 기록, 보관 및 분석을 행하는 설비
- CCTV는 공동구에 설치되는 카메라, 관리실에 설치되는 모니터및 녹화장치로 구성
- 정전시에도 최소 1시간 이상 기능을 유지할수 있도록 무정전전원장치에 의하여 비상전원을 공급
- 공동구 내 설치간격은 100~200[m]를 표준으로 하되 공동구의 높이와 CCTV의 성능을 감안하여 설치간격을 선정
- 방진 방수형 커버를 설치
- CCTV설비는 공동구 내에서 발생된 모든 비상신호(자동화재탐지설비, 소화기 등)와 연동하여 비상신호의 발신구역의 카메라 및 모니터가 자동으로 활성화되어 집중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5)기타설비
- 피난 및 대피시설
- 무선통신설비
- 공동구 출입감시시스템
- 소방전기시설
- 자동제어설비
모범답안(공동구 케이블 방화대책 FFU15)
4️⃣Cable 방화대책
1)신설 Cable
- 선로설계 적정화, 케이블 난연화
- 소화설비 배치, 화재 감지시스템 설치
- 관통부 방화조치(내화등급별 밀봉)
2)기설Cable
- 난연성 도료 도포, 방화테이프, 방화시트
- 화재 감지기 설치(정온식 감지선형)
3)Cable 부설경로
- 케이블 처리실 전 구간 난연처리
- 전력구(공동구)난연처리 : 수평 20[m]마다 3[m], 수직 45도 이상은 전량
- 외부 열원 대책 : 차폐 이격 등
4)연소방지 도료의 도포
- 도료를 도포하고자 하는 부분의 오물을 제거하고 충분히 건조시킨 후 도포할 것도료의 도포두께는 평균 1[㎜]이상으로 할 것
5)연소방지 도료는 대상부분
- 중심으로부터 양쪽 방향으로 칠하며, 전력용 케이블의 경우에는 20[m], 통신용 케이블의 경우에는 10[m]이상으로 한다
6)방화벽의 설치기준
- 내화구조로서 자립하여 설 수있는 구조로 한다
- 방화벽에 출입문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방화문으로 한다
- 방화벽을 관통하는 케이블, 전선 등에는 한국사업표준에서 내화충전성능을 인정한 구조의 화재 차단재(Fire Stop)로 틈새 주위를 마감
- 방화벽의 위치는 분기구 및 환기구 등의 구조를 고려하여 설치

🌐V1003T24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