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방식(수변전회로) BP
수전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보호계전기
변압기 보호방식
비율차동계전기
복합계전기
GPT적용시 CLR의 목적
부족전압계전기(UVR)
보호방식의 결정 LP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수전설비의 저압선로 보호방식 DL
코로나 DC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목차(수전설비 저압선로 보호방식 BPA)
수전설비 저압선로 보호방식
1️⃣저압 배전선의 단락 및 지락 보호
1)단락 보호
- ACB : 최근 순시요소부 제품 공금
- MCCB : 한시요소부, 순시요소부를 MoldCase에 내장
- Fuse등에 의해 보호 적용 시 보호협조에 유의
2)지락 보호
- ELB(누전차단기)
- ZCT와 누전 Relay와 조합하여 누전경보기 설치
3)저압회로의 보호협조
- 전정격 차단방식 : 선택차단방식, 비선택차단방식
- 캐스케이드 보호방식 채용
2️⃣단락 보호방식
1)선택차단방식
사고전류 차단 시 동작시간에 차이를 두어 사고회로만 차단
2)캐스케이드 보호방식
사고전류 차단 시 분기차단기 차단용량 부족을 주차단기가 직렬로 차단하여 분기 차단기를 백업보호(차단전류10[kA]를 초과하는 경우 1회 적용)
3)전정격 차단방식
각 차단점에서 단락전류 이상의 정격으로 후비보호하는 방식으로 경제성이 떨어진다.
3️⃣지락 보호방식
1)보호 접지방식
기계, 기구, 외함, 배선용 금속관등을 저저항으로 접지하여 지락 발생시 발생 접촉 전압을 허용값 이하로 억제하는 방식
2)과전류 차단방식
- 접지전용선을 설치하여 지락발생 시 단락회로를 형성케 하여 배선용 차단기에 의해 전로를 자동 차단하는 방식
- 전로의 손상 방지가 주목적
- 수중 조명용 절연변압기, 병원 수술실 접지 등에 적용
4️⃣지락차단장치 시설 방법
- 2차 측 Y결선 시 중성점 접지하고 ELB설치
- 2차 측 Δ결선 시 GPT와 OVGR설치(영상전압 검출방식)
- 2차 측 Δ결선 시 접지형 콘덴서와 ELB설치(영상전류 검출방식)
- GPT, ZCT를 이용한 OVGR과 SGR을 직렬연결하여 방향성을 갖게 하는 방식->비접지식 오동작 방식
5️⃣지락 보호협조
- 감도전류와 동작 시한요소에 의해 동작협조를 취하여 보호협조
- 고 저압 간의 지락 보호협조는 변압기 권선으로 접지계통이 분리되기 때문에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보호방식(수변전회로) BP
수전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보호계전기
변압기 보호방식
비율차동계전기
복합계전기
GPT적용시 CLR의 목적
부족전압계전기(UVR)
보호방식의 결정 LP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수전설비의 저압선로 보호방식 DL
코로나 DC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목차(수전설비 저압선로 보호방식 BPA)
수전설비 저압선로 보호방식
💯기출문제
●A02캐스케이드 보호방식에 대해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캐스케이드 LPA022️⃣)
캐스케이드 보호방식이란?
캐스케이드 보호방식은 전력계통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했을 때, 상위 차단기가 하위 차단기를 후비 보호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마치 계단식(cascade)으로 차단기들이 연결되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간단히 말해, 주 배전반의 메인 차단기가 큰 단락전류를 차단하고, 분기 회로의 차단기는 상대적으로 작은 단락전류를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왜 캐스케이드 보호방식을 사용할까요?
- 경제성: 모든 차단기에 큰 용량을 갖춘 차단기를 설치하는 것보다 경제적
- 선택성: 고장이 발생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전체 시스템의 운전을 중단시키는 것을 최소화
- 효율성: 단락전류를 빠르게 차단하여 설비 손상을 최소화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
캐스케이드 보호방식의 장점
- 단락전류 제한: 상위 차단기가 하위 차단기를 보호하여 단락전류를 제한함으로써 시스템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임
- 선택성 향상: 고장 발생 부위만을 정확하게 차단하여 건전한 부분의 운전을 지속할 수 있습니다.
- 경제성 확보: 모든 차단기에 고용량 차단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초기 투자 비용을 절감
캐스케이드 보호방식의 단점
- 설계 복잡성: 차단기의 용량, 조정치 등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조정해야 하므로 설계가 복잡
- 협조 문제: 상위 차단기와 하위 차단기 간의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오동작이 발생
캐스케이드 보호방식의 적용 사례
- 저압 배전반: 주로 저압 배전반에서 많이 사용
- 공장 자동화 시스템: 다수의 전동기가 설치된 공장 자동화 시스템에서도 활용
●A09 저압전로의 지락보호방식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저압전로의 지락보호(누전차단기의 동작원리-회로도 및 설명
2)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장소
3)감전방지대책
모범답안(저압전로 지락보호 LPA09)
저압전로의 지락보호
지락이란?
전기가 흘러야 할 도체를 벗어나 사람의 몸이나 다른 물체를 통해 땅으로 흘러 들어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지락이 발생하면 감전, 화재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 장치가 필요합니다.
누전차단기의 동작 원리
누전차단기는 전류가 들어오는 양과 나가는 양이 같아야 하는데, 누전이 발생하면 이 균형이 깨지면서 미세한 누설 전류가 발생합니다. 누전차단기는 이 미세한 누설 전류를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회로도 및 설명

[이미지: 누전차단기 회로도]
- 영상 변류기(ZCT): 회로를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누설 전류가 발생하면 코일에 유도 전압이 발생합니다.
- 비교 회로: 영상 변류기에서 발생한 유도 전압을 비교 회로에서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합니다.
- 차단기: 비교 회로에서 설정된 값을 넘어서면 차단기가 작동하여 회로를 차단합니다.
동작 과정
- 정상 상태: 회로를 흐르는 전류는 모두 부하로 흘러가고, 누설 전류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차단기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 누전 발생: 회로의 어느 부분에서 누전이 발생하면 일부 전류가 땅으로 흘러가고, 영상 변류기에 유도 전압이 발생합니다.
- 차단: 유도 전압이 설정값을 넘어서면 비교 회로에서 신호를 보내 차단기가 작동하여 회로를 차단합니다.
모범답안(누전차단기 설치장소 LPA09)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 장소
- 가정용 콘센트: 가전제품 사용 시 누전으로 인한 감전 위험이 가장 높은 곳입니다.
- 욕실, 주방: 물이 많이 사용되는 곳으로, 누전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 옥외 콘센트: 습기가 많은 옥외에서 사용되는 콘센트는 누전 위험이 높습니다.
- 공용 시설: 아파트, 빌딩 등 공용 시설의 전력 공급 시설에는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모범답안(감전방지대책 LPA09)
감전 방지 대책
- 누전차단기 설치: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정기적인 점검: 누전차단기의 정상 작동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접지 공사: 전기 설비를 땅에 연결하여 누전 시 전류가 땅으로 흘러가도록 하는 것입니다.
- 절연 상태 점검: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손상된 부분이 없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 누전 경보기 설치: 누전이 발생했을 때 소리나 빛으로 알려주는 경보기를 설치하면 빠르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 안전 수칙 준수: 물에 젖은 손으로 전기 기기를 만지지 않고, 전기 기기를 사용할 때는 주변에 물기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A10 수전설비의 저압선로보호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저압선로보호방식 LPA10)
1. 과전류 보호
- 목적: 과전류로 인한 화재, 기기 손상 등을 방지합니다.
- 방식: 배선용 차단기(MCCB), 퓨즈 등을 사용하여 과전류가 흐르면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합니다.
- 작동 원리: 과전류가 흐르면 차단기 내부의 바이메탈이 열팽창하여 접점을 분리시켜 회로를 차단합니다.
2. 지락 보호
- 목적: 지락으로 인한 감전, 화재 등을 방지합니다.
- 방식: 누전차단기를 사용하여 지락 전류를 감지하고 회로를 차단합니다.
- 작동 원리: 지락이 발생하면 회로를 흐르는 전류와 중성선을 흐르는 전류 사이에 불균형이 발생하고, 이를 누전차단기가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합니다.
3. 누전 보호
- 목적: 누전으로 인한 감전을 방지합니다.
- 방식: 누전차단기를 사용하여 누전 전류를 감지하고 회로를 차단합니다.
- 작동 원리: 지락 보호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4. 기타 보호 방식
- 접지: 전기 설비를 땅에 연결하여 지락 시 전류가 땅으로 흘러가도록 하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줄입니다.
- 절연: 전기 설비의 절연 상태를 유지하여 누전을 방지합니다.
- 보호 계전기: 과전류, 지락, 단락 등 다양한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보호하는 장치입니다.
수전설비 저압선로 보호 방식의 중요성
- 인명 안전: 감전 사고 예방
- 설비 보호: 화재, 기기 손상 예방
- 전력 공급 안정성 확보: 고장 발생 시 신속한 차단을 통해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
보호방식(수변전회로) BP
수전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보호계전기
변압기 보호방식
비율차동계전기
복합계전기
GPT적용시 CLR의 목적
부족전압계전기(UVR)
보호방식의 결정 LP
배선용 차단기(MCCB) DB
누전차단기(ELB) DE
수전설비의 저압선로 보호방식 DL
코로나 DC
코로나(임계전압식 유도)
목차(수전설비 저압선로 보호방식 BPA)
수전설비 저압선로 보호방식
🌐V1020Z24 / LPA BPA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