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압회로의 단락보호
저압회로의 보호기 구성

1)기중차단기(ACB)
- 기중차단기 정격차단전류는 단락후 1/2사이클 동안의 단락전류를 기준으로 한 정격차단전류(대칭전류)로 표시
- 기중차단기 과부하 트립장치에는 순시, 단한시, 정한시의 3가지 특성이 있으며, 보호대상에 따라 이것을 조합사용
- 순시트립장치는 주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직렬과전류 트립코일에 의한 전자식 트립장치로 되고, 그 차단시간은 0.03~0.05초 정도로 배선용 차단기 보다 길다
- 일반적으로 정한시 특성은 0.8배에서 16배까지 조정할 수 있는데 각각의 조합방법에 따라 조정범위가 한정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2)배선용 차단기(MCCB)
- 배선용 차단기는 전로 보호를 목적으로 한 차단기로서 소호장치, 트립기구 등이 전부 절연물 용기 내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 특징
- 그 차단요량은 각 극마다 O-2분-CO의 동작책무로 1회 또는 3상교류에서 1회차단가능값으로 규정
- 트립기구는 과부하 보호용으로서 열동식 또는 전자식 시연트립장치가, 단락보호용으로 전자식 트립장치가 사용
- 차단기가 콤팩트하게 되어 있고, 차단시간이 빠르며, 후비보호가 되는 기중차단기와 협조면에서 사용
3)저압용 퓨즈
- 사용 중인 전기기기에 과부하나 선간의 단락등으로 과전류가 흘렀을 때 장치의 일부인 가용체가 녹아서 전류를 차단하여 기기나 설비를 보호
- 저압용 퓨즈는 통형, 플러그퓨즈 등의 포장퓨즈와 판, 고리퓨즈 등의 비포장퓨즈로 구분
4)전자개폐기(MC)
- 전자개폐기는 전자접촉기와 열동계전기를 조합한 것으로 과부하용으로 사용
- 전자개폐기의 용량은 적용하는 전동가기의 부하용량으로 표시하며 정격전류의 10~12배
- 빈번한 개폐의 장소 및 과부하 보호용 또는 전자제어 장치용으로 사용
- 단락사고 시 후비보호는 MCCB 및 퓨즈 등에 의해 보호
과부하 보호조정
1)변압기
- 여자돌입전류를 피하여 정격전류의 150~250%
2)배전선
- 보호기의 정격전류로 선정하면 회로의 합계 부하전류의 110~125[%]
- 전동기가 회로에 포함시 동시 기종하는 최대 전동기군을 뺀 부하전류 합계의 125%에 기동 최대 전동기의 전류를 더한 값
3)전동기
- 전동기 기동전류를 피해서 전동기 정격전류의 120%~160% 범위에서 조정
4)저항부하
- 조명, 전열기 등의 저항부하 조정은 정격전류의 150~200%로 조정
5)발전기
- 과부하 내량이 전 부하전류의 150%에 1분간이므로 보호기 조정은 전 부하전류의 125~150%로 조정
저압회로의 보호기 선정원칙
- 과전류는 분기회로마다 보호
- 소전류에 급속차단하므로 부하의 과전류에도 오동작하지 않도록
- 보호기의 온도 특성을 고려하고 직렬기기와의 협조를 고려
- 단락사고 시 후비보호는 MCCB 및 퓨즈 등에 의해 보호
저압용 차단기 선정 시 고려사항
- 380[V]급 배선용 차단기의 최소 차단전류는 25[kA], 최대차단전류는 65[kA]로 선정
- 정격전류 배수를 8~16배로 선정
- 한류형 차단기 사용 시 S/A 설치를 고려
- 정격전류 용량에 따라 정격전류 배수를 정정
- 저압개폐기는 400[AF]에서 25~65[kA]까지 생산
- 한류형 차단기는1/2 사이클에 차단하고 전압0점에서 차단
- 비한류형 차단기는 1사이클에 차단하고 전류 0점에서 차단
★제어및 보호방식결정(수변전회로보호방식)
수전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보호방식
저압회로 단락보호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보호계전기
변압기 보호방식
DCR오동작 방지대책
비율차동계전기 비율탭 정정
복합계전기
GPT적용시 CLR의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