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방식(수변전회로) BP
R 수전회로 보호방식
L 저압회로 보호방식
S 저압회로 단락보호
B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E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P 보호계전기
T 변압기 보호방식
D 비율차동계전기
M 복합계전기
G GPT적용시 CLR의 목적
U 부족전압계전기(UVR)
R 역전력 계전기(RPR)
변압기특성(T3)
C 변압기(냉각방식)
A 변압기 이상현상 및 대책
R 변압기 여자 돌입전류
V 변압기 이행전압
Z 변압기 임피던스 전압
F 변압기 주파수
변압기 보호방식(BPT)
I 변압기 고장 진단방법과 절연 진단방법
O 유입 변압기 온라인 진단
M 변압기 경제적 운용방식
L 변압기 손실과 효율
B 변압기 최대 효율조건
목차(변압기의 보호방식 BPT)
변압기의 보호방식
1️⃣변압기 보호장치
1)고장 정도에 따른 분류
- 변압기 사고 발생시
- 변압기 자체 사고를 최소한으로 억제
- 사고가 타 부분으로 파급되는 것을 방지
- 변압기 이상시 이상 검출 5000[kVA]이상 :
- 비율차동 계전기 설치
2)특고변압기 의무보호장치
- 뱅크용량 5,000[kVA]이상:
- 변압기를 전로로부터 자동차단하는 장치
- 1,000[kVA]미만: 경보장치
- 송유풍랭식, 송유자랭식, 유압펌프 및 송풍기 정지 시 경보장치 설치
3)권선의 지락 보호
- 영상차동 계전방식 : 영상과전류 계전기 사용
- 방향지락 계전방식 : 변압기 방향의 지락사고 검출
- 영상전압 계전 방식 : GPT + OVGR
4)과열에 의한 보호
- 등가온도계전기 사용
- 저항온도계 사용
- 다이얼온도계 사용
- 냉각수, 변압기유
5)과부하보호
과부하 보호 계전방식 : OCR, 한시 계전기, 반한시 계전기
2️⃣변압기의 외부 보호방식
1)파워퓨즈-PF (TDP)
- 전로나 변압기 등을 단락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2)피뢰기-LA (BSL)
- 뇌 또는 개폐 등으로 인하여 변압기를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3)보호계전기 (BPP)
- 과부하 및 지락의 이상 시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 VCB개폐 시 개폐 서지에 대하여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4)서지흡수기-SA (BSA)
- VCB 개폐 시 개폐 서지에 대하여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3️⃣변압기의 전기적보호방식

1)차동계전기
2)비율차동 계전방식 (BPD)
- 차동보호
- 변압기 1차 측과 2차 측에 변류기를 차동 접속하고 그 차동 회로에 과전류계전기를 삽입
- 부하전류나 외부 계통사고에 대해 오동작할 수 있다
- 비율차동보호
- 차동보호방식을 개선한것으로 동작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동작력이 억제코일을 통과하는 전류에 의한 억제력의 몇[%] 정도인가에 따라CB가 동작함
- 동작비율은 변압기 보호용으로 25~50[%]이상으로함
- 통과하는 전류에 대한 차동전류의 비율
- 변압기의 과전류 보호 중 대용량 변압기 단락보호는 비율차동계전기로 동작하지만 5,000【kVA】이하의 소형변압기 단락보호에는 순시요소부 과전류계전기가 적용
- 한시요소탭
- 변압기 정격전류의 150【%】이상을 목표로 하나 인접보호구간과 협조상 최대량의 것으로 한다
- 순시요소탭
- 변압기 2차측 단락전류의 1차측에서 값의 1.5배 또는 정격 1차전류의 10배중 큰 값으로 한다
- 한시요소탭

- 비율차동계전방식의 문제점(여자돌입전류와 대책)
- 원인
- 정상 시에 여자전류는 모두 작아 계전기의 오동작은 없으나 무부하, 무여자 상태인 변압기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는 변압기 철심의 자속이 순간적으로 변화하여 큰 여자 전류가 흘러 그값에 따라 계전기가 오동작할 수 있다.
- 오동작 방지대책
- 감도저하방식
- 돌입전류가 감쇄를 수 초간 계전기의 동작감도를 낮추어 오동작을 방지
-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30[MVA] 이하의 변합기에 채용
- 고조파억제방식
- 차동회로에 설치한 고조파 통과필터와 직렬로 접속한 고조파 억제코드에 의한 억제력이 가해지고 동작코일에는 기본파 통과필터를 통해서 차동회로가 기본파전류가 흘러서 동작한다
- 비대칭저지법
- 여자돌입전류의 가장 큰 특징은 파형이 반파 정류파형에 가까울 정도로 비대칭이다
- 차동동작계전기 Ry₁은 정부 각반파의 전류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어느정도 이상 그면 동작하여 차단기 트립회로를 개방시킨다
- 사고 시에는 과전류계전기 Ry₁, Ry₂ 가 동시에 동작하여 Ry₁이 동작해도 차단기의 트립회로가 유지되도록 한다
- 원인

3)과전류계전기
4️⃣변압기의 기계적보호방식
1)보호계전기(유속검출)
- OLTC유격실에 결합이 발생하는 동안 그 결과가 결함이 생긴 부분으로부터 전달되어 변압기와 탭 절환기를 보호
- 콘서베이트의 절연유가 절환기 위부분에 있는 절연유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데 정격부하 혹은 허용 과부하 상태에서의 탭 절환기 동작 시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2)부흐홀츠 계전기(가스 및 유속검출)
- 변압기 본체와 콘서베이터를 잇는 연락관에 결합하여 변압기 내부의 국부적인 절연열화에 따라 가스가 발생하면 그 압력으로 동작
3)충격압력 계전기(압력검출)
- 유입 변압기 내부 아크에 의해 가스압력이 갑자기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
- 용기 내에 압력감지 벨로스, 마이크로 스위치, 등압기 등으로 구성되며 변압기 상부 가스공간에 취부
4)방출안전장치(내부 이상압력 방출)
- 변압기 커버에 취부되며 변압기 외함 내에 이상압력 발생을 막아 주는 장치, 즉 일정 압력 초과 시 방압막이 동작하여 변압기의 폭발을 막아 준다
- 방출안전장치의 구조는 여러 번 동작에도 손상되지 않고 충분히 견디도록 강하게 만들어져 있고 동작부분은 방압막, 압축스프링, 개스킷 및 보호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방식(수변전회로) BP
R 수전회로 보호방식
L 저압회로 보호방식
S 저압회로 단락보호
B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E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P 보호계전기
T 변압기 보호방식
D 비율차동계전기
M 복합계전기
G GPT적용시 CLR의 목적
U 부족전압계전기(UVR)
R 역전력 계전기(RPR)
목차(변압기의 보호방식 BPT)
변압기의 보호방식
💯기출문제
●T44 변압기 보호(전기적,기계적)방식을 나열하고 각각 설명하시오
모범답안 (변압기보호방식 BPT443️⃣)
3️⃣변압기의 전기적보호방식

1)차동계전기
2)비율차동 계전방식 (BPD)
- 차동보호
- 변압기 1차 측과 2차 측에 변류기를 차동 접속하고 그 차동 회로에 과전류계전기를 삽입
- 부하전류나 외부 계통사고에 대해 오동작할 수 있다
- 비율차동보호
- 차동보호방식을 개선한것으로 동작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동작력이 억제코일을 통과하는 전류에 의한 억제력의 몇[%] 정도인가에 따라CB가 동작함
- 동작비율은 변압기 보호용으로 25~50[%]이상으로함
- 통과하는 전류에 대한 차동전류의 비율
- 변압기의 과전류 보호 중 대용량 변압기 단락보호는 비율차동계전기로 동작하지만 5,000【kVA】이하의 소형변압기 단락보호에는 순시요소부 과전류계전기가 적용
- 한시요소탭
- 변압기 정격전류의 150【%】이상을 목표로 하나 인접보호구간과 협조상 최대량의 것으로 한다
- 순시요소탭
- 변압기 2차측 단락전류의 1차측에서 값의 1.5배 또는 정격 1차전류의 10배중 큰 값으로 한다
- 한시요소탭

- 비율차동계전방식의 문제점(여자돌입전류와 대책)
- 원인
- 정상 시에 여자전류는 모두 작아 계전기의 오동작은 없으나 무부하, 무여자 상태인 변압기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는 변압기 철심의 자속이 순간적으로 변화하여 큰 여자 전류가 흘러 그값에 따라 계전기가 오동작할 수 있다.
- 오동작 방지대책
- 감도저하방식
- 돌입전류가 감쇄를 수 초간 계전기의 동작감도를 낮추어 오동작을 방지
-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30[MVA] 이하의 변합기에 채용
- 고조파억제방식
- 차동회로에 설치한 고조파 통과필터와 직렬로 접속한 고조파 억제코드에 의한 억제력이 가해지고 동작코일에는 기본파 통과필터를 통해서 차동회로가 기본파전류가 흘러서 동작한다
- 비대칭저지법
- 여자돌입전류의 가장 큰 특징은 파형이 반파 정류파형에 가까울 정도로 비대칭이다
- 차동동작계전기 Ry₁은 정부 각반파의 전류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어느정도 이상 그면 동작하여 차단기 트립회로를 개방시킨다
- 사고 시에는 과전류계전기 Ry₁, Ry₂ 가 동시에 동작하여 Ry₁이 동작해도 차단기의 트립회로가 유지되도록 한다
- 원인

3)과전류계전기
4️⃣변압기의 기계적보호방식
1)보호계전기(유속검출)
- OLTC유격실에 결합이 발생하는 동안 그 결과가 결함이 생긴 부분으로부터 전달되어 변압기와 탭 절환기를 보호
- 콘서베이트의 절연유가 절환기 위부분에 있는 절연유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데 정격부하 혹은 허용 과부하 상태에서의 탭 절환기 동작 시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2)부흐홀츠 계전기(가스 및 유속검출)
- 변압기 본체와 콘서베이터를 잇는 연락관에 결합하여 변압기 내부의 국부적인 절연열화에 따라 가스가 발생하면 그 압력으로 동작
3)충격압력 계전기(압력검출)
- 유입 변압기 내부 아크에 의해 가스압력이 갑자기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
- 용기 내에 압력감지 벨로스, 마이크로 스위치, 등압기 등으로 구성되며 변압기 상부 가스공간에 취부
4)방출안전장치(내부 이상압력 방출)
- 변압기 커버에 취부되며 변압기 외함 내에 이상압력 발생을 막아 주는 장치, 즉 일정 압력 초과 시 방압막이 동작하여 변압기의 폭발을 막아 준다
- 방출안전장치의 구조는 여러 번 동작에도 손상되지 않고 충분히 견디도록 강하게 만들어져 있고 동작부분은 방압막, 압축스프링, 개스킷 및 보호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T47 수전용 변압기 보호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 (변압기보호방식 BPT443️⃣)
3️⃣변압기의 전기적보호방식

1)차동계전기
2)비율차동 계전방식 (BPD)
- 차동보호
- 변압기 1차 측과 2차 측에 변류기를 차동 접속하고 그 차동 회로에 과전류계전기를 삽입
- 부하전류나 외부 계통사고에 대해 오동작할 수 있다
- 비율차동보호
- 차동보호방식을 개선한것으로 동작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동작력이 억제코일을 통과하는 전류에 의한 억제력의 몇[%] 정도인가에 따라CB가 동작함
- 동작비율은 변압기 보호용으로 25~50[%]이상으로함
- 통과하는 전류에 대한 차동전류의 비율
- 변압기의 과전류 보호 중 대용량 변압기 단락보호는 비율차동계전기로 동작하지만 5,000【kVA】이하의 소형변압기 단락보호에는 순시요소부 과전류계전기가 적용
- 한시요소탭
- 변압기 정격전류의 150【%】이상을 목표로 하나 인접보호구간과 협조상 최대량의 것으로 한다
- 순시요소탭
- 변압기 2차측 단락전류의 1차측에서 값의 1.5배 또는 정격 1차전류의 10배중 큰 값으로 한다
- 한시요소탭

- 비율차동계전방식의 문제점(여자돌입전류와 대책)
- 원인
- 정상 시에 여자전류는 모두 작아 계전기의 오동작은 없으나 무부하, 무여자 상태인 변압기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는 변압기 철심의 자속이 순간적으로 변화하여 큰 여자 전류가 흘러 그값에 따라 계전기가 오동작할 수 있다.
- 오동작 방지대책
- 감도저하방식
- 돌입전류가 감쇄를 수 초간 계전기의 동작감도를 낮추어 오동작을 방지
-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30[MVA] 이하의 변합기에 채용
- 고조파억제방식
- 차동회로에 설치한 고조파 통과필터와 직렬로 접속한 고조파 억제코드에 의한 억제력이 가해지고 동작코일에는 기본파 통과필터를 통해서 차동회로가 기본파전류가 흘러서 동작한다
- 비대칭저지법
- 여자돌입전류의 가장 큰 특징은 파형이 반파 정류파형에 가까울 정도로 비대칭이다
- 차동동작계전기 Ry₁은 정부 각반파의 전류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어느정도 이상 그면 동작하여 차단기 트립회로를 개방시킨다
- 사고 시에는 과전류계전기 Ry₁, Ry₂ 가 동시에 동작하여 Ry₁이 동작해도 차단기의 트립회로가 유지되도록 한다
- 원인

3)과전류계전기
4️⃣변압기의 기계적보호방식
1)보호계전기(유속검출)
- OLTC유격실에 결합이 발생하는 동안 그 결과가 결함이 생긴 부분으로부터 전달되어 변압기와 탭 절환기를 보호
- 콘서베이트의 절연유가 절환기 위부분에 있는 절연유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데 정격부하 혹은 허용 과부하 상태에서의 탭 절환기 동작 시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2)부흐홀츠 계전기(가스 및 유속검출)
- 변압기 본체와 콘서베이터를 잇는 연락관에 결합하여 변압기 내부의 국부적인 절연열화에 따라 가스가 발생하면 그 압력으로 동작
3)충격압력 계전기(압력검출)
- 유입 변압기 내부 아크에 의해 가스압력이 갑자기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
- 용기 내에 압력감지 벨로스, 마이크로 스위치, 등압기 등으로 구성되며 변압기 상부 가스공간에 취부
4)방출안전장치(내부 이상압력 방출)
- 변압기 커버에 취부되며 변압기 외함 내에 이상압력 발생을 막아 주는 장치, 즉 일정 압력 초과 시 방압막이 동작하여 변압기의 폭발을 막아 준다
- 방출안전장치의 구조는 여러 번 동작에도 손상되지 않고 충분히 견디도록 강하게 만들어져 있고 동작부분은 방압막, 압축스프링, 개스킷 및 보호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T49 전력용 변압기의 보호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모범답안 (변압기보호방식 BPT443️⃣)
3️⃣변압기의 전기적보호방식

1)차동계전기
2)비율차동 계전방식 (BPD)
- 차동보호
- 변압기 1차 측과 2차 측에 변류기를 차동 접속하고 그 차동 회로에 과전류계전기를 삽입
- 부하전류나 외부 계통사고에 대해 오동작할 수 있다
- 비율차동보호
- 차동보호방식을 개선한것으로 동작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동작력이 억제코일을 통과하는 전류에 의한 억제력의 몇[%] 정도인가에 따라CB가 동작함
- 동작비율은 변압기 보호용으로 25~50[%]이상으로함
- 통과하는 전류에 대한 차동전류의 비율
- 변압기의 과전류 보호 중 대용량 변압기 단락보호는 비율차동계전기로 동작하지만 5,000【kVA】이하의 소형변압기 단락보호에는 순시요소부 과전류계전기가 적용
- 한시요소탭
- 변압기 정격전류의 150【%】이상을 목표로 하나 인접보호구간과 협조상 최대량의 것으로 한다
- 순시요소탭
- 변압기 2차측 단락전류의 1차측에서 값의 1.5배 또는 정격 1차전류의 10배중 큰 값으로 한다
- 한시요소탭

- 비율차동계전방식의 문제점(여자돌입전류와 대책)
- 원인
- 정상 시에 여자전류는 모두 작아 계전기의 오동작은 없으나 무부하, 무여자 상태인 변압기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는 변압기 철심의 자속이 순간적으로 변화하여 큰 여자 전류가 흘러 그값에 따라 계전기가 오동작할 수 있다.
- 오동작 방지대책
- 감도저하방식
- 돌입전류가 감쇄를 수 초간 계전기의 동작감도를 낮추어 오동작을 방지
-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30[MVA] 이하의 변합기에 채용
- 고조파억제방식
- 차동회로에 설치한 고조파 통과필터와 직렬로 접속한 고조파 억제코드에 의한 억제력이 가해지고 동작코일에는 기본파 통과필터를 통해서 차동회로가 기본파전류가 흘러서 동작한다
- 비대칭저지법
- 여자돌입전류의 가장 큰 특징은 파형이 반파 정류파형에 가까울 정도로 비대칭이다
- 차동동작계전기 Ry₁은 정부 각반파의 전류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어느정도 이상 그면 동작하여 차단기 트립회로를 개방시킨다
- 사고 시에는 과전류계전기 Ry₁, Ry₂ 가 동시에 동작하여 Ry₁이 동작해도 차단기의 트립회로가 유지되도록 한다
- 원인

3)과전류계전기
4️⃣변압기의 기계적보호방식
1)보호계전기(유속검출)
- OLTC유격실에 결합이 발생하는 동안 그 결과가 결함이 생긴 부분으로부터 전달되어 변압기와 탭 절환기를 보호
- 콘서베이트의 절연유가 절환기 위부분에 있는 절연유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는데 정격부하 혹은 허용 과부하 상태에서의 탭 절환기 동작 시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2)부흐홀츠 계전기(가스 및 유속검출)
- 변압기 본체와 콘서베이터를 잇는 연락관에 결합하여 변압기 내부의 국부적인 절연열화에 따라 가스가 발생하면 그 압력으로 동작
3)충격압력 계전기(압력검출)
- 유입 변압기 내부 아크에 의해 가스압력이 갑자기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치
- 용기 내에 압력감지 벨로스, 마이크로 스위치, 등압기 등으로 구성되며 변압기 상부 가스공간에 취부
4)방출안전장치(내부 이상압력 방출)
- 변압기 커버에 취부되며 변압기 외함 내에 이상압력 발생을 막아 주는 장치, 즉 일정 압력 초과 시 방압막이 동작하여 변압기의 폭발을 막아 준다
- 방출안전장치의 구조는 여러 번 동작에도 손상되지 않고 충분히 견디도록 강하게 만들어져 있고 동작부분은 방압막, 압축스프링, 개스킷 및 보호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방식(수변전회로) BP
R 수전회로 보호방식
L 저압회로 보호방식
S 저압회로 단락보호
B 저압차단기 보호협조
E 저압회로 지락보호방식
P 보호계전기
T 변압기 보호방식
D 비율차동계전기
M 복합계전기
G GPT적용시 CLR의 목적
U 부족전압계전기(UVR)
R 역전력 계전기(RPR)
목차(변압기의 보호방식 BPT)
변압기의 보호방식
🌐V0930M24 / BPT / T3P
답글 남기기